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ucoside

검색결과 720건 처리시간 0.033초

'중모1020' 왕겨의 안토시아닌 동정 및 항산화 효과 검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hocyanins and Determin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in Rice-hull of a new Cultivar, 'Jungmo1020')

  • 나지은;박지영;서우덕;송유천;조준현;이종희;심은영;남민희;정일민;한상익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391-397
    • /
    • 2014
  • 새로 개발된 유색미 품종인 중모1020의 왕겨를 이용한 색소의 조성과 함량을 분석하고 생리활성을 검정한 결과, 중모1020의 왕겨로부터 최초로 페튜니딘 색소를 다량함유하고 있음을 Mass와 UPLC등의 기기분석을 통해 동정하였다. 중모1020의 색소 조성 중 C-3-G 함량은 29.6%인데 비해 Pt-3-G의 함량이 68.3%를 차지하여 C-3-G 함량이 82.3%인 기존의 벼 색소의 조성과는 완전히 다름을 보였다. 추출용매 조건에 따른 분석 결과, 조추출물 수율은 100% 메탄올에 1.0% HCl을 이용하였을 경우 수율이 11.4%로서 가장 높음을 보였고, 다음이 80% 메탄올에 1.0% HCl용매로 추출한 경우였다. 안토시아닌 색소 추출량 역시 1.0% HCl을 함유한 100% 메탄올과 80% 메탄올에서 각각 $275.0{\pm}4.1$, $258.0{\pm}1.8mg/100g$으로 가장 많았다. 항산화 활성 비교에서는 전체 안토시아닌 색소함량이 많고 폴리페놀 추출율이 높은 1.0% HCl을 함유한 80% 메탄올 용매 추출물에서 가장 항산화 활성이 높음을 보였다.

콩 Isoflavone의 생리활성 기능과 함량 변이 (Physiological Function of Isoflavones and Their Genetic and Environmental Variations in Soybean)

  • 김용호;김석동;홍은희;안완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spc1호
    • /
    • pp.25-45
    • /
    • 1996
  • Soyfoods have potential roles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hronic diseases, most notably cancer, osteoporosis, and heart disease. There is evidence that carcinogenesis are supressed by isolated soybean derived products in vivo such as a protease inhibitor, phytic acid, saponins and isoflavones. It is believed that supplementation of human diets with soybean products markedly reduces human cancer mortality rates. Especially, recent papers recognize the potential benefit of soybean isoflavone components for reducing the risk of various cancers. Isoflavones exhibit a multitude of medicinal effects that influence cell growth and regulation, which may have potential value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ncer. In addition to potential biological effects, soybean isoflavones have the important physiological functions such as the induction of Bradyrizobium japonicum nod genes and the responses of soybean tissues to infection by Phytophthora megasperma as well as biochemical activities such as antifungal and antibacterial actions. Genistin, daidzin, glycitin and their aglycone (genistein, daidzein, glycitein) are the principal isoflavones found in soybean. Malonyl and acetyl forms have also been detected but they are thermally unstable and are usually transformed during the processing in glucoside form. Most soy products, with the exception of soy sauce, alcohol-extracted soy protein concentrate, and soy protein isolate, have total isoflavone concentrations similar to those in the whole soybean. Soybean-containing diets inhibit mammary tumorigenesis in animal models of breast cancer, therefore, it is possible that dietary isoflavones are an important factor accounting for the lower incidence and mortality from breast cancer. Of the total soybean seed isoflavones, $80\~90\%$ were located in cotyledons, with the remainder in the hypocotyls. The hypocotyls had a higher concentrations of isoflavones on a weight basis compared with cotyledons. Isoflavone contents were influenced by genetics, crop years, and growth locations. The effect of crop year had a greater impact on the isoflavone contents than that of location. The climate condition might be the attribution factor to variation in isoflavone contents. Also, while the isoflavone content of cotyledons exhibited large variations in response to high temperature during seed development, hypocotyls showed high concentration in isoflavone content. So, it is concluded that one of the factors affecting isoflavone content in soybean seeds is temperature during seed development. High temperature, especially in maturity stage, causes lower isoflavone content in soybean seed.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re may exist a different mechanism to maintain isoflavone contents between cotyledon and seed hypocotyls. In a conclusion, soy foods may be able to have a significant beneficial impact on public health.

