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nitic rocks

검색결과 298건 처리시간 0.021초

무주지역 대리암의 Pb-Pb 연대 (Pb-Pb Age of Marble from Muju, Korea)

  • 박계헌
    • 암석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4-88
    • /
    • 1996
  • 무지지역에 분포하는 편마암 중에 협재된 대리암의 암편들에 대하여 Pb 동위원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매우 넓은범위에 걸친 Pb 동위원소의 변화를 확인하였다.($^{206}Pb/^{204}Pb$=23.74~4142, $^{207}Pb/^{204}Pb$=16.32~18.43, $^{208}Pb/^{204}Pb$=36.42~39.75).이 값들은 $^{206}Pb/^{204}Pb$$^{207}Pb/^{204}Pb$를 양 축으로 하는 그림 z에서 Pb-Pb 연대가 $1.99{\pm}0.10$($2{\sigma}$) Ga로 계산되는 잘 정의된 양의 직선과계를 보여준다. 이 연대는 태백지연의 분천화강암질 편마암 및 단양 천동리 지역의 화강암질 편마암과 유사한 값으로 현재 소백산육괴의 상당부분이 이 시기에 광역변성작용을 받았음을 시시한다. 경상분지를 제외한 한반도 전역에서 분석된 방연석의 납 동위원소 비와 경기육괴 변성암의 납 동위원소 비도 Pb-Pb 그림에서 약 20억년전에 함께 변성작용을 겪은 동일한 자판 내에서 인접한 위치에 있었을 가능성이 높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한다.

  • PDF

충북 제천 NMC 몰랜드 광산의 관계 화성암에 대한 중력탐사 (Gravity Exploration Inferring the Source Granite of the NMC Moland Mine, Jecheon, Chungbuk)

  • 신영홍;유봉철;임무택;박영수;고인세
    • 자원환경지질
    • /
    • 제47권2호
    • /
    • pp.107-119
    • /
    • 2014
  • NMC 몰랜드 광산은 고생대 조선누층군을 관입한 화성암류에 의해 형성된 접촉교대 또는 스카른 광상으로 공간적으로 제천화강암과 인접해 있어 이 화강암을 관계 화성암으로 간주하여 대보 화성 활동과 관련하여 형성된 광상으로 해석하였으나, 최근에는 백악기 천부 반화강암질 암체에서 기원된 광화유체로부터 스카른화작용과 더불어 Mo 광화작용이 진행된 것이라는 해석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광산 일원에 대한 중력탐사를 통해 지하구조를 해석함으로써, 지표 지질에서 제천화강암이 광산에 훨씬 인접한 것과는 달리 지하에서는 남쪽의 백악기 무암사화강암이 광산 하부와 주변으로까지 뻗어있을 것으로 여겨지며, 결과적으로 광상 형성의 관계 화성암으로 작용하였을 것임을 제시한다.

변형률 게이지 측정원리를 이용한 충격 하중 센서의 개발 및 암석의 동적 압열 인장 실험에 적용 (Development of the Strain Measurement-based Impact Force Sensor and Its Application to the Dynamic Brazilian Tension Test of the Rock)

  • 민경조;오세욱;;전석원;조상호
    • 화약ㆍ발파
    • /
    • 제35권3호
    • /
    • pp.15-20
    • /
    • 2017
  • 발파 하중에 대한 암석의 동적 응답 특성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내충격 고감도의 충격하중센서가 필요하다. 이러한 충격 하중 센서는 석영(quartz) 하중셀, 압전소자(piezoelectric element), 변형률 게이지를 적용하여 제작되고 있으나, 석영 및 압전소자의 경우 고가이기 때문에, 충격하중가압시험과 같이 압력 센서의 손상이 빈번한 경우에는 제약이 따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원통형 압축셀에 변형률 게이지 측정원리를 적용한 내충격 고감도 하중센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하중 센서는 Nonex Rock Cracker (NRC) 구동 고속충격 하중 장치를 이용한 화강암 동적 압열 인장 실험에 적용하여 동적하중이력의 측정에 적용되었다. 그 결과, NRC 구동 고속충격하중장치는 암석 강도의 중간 변형률 속도 의존성 연구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서울 홍지문 오간수문의 암석기재적 분석과 손상도 평가 및 보존처리 (Conservation Treatment, Deterioration Assessment and Petrography of the Hongjimun Ogansumun (Five-arched Floodgates) in Seoul)

