Abstract
Trellising is an important cultural practice that affects grape quality and yield. Some grape cultivars require different trellising under different climate and soil conditions. To find suitable trellis conditions for grape cultivar 'Cheongsoo', we measured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with three different trellis systems: curtain, Geneva double curtain (GDC), and modified T. The maximum light exposure of clusters in the curtain, GDC, modified T trellis systems was 670, 1,654, and $1,649{\mu}mol{\cdot}m^{-2}{\cdot}s^{-1}$,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air temperature among the three trellis systems. Net $CO_2$ assimilation rate at $1,500{\mu}mol{\cdot}m^{-2}{\cdot}s^{-1}$ light intensity was 13.4, 13.7, and $8.7{\mu}mol{\cdot}m^{-2}{\cdot}s^{-1}$ in curtain, GDC, and modified T trellis systems, respectively. Trunk cross section area (TCSA) and bud burst rat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systems. Shoot number was 31.3, 47.0, and 37.0 in curtain, GDC, and modified T trellis systems, respectively. The shoot length was higher (243.9 cm) in the modified T trellis system than in the single curtain (171.1 cm) and GDC (151.5 cm) systems. Interior leaf number and leaf layer number were higher in the GDC system, in which there are two primary branches, in comparison to the modified T and curtain systems, which utilize one primary branch. Primary leaf area and lateral leaf area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odified T trellis system in comparison to the GDC system. Berry weight, length and diameter, and total soluble solid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trellis systems. However, cluster weight and cluster number per tre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DC. Titratable acidi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GDC. Collectively, our data suggest that the GDC trellis system is preferable for grape 'Cheongsoo' to maintain fruit quality and quantity in Korea.
수형은 포도 과실의 품질과 수확량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요인이다. 또한 몇몇 포도 품종들은 다양한 기후와 토양조건에서 고유한 특성을 드러내기 위해 적합한 수형을 요구한다. 본 연구는 '청수' 품종의 우리나라에서의 재배에 적합한 수형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청수' 품종의 수형에 따른 광 환경을 비교한 결과 수광량이 높은 수형은 커튼형, 이중커튼형, 개량일자형 순이었다. 최대 광량의 경우 개량일자형은 약 $670{\mu}mol{\cdot}m^{-2}{\cdot}s^{-1}$인데 비해 커튼형과 이중커튼형은 약 1,654와 $1,649{\mu}mol{\cdot}m^{-2}{\cdot}s^{-1}$로 나타났다. 대기온도는 세 수형 모두 비슷하게 나타났다. 광도 $1,500{\mu}mol{\cdot}m^{-2}{\cdot}s^{-1}$에서 개량일자형은 이산화탄소동화율이 $8.3{\mu}mol{\cdot}m^{-2}{\cdot}s^{-1}$인데 비해 커튼형과 이중커튼형은 13.4, $13.7{\mu}mol{\cdot}m^{-2}{\cdot}s^{-1}$로 나타났다. 주지횡단면면적과 발아율은 세 수형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눈의 수와 신초 수는 54.4개와 47.0으로 이중커튼형에서 가장 많았으며 커튼형에서는 눈의 수는 34.7개, 신초 수는 31.3개로 가장 적었다. 신초의 길이는 개량일자형의 경우 243.9cm로 가장 길었으며 이중커튼형은 151.5cm로 가장 짧았다. 초생엽과 부초엽의 엽면적의 경우에도 개량일자형이 다른 수형에 비해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다. 수관 내부 잎 수와 전체 잎에 대한 수관 내부 잎의 비율은 이중커튼형이 높게 나타났다. 과립 무게, 과립의 종경과 횡경은 수형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과방중은 이중커튼형에서 203.66g으로 가장 높았으며 개량일자형에서는 130.10g으로 가장 낮았다. 나무당 과방수 또한 이중커튼형이 136.8개로 개량일자형의 86.28나 커튼형의 97.42개에 비해 많았다. 산도는 이중커튼형에서 0.45로 다른 수형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따라서 '청수' 품종은 단위면적당 수확량을 높이면서도 과실의 품질이 저해되지 않는 이중커튼형으로 수형을 관리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청수' 품종의 농가 보급 및 재배에 중요한 정보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