  • PDF

콩과 벼 현탁배양(懸濁培養) 중 PCP 수용성대사물(水溶性代謝物)의 동정(同定);3. PCP glucose conjugates의 동정(同定) (Identification of Water Soluble Metabolites of Pentachlorophenol(PCP) in the Suspension Cultures of Soybean and Rice Cells;3. Identification of PCP Glucose conjugates)

  • 김필제;박창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7-178
    • /
    • 1996
  • 전보에서 대두(大豆)와 벼의 현탁배양세포(懸濁培養細胞)에서 생성된 PCP의 주요 수용성대사물은 PCP를 비롯한 여러 종류의 염화페놀과 glucose간 ${\beta}-linkage$로 연결된 ${\beta}-glucoside$ 구조를 가질 것으로 추정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conjugates를 가수분해시키지 않는 조건에서 기기적인 방법으로 그 구조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Acetyl화(化) 한 glucose conjugates는 aglycones 분석에서 예상한 대로 3종류 이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충분히 정제한 각각의 acetyl화(化) 대사물을 FAB-MS로 분석한 결과 분자량과 aglycones part와 관련된 특징적 spectral data 등 conjugates 구조 확인에 필수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구조적 정보와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 즉 현탁배양초기에 생성된 PCP의 glucose conjugates는 ${\beta}-glucosidase$에 의해 특징적으로 가수분해되고, aglycones이 PCP 외에도 tetrachlorophenol 및 tetrachlorocatechol 등이라는 사실을 종합할 때 현탁배양에서 생성된 conjugates는 주로 pentachlorophenyl ${\beta}-D-glucopyranoside$, tetrachlorophenyl ${\beta}-D-gluco$ pyranoside 및 2-hydroxy-3,4,5,6-tetrachlorophenyl ${\beta}-D-glucopyranoside$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국내산 콩과 수입콩의 Isoflavone, Phytic Acid 및 Oligosaccharides 함량 (Isoflavone, Phytic Acid and Oligosaccharide Contents of Domestic and Imported Soybean Cultivars in Korea)

  • 류승현;김성란;김경탁;김성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29-235
    • /
    • 2004
  • 국내산 대두 품종 7종과 외국산 3종을 포함한 10종에 대하여 일반성분, 식이섬유, 대두올리고당, isoflavone 및 phytic acid 함량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수분 7.6-11.9%, 조단백질 32.8-41.0,% 조지방 12.8-20.1% 및 회분 4.6-5.7%의 범위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식이섬유 함량은 16.83-21.71%로 품종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종실 전체의 phytic acid 함량은 2.07-3.02% 범위로 검정콩이 3.02%로 가장 높았고, 캐나다산 콩나물콩, US No. 1, 미국산 콩나물콩의 phytic acid 함량은 각각 2.07%, 2.22%, 2.16%로 국내산 품종들보다 약간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주요 품종의 부위에 따른 phytic acid 함량 분포는 배축보다 자엽에 1.5 -2배 높은 양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실 전체의 isoflavone 함량은 371-2,398 $\mu\textrm{g}$/g으로 품종간 차이가 켰으나 신팔달통 2호가 2,398.9 $\mu\textrm{g}$/g으로 제일 많았으며 대부분 glucosides 형태로 존재하였다. Isoflavone의 aglycones별 비율은 genistein이 52%, daidzein이 36%, glycitein이 11%로 50% 이상이 genistein으로 존재하였다. 황금콩, 다원콩, 검정콩 및 미국산 콩나물콩의 isoflavone 함량이 371-742 $\mu\textrm{g}$/g 대체적으로 낮았다. 주요 품종의 자엽과 배축 isoflavone 함량 및 분포를 분석한 결과 배축 부위의 isoflavone 함량은 6,120.1-16,921.2 $\mu\textrm{g}$/g였으며 glycitein 계가 48%, daidzein 계가 35%, genistein 계가 10%의 비율로 존재하였다. 자엽의 isoflavone 함량은 375-2,393 $\mu\textrm{g}$/g였으며 genistein 계가 55%, daidzein 계가 38%로 존재하였고 glycitein 계는 검출되지 않았다. 올리고당 총 함량은 9.613.1% 범위로 품종간 차이가 있었으며 stachyose 함량은 3.0-3.9%, raffinose 0.8-l.2%, sucrose 4.6-7.8%, fructose 0.3-0.8%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구연산 및 효소 불활성화 처리가 오디술의 C3G 안정성과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itric acid and enzyme inactivation treatment on C3G stability and antioxidant capacity of mulberry fruit alcoholic drink)