  • 이명성;김지영;이찬희;김영택;한병일
    • 보존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4
    • /
    • 2013
  • 홍지문 오간수문은 홍지문에 부속된 홍예 수문이다. 이들의 주요 구성암석은 흑운모화강암, 홍장석화강암, 화강섬록암으로서 서울 인근에 분포하는 화강암류와 암석기재적 특징이 매우 유사하다. 오간수문에 나타난 손상현상은 주로 백색, 흑색 및 황색 변색이며 백화현상이 가장 심각하다. 5기의 홍예 수문에서 공통적으로 측벽의 변색이 천장보다 심하고, 천장에서는 종유석이 성장하고 있다. 오염물 분석 결과, 백화현상을 야기하는 물질은 다양한 형태를 보이는 방해석으로 판명되었다. 보존처리는 오간수문 전면에 대한 건식세정과 표면에 피각되어 있는 백화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고압세척 및 백화제거제 등을 사용하였다. 현재는 일차적인 보존처리가 완료되어 양호한 상태를 보이고 있으나 향후 오간수문의 훼손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수문 상부에 배수로를 확보하여 수분의 이동과 배출을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풍암분지 중부지역의 고해상도 탄성파자료 해석 (Interpretation of High-resolution Seismic Data in the Middle Part of the Pungam Basin, Korea)

  • 김기영;허식
    • 지구물리
    • /
    • 제2권3호
    • /
    • pp.201-208
    • /
    • 1999
  • 백악기 육성 퇴적분지의 하나인 풍암 퇴적분지 중부에서 획득한 고해상도 탄성파 중합단면을 탄성파 층서학적인 측면에서 해석하고, 시추공 코아자료, 지표지질 및 구조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분지 중심부의 지층 특성을 구명하였다. 중합단면상에는 분지의 경계단층, 침식 부정합면, 관입암체 등의 지질구조가 인지되며, 지층을 연대가 젊은 층부터 차례로 층군 I, II, III, IV, V의 5개로 구분하였다. 연구지역은 분지형성 초기부터 장력이 작용하여 많은 정단층들을 형성하였으며, 미고결층 및 풍화층, 퇴적암층이 기반암인 선캠브리아기 흑운모 편마암을 피복하고 있다. 또한 북서-남동 방향으로 분포하는 퇴적암과 화강암의 경계가 단층에 의하여 수직적으로 구분된다. 이후 화강암류가 관입하여 풍암분지 각처에 지구조 파쇄대와 대소 단층을 발달시켰다. 관입암체인 안산암은 기존에 퇴적되었던 퇴적암층 V를 관입하였는데, 이는 풍암분지 내에서 마그마 관입에 따른 화산암의 생성이 간헐적으로 존재했음을 시사한다. 층군 I과 II에서와 같이 조립질 선상지 퇴적물과 화산쇄설물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퇴적물이 분지 내에 충진되면서 계속되는 주향이동의 지구조 운동을 받아 변형되었다.

  • PDF

충청도(忠淸道) 일원(一圓)의 금(金)·은(銀)광상(鑛床)에 대한 광물학적(鑛物學的) 연구(硏究) (Mineralogy of gold-silver deposits in Chungcheong Province)