  • 김현복;김정봉;구희연;석영식;서상덕;김선림;성규병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36-40
    • /
    • 2013
  • 안토시아닌 색소는 일반적으로 pH에 따라서 색이 변하는 매우 불안정한 색소이며, 유기용매인 ether, ethyl acetate, acetone에는 녹지 않고 물과 알콜에 잘 녹는 수용성 색소로 알려져 있다. 또한 금속이온과 chelate compound를 형성하여 특유의 색을 띄며, sucrose, glucose, fructose, xylose, fomiate, luvuliniate, 5-hydroxymethylfurfural 및 furfural 등에 의해 분해가 촉진되고, 산소가 없을 때는 안정하나 산소가 존재하면 갈변하는 성질을 갖고 있다. 오디를 첨가하여 술을 제조하는 경우에도 여러 가지 인자에 의해 C3G 색소의 함량 변화 및 갈변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고 오디의 이용을 촉진하기 위해 C3G 색소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가공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냉동된 오디는 전자렌지를 이용하여 3분간 blanching 하는 것이 항산화능을 안정화시키고 색소의 안정성에 관여하는 효소를 불활성화 시킴으로써 저장기간에 따른 C3G 색소의 파괴를 억제시켰다. Sucrose 2.5% 및 citric acid 0.1%를 첨가하는 것이 C3G 함량이 높았다. 2. 냉동건조 오디를 사용할 경우 오디색소 함량과 항산화능이 처리구 중 가장 높았으나 동결건조 비용이 부담되므로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3. 보관용기(투명유리병, 갈색유리병, 알루미늄 호일, 녹색유리병, 반투명유리병)보다 효소 불활성화 처리 및 구연산의 첨가가 항산화색소 C3G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제주도 양식넙치 (Paralichthys olivaceus)로부터 분리한 비 용혈성 연쇄구균의 동정 (Characterization of Streptococcus parauberis isolated from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the Jeju Island)

  • 강철영;강봉조;문영건;김기영;허문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9-11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연구보고는 아직 없는 실정이나 양식터봇의 연쇄구균 병원체로 보고 된 바가 있는 제주 양식넙치에서 분리되는 γ 용혈성의 연쇄구균인 Streptococcus parauberis의 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S. parauberis에 대한 분리균주의 탄소원을 기질로 이용하는 특성은 Annette and Collllins (1990)가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였다.또한 분리된 균주들을 계통분류학적 분석 결과 Accesion number AY584477 하나의 그룹으로 묶였지만 S. iniae와는 다른 그룹으로 묶였다. 그러나 Collins가 Streptococcus iniae (X58306)와 S. parauberis (X89967)이 한 그룹으로 묶인다고 발표한 것과는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 16S rRNA gene에 대한 염기서열 분석 결과는 S. parauberis (AY942572)와 98%이상의 상동성을 나타내어 S. parauberis로 동정하였다. S. parauberis는 S. uberis type Ⅱ로 분류되었으나 Williams and Collins (1990)에 의해서 S. parauberis라는 종명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제주도 양식넙치의 연쇄구균증 병원체로 S. parauberis로 판단되나 이번 실험에서 감염실험이 수행되지 않아 앞으로 본 병원체에 대한 감염 실험과 병리학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되어진다.

사상균 Naringin 분해 효소에 관한 연구-[제1보] 우량 균주의 분리 선별과 선별균의 조효소 성질에 관하여- (Studies on the Naringinase of Mold-[part 1] Screening test of Molds on the Production of Naringinase and some properties of Crude Enzyme of Selected strain-)

  • 기우경;성낙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3권3호
    • /
    • pp.237-242
    • /
    • 1970
  • 밀감류 등의 고미 성분의 일종인 Naringin을 분해하는 효소를 생성하는 사상균을 분리 선별하여 실용화에 알맞는 S-1 균주 효소 Naringinase의 몇가지 효소학적 성질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Naringinase S-1은 Pectinase의 생성이 비교적 약하였으며 최적 활성 pH의 범위는 pH $3.0{\sim}5.0$사이었다. 2. Naringinase의 생성은 배지에 Naringin첨가에 의하여 많이 증가되었다. 3. 적당한 효소농도 이상에서는 Naringin의 분해는 0.1% 기질 농도에서는 80% 까지는 거의 직선적이었으며 고농도의 기질농도에서는 활성도가 낮았다. 4. 최적 활성 pH는 $50^{\circ}C$이었으며 열안정성은 $50^{\circ}C$에서 2시간 열처리에 의하여서는 별 역가의 감소가 없었으나 60.C에서 30분에 40% $70^{\circ}C$에서 10분만에 70%의 불활성화를 나타내었다. 5. Glucose는 효소작용에 있어 경쟁적으로 저해하였으며 저해정수는 1.5 Mol이었고 Sucrose에 의한 저해는 l Mol 농도에서 56%의 저해를 가져왔다.

  • PDF

Stress에 의한 대두의 Isoflavonoid 화합물 축적변화 (Changes in the Accumulation of Isoflavonoids in Soybeans by Stress)

  • 김진태;김장억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2권
    • /
    • pp.9-22
    • /
    • 1994
  • Soybean mosaic virus에 감수성 품종인 단경콩과 저항성 품종인 팔달콩의 cotyledon에 여러형태로 자극을 처리하였을때 유도되는 isoflavone aglycones(daidzein, genistein)와 이들 배당체들(daidzin, genistin)의 시간별 축적 정도를 조사하였다. UDP-glucose, $MgSO_4$, $HgCl_2$의 처리 및 Botrytis cinerea의 감염에 의하여 두 품종 모두 isoflavone aglycones와 이들 배당체들의 함량이 대조구(water 처리)와 비교하여 증가하였다. 그러나 citrate의 처리에 의해서는 isoflavone aglycones의 함량은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isoflavone glucosides의 함량은 크게 증가하였다. UDP-glucose, $MgSO_4$$HgCl_2$의 처리에 의하여 isoflavone aglycones의 함량은 단경콩보다 팔달콩에서 크게 나타났다. 특히 daidzein의 경우, 단경콩보다 팔달콩에서 현저하게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Botrytis cinerea의 감염에 의해서 daidzein의 최대 축적 양에는 두 품종 사이에 큰 차이가 없으나 최대 축적 시간은 팔달콩이 단경콩보다 빠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그 배당체인 daidzin과 geinstein의 축적은 단경콩보다 팔달콩에서 모든 자극처리에의해 높게 나타났다. UDP-glucose, $MgSO_4$, 및 $HgCl_2$의 처리에 의한 daidzein과 geinstein이 축적되는 양은 단경콩에서는 초기에는(24hr까지)에는 비슷하나, 48hr이후에는 daidzein의 축적이 geinstein의 함량보다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팔달콩에서는 대체로 전 기간에서 daidzein의 함량이 geinstein의 함량보다 크게 나타났다. 병원균의 감염에 의해서는 두 품종에서 모두 daidzein의 양이 geinstein의 양보다 크게 나타났다.

  • PDF

천연 치자 색소의 연구개발 동향 (A Trend in Research and Development of Natural Gardenia Pigments)