  • 최선규;박노영;홍세선
    • 자원환경지질
    • /
    • 제21권3호
    • /
    • pp.223-234
    • /
    • 1988
  • A large number of gold and/or silver-bearing quartz veins occur in or near Mesozoic granite batholith elongated in a NE-SW direction within the Chungcheong Province. Precambrian schists and gneisses, and Jurassic and Cretaceous granitic rocks serve as hosts for gold and/or silver deposits. On the basis of Ag/Au total production and ore grade ratio, 15 mines may be divided into three major groups: gold-dominant deposits, gold-silver deposits, and silver-dominant deposits.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lectrum from skarn deposit (Geodo mine), alaskite-type deposit (Geumjeong mine) and 15 vein deposits was summarized. It was found that the Au content of electrum for vein deposits ranging from 5.2 to 86.5 is lower than that for skarn and alaskite deposits. Among 15 vein deposits, the composition of electrum associated with pyrrhotite is relatively high and has a narrow range of 40.8 to 86.5 atomic % Au, but the Au content of electrum with pyrite is in range of 5.2 to 82.8 atomic %, and is clearly lower than that with pyrrhotite. The grouping of ages for these mines indicates that gold and/or silver mineralizations occurred during two periods in the Mesozoic. Daebo igneous activities are restricted to gold mineralization in the range of 158 to 133 Ma, whereas Bulgugsa igneous activities are related to gold and/or silver mineralization ranging from 108 to 71 Ma. Generally speaking, Jurassic gold-dominant veins have many common characteristics; notably prominent association with pegmatites, simply massive vein morphology, high fineness in the ore concentrates, rarity of silver minerals, and a distinctively simple mineralogy, including sphalerite, galena, chalcopyrite, pyrrhotite and/or pyrite. Although individual deposits exhibit widely differing diversity, Cretaceous gold-silver and silver-dominant veins are characterized by features such as complex vein, low to medium fineness in the ore concentrates and abundance of silver minerals including Ag sulfosalts, Ag sulfides, Ag tellurides and native silver.

  • PDF

중부 옥천대 월악산과 속리산 화강암의 방사성 광물 산출상태와 U-Th 지구화학 (Occurrence of Radioactive Minerals and U-Th Geochemistry of the Weolaksan and Sokrisan Granite in the Central Ogcheon Belt)

  • 황정
    • 지질공학
    • /
    • 제32권2호
    • /
    • pp.295-310
    • /
    • 2022
  • 월악산-속리산 화강암은 SiO2와 알카리(Na2O+K2O) 함량이 높고 CaO와 P2O5는 결핍된 원소 특성을 보인다. 또한 화강암의 알루미나 포화지수는 1.3 이상으로 과알루미나질 특성을 보인다. U과 Th의 평균 함량은 각각 8.3과 39.3 ppm으로서 국내 중생대 화강암 중에서 가장 높은 방사성 원소 함량을 보이며, 화강암의 세계 평균보다 약 2배 정도로 높다. 이러한 높은 방사성 원소 함량 특성은 화강암의 고분화 특성과 대륙지각 기원의 암석 성인에 기인한다. U 또는 Th을 함유하는 방사성 광물은 저어콘, 토라이트, 모나자이트, 제노타임, 퍼구소나이트, 우라니나이트 등이다. 화강암의 Th/U 비 평균값이 5.4로서 지각 평균값과 유사하다는 것은 방사성 원소의 화강암 내 분포가 지각 기원 물질의 마그마 작용에 조절되었음을 의미한다. U과 Th에 대한 Zr, Y, HREE 간의 상관관계로 보아, 방사성 원소는 저어콘이나 모나자이트보다는 주로 제노타임에 포함되어 산출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Scale effects on triaxial peak and residual strength of granite and preliminary PFC3D models

  • Xian, Estevez-Ventosa;Uxia, Castro-Filgueira;Manuel A., Gonzalez-Fernandez;Fernando, Garcia-Bastante;Diego, Mas-Ivars;Leandro R., Alejano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1권5호
    • /
    • pp.461-476
    • /
    • 2022
  • Research studies on the scale effect on triaxial strength of intact rocks are scarce, being more common those in uniaxial strength. In this paper, the authors present and briefly interpret the peak and residual strength trends on a series of triaxial tests on different size specimens (30 mm to 84 mm diameter) of an intact granitic rock at confinements ranging from 0 to 15 MPa. Peak strength tends to grow from smaller to standard-size samples (54 mm) and then diminishes for larger values at low confinement. However, a slight change in strength is observed at higher confinements. Residual strength is observed to be much less size-dependent. Additionally, this study introduces preliminary modelling approaches of these laboratory observations with the help of three-dimensional particle flow code (PFC3D) simulations based on bonded particle models (BPM). Based on previous studies, two modelling approaches have been followed. In the first one, the maximum and minimum particle diameter (Dmax and Dmin) are kept constant irrespective of the sample size, whereas in the second one, the resolution (number of particles within the sample or ϕv) was kept constant. Neither of these approaches properly represent the observations in actual laboratory tests, even if both of them show some interesting capabilities reported in this document. Eventually, some suggestions are provided to proceed towards improving modelling approaches to represent observed scale effects.

한국 하천 모래톱의 지형학적 의미와 효능 - 낙동강 하곡을 사례로 - (Geomorphological significance and role of the sand bars of major river valleys in the South Korea - case study on the Nakdong river valleys -)

  • 오경섭;양재혁;조헌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4
    • /
    • 2011
  • 모래톱이 잘 발달함은 한국하천지형의 주요 특징이다. 이는 한편으로는 한국의 기후지형 환경과 관련하여 전국에 널리 분포하는 화강암 풍화 및 풍화층에서 다량의 모래를 하곡으로 공급하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심하게 굽이치는 곳이 많고 곡폭의 변화가 커서 모래 이동의 병목구간이 많을 수 밖에 없는 하곡의 배열과 형상 때문이다. 그리고 하계 집중호우로 인해 하천의 유황 변동 폭이 크다는 점도 사력퇴를 잘 발달시키는 수리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 모래톱들은 수분수지 불균형을 조절해주는 역할을 하면서 우수한 수질정화필터 역할을 한다. 이와 함께 모래톱들은 하천 어패류의 서식 산란 공간이 되고, 내륙에 수서성, 반수서성 식생이 군락을 이룰 수 있는 터전 역할을 한다. 모래톱은 자연생태계는 물론 인간 생활에 매우 긍정적 역할을 하고 있다.

옥천대 남서부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암류의$^{40}Ar/^{39}Ar$ 각섬석-백운모 연령에 대한 지구조적 의미 (Tectonic Implication of 40Ar/39Ar Hornblende and Muscovite Ages for Granitic Rocks in Southwestern Region of Ogcheon Belt, South Korea)

  • 김용준;박재봉;박영석
    • 암석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9-76
    • /
    • 1998
  • 옥천대 남서부지역에 분포하는 화강편마암과 광주화강암에서 분리한 각섬석과 백운모의 40Ar/39Ar 분석자료는 다음과 같은 지구조적 의미를 가진다. 이들 시료의 40Ar/39Ar 분석치는 모두 뚜렷한 연령 스펙트럼을 보이며 특히 방출된 39Ar 가스의 60% 이상으로 만들어진 37Arca/39Ark과 38Arcl/39Ark 프라토우(plateau)가 뚜렷하다. 각섬석에 대한 36Ar/40Ar 대 39Ar/40Ar 의 대비도는 시료 HN-100을 제외하고는 모두 뚜렷한 연령 프라토우를 보여준다. 고온단계에서 37Arca/39Ark 값은 38Arcl/39Ark 값의 상대적인 증가에 따른 불규칙성은 판상광물 사이에 들어있던 알곤 가스의 방출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HN-100은 40Ar/39Ar 전체 알곤가스 연령이 918 Ma로서 저온단계에서 알곤 방출이 있었고 고온단계에서 1360 Ma를 보인다. 전자는 대보운동에 의한 영향을 받은 시기이며, 후자는 선캠브리아기 화강편마암에 포획된 각섬석 결정이 폐쇄온도(약 $500\pm$$50^{\circ}C$)에 도달한 시기를 보여준다. 광주화강암류의 세 암상(각섬석 흑운모 화강섬록암, 흑운모 화강섬록암과 복운모 화강암)이 보이는 165 Ma를 전후한 연령은 저온단계에서 얼마간의 알곤가스 방출이 있었으며 또 기발표된 Rb/Sr 전암년령과 비교하여 젊은 년령을 보이는 것으로 미루어 이 시기는 대보운동의 영향을 받은 시기로 생각된다. 이들 40Ar/39Ar 광물년령과 기발표된 Rb/Sr 전암년령 및 K/Ar 광물년령은 옥천대 남서부지역이 100~150 m/m.y.의 느린 속도로 그리고 산이반도 지역은 100 m/m.y. 이하의 보다 느린 속도로 상승했음을 알려준다. 이 지역에서 가장 강력했던 지각변동 또는 화성활동은 원생대 중기(1360 Ma 전후)와 중생대 쥬라기 중기(약 165 Ma 전후)에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