  • 신현재
    • KSBB Journal
    • /
    • 제22권5호
    • /
    • pp.271-277
    • /
    • 2007
  • 치자나무 (Gardenia jasminoides)는 우리나라 남부 지방에 널리 분포하는 이리도이드 (iridoid)계 꼭두서니과의 수목으로서 그 열매인 치자는 예로부터 옷감의 염료, 식용 색소 및 한방 약재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치자에 함유된 주요성분으로는 치자 과실에 이리도이드 배당체인 제니핀 (genipin: $C_{11}H_{14}O_5$)과 제니포사이드 (geniposide: $C_{17}H_{24}O_{10}$) 및 겐티오비오시드 (gentiobioside), 크로신 (crocin), 노나코산, 기르네노시드, 만니톨 등이 있고 잎에는 가데오시드 (gardeoside)가 포함되어 있다. 치자색소중 가장 대표적인 치자황색소는 매염처리에 따라 색상이 거의 변하지 않는 단색성 염료이면서 매염처리를 하지 않고도 면직물 등의 식물섬유에 염색이 되는 직접 염료로서 그 시장가치가 높다. 현재 치자황색소는 가격경쟁의 격화에 따라 금액 기준으로 약간 감소하고 있으나 수요 그 자체는 라면 등 식품을 중심으로 광범위한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치자청색소는 치자추출물을 효소반응이나 미생물 배양을 통한 가수분해에 의해 다량의 제니핀으로 전환하여 여러 아미노산과 함께 생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치자청색소는 단백질 섬유에 염색한 결과 매염제 없이도 우수한 착색을 보였으며, 견뢰도도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냉과류의 합성착색료 대체품으로 신장하고 있는 스피룰리나 청색소와 가격경쟁력이 있어서 앞으로의 수요는 더 커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치자적색소는 520-540 nm에서 최대흡광도를 나타내며, 이는 청색소와 마찬가지로 이리도이드 배당체를 효소 및 미생물로 가수분해한 구성물과 일차 아미노 그룹을 포함한 기질과 함께 반응함으로써 형성된다. 치자 색소는 식품 뿐만 아니라 섬유의 염색에도 우수한 천연색소로서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앞으로 식품에 있어서 천연색소로의 대체가 당면한 과제이며 이를 위해 식용색소로서 조건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기술개발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천연색소의 안정성 문제는 식품 뿐만 아니라 화장품, 섬유 염색 등 거의 모든 부분에서 제약이 되므로 추후 천연염료 (특히 치자 염료)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품질 개발과 생산 코스트 다운을 위한 연구는 전체 천연색소 시장의 성장에 필수불가결하다.

Screening the level of cyanogenic glucosides (dhurrin) in sorghum accessions using HPLC analysis

  • Choi, Sang Chul;Chung, Yong Suk;Lee, Yun Gyeong;Park, Yun Ji;Kim, Changsoo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04-104
    • /
    • 2017
  •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rops for human and animal nutrition. Nonetheless, sorghum has a cyanogenic glucoside compound which can be degraded into hydrogen cyanide, toxic to humans and animals even with tiny amount. In consequence, breeding materials with a low cyanide level has been a top priority in sorghum breeding programs. To fulfill our long-term goal, we are screening sorghum accessions with low cyanide level, which would be an important breeding material for food safety. We collected seeds of various sorghum accessions and analyzed relevant metabolites to find useful breeding materials of sorghum accessions containing low cyanide. Fourteen wild relatives were obtained from the University of Georgia in US, a reference accession BTx623, and three local varieties from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n Korea, and one wild species from the Wild Plant Resources Seed Bank of Korea University in Korea. Sorghum plants were grown in plastic greenhouse under natural conditions. After growing, leaf samples were harvested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seedling phase, vegetative phase (right before flowering), and reproductive phase (ripening). Using collected samples, quantific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by an HPLC system for three metabolites (dhurrin, 4-hydroxybenzaldehyde, and 4-hydroxyphenylacetic acid) in sorghum plants. Prior to metabolome analysis, specific experimental condition for HPLC system was set to be able to separate three metabolites simultaneously. Under this condition, these metabolites were quantified in each accession by HPLC system. We observed that the metabolite contents were changed differently by developmental stages and accessions. We clustered these results into five groups as patterns of their contents by developmental stages. Most of accessions showed that 4-hydroxybenzaldehyde content was very high at seedling stage and decreased rapidly at vegetative phase. Interestingly, the patterns of dhurrin content were very different among clusters. However, 4-hydroxyphenylacetic acid content was maintained at low levels by developmental stages in most accessions. The results would demonstrate how dhurrin and alternative degradation pathways are differentiated in each access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