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seng quality

검색결과 716건 처리시간 0.025초

프로바이오틱 균주에 의한 인삼 잎 추출물 발효공정 확립 및 생성물의 품질 특성분석 (Development of Fermentation Process of Ginseng Leaf Extraction Probiotic Strain and Characterization of Product Quality)

  • 허상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213-1223
    • /
    • 2018
  • 본 연구는 인삼 잎의 이용증대를 위해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인삼 잎의 잔류농약 추출효과와 발효 인삼 잎의 ginsenoside 유용 유도체의 전환 검토 및 품질 특성을 분석 하였다. 인삼 잎에 잔류되어 있는 tolclofos-methyl와 azoxystrobin을 microwave로 추출하기 위한 용매는 hexane이 가장 효율적 이었다. tolclofos-methyl와 azoxystrobin이 잔류되어 있는 인삼 잎에서의 microwave를 이용한 추출 최적 조건은 power 50~95 watts, 추출용매는 hexane, 추출시간은 3분으로 나타났다. 인삼 잎 추출물의 발효에서 발효전과 비교하여 $Rg_1$$Rb_1$은 감소한 반면 $Rh_1$, $Rg_3$, $Rk_1$$Rh_2$는 발효 후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홍삼에서 대표적인 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Rg_3$의 경우 발효전 $2.77{\mu}g/g$에서 발효 후 균주의 종류에 따라 $70.62{\sim}77.61{\mu}g/g$으로 증가하였다. 7일간 발효 후 인삼 잎의 총 페놀성 화합물 및 전자공여능은 일부 균주에서는 발효전과 비교하여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hytochemical analysis of Panax species: a review

  • Yang, Yuangui;Ju, Zhengcai;Yang, Yingbo;Zhang, Yanhai;Yang, Li;Wang, Zhengtao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5권1호
    • /
    • pp.1-21
    • /
    • 2021
  • Panax species have gained numerous attentions because of their various biological effects on cardiovascular, kidney, reproductive diseases known for a long time. Recently, advanced analytical methods including thin layer chromatography, high-performance thin layer chromatography, gas chromatograph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ltra-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tandem ultraviolet, diode array detector, evaporative light scattering detector, and mass detector, two-dimensional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igh speed counter-current chromatography, high speed centrifugal partition chromatography, micellar electrokinetic chromatography, high-performance anion-exchange chromatography, ambient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molecularly imprinted polymer, enzyme immunoassay, 1H-NMR, and infrared spectroscopy have been used to identify and evaluate chemical constituents in Panax species. Moreover, Soxhlet extraction, heat reflux extraction, ultrasonic extraction, solid phase extraction,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pressurized liquid extraction, enzyme-assisted extraction, acceleration solvent extraction, matrix solid phase dispersion extraction, and pulsed electric field are discussed. In this review, a total of 219 articles published from 1980 to 2018 are investigated. Panax species including P. notoginseng, P. quinquefolius, sand P. ginseng in the raw and processed forms from different parts, geographical origins, and growing times are studied. Furthermore, the potential biomarkers are screened through the previous articles. It is expected that the review can provide a fundamental for further studies.

인삼제품(人蔘製品)의 품질안정성(品質安定性)에 관한 연구(硏究) -3. 홍삼정(紅蔘精), 정분(精粉) 및 정차(精茶)의 흡습특성(吸濕特性)과 적정수분함량(適正水分含量) 기준설정(基準設定)- (Studies on Stability for the Quality of Ginseng Products -3. Determination of Sorption Properties and Optimum Moisture Contents in Extract, Extract Powder and Extract Tea of Red Ginseng-)

  • 최진호;변대석;박길동;김무남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15-221
    • /
    • 1984
  • 인삼제품(人蔘製品)의 품질안정성(品質安定性)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홍삼정(紅蔘精)(RGE),홍삼정분(紅蔘精紛)SD-RGEP) 및 홍삼정차(紅蔘精茶)(RGET)에 대한 흡습특성(吸濕特性)을 조사(調査)하였고, 또 제품별(製品別) 평형수분(平衡水分) 함량(含量)으로 BET 방정식(方程式)에 따라 단분자막수분함양(單分子膜水分含量)을 구하여 이들 제품(製品)의 적정수분함량(適正水分含量)을 설정(設定)하였으며, 제품별기준수분함량(製品別基準水分含量) 및 현행유통과정(現行流通過程) 중의 수분함량(水分舍量)과 비교(比較)하였다. 1. 홍삼정분(紅蓼精粉)은 단분자막수분함량(單分子膜水分合量)이 4.08${\sim}$4.65%의 범위안에 있으므로 기준수분함량(基準水分含量)을 하향조정(下向調整)하여 적정수분함량(適正水分含量)으로 4.4${\pm}$0.3%로 설정(設定)함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2. 홍삼정차(紅蔘精茶)(RGET)는 0.93$\sim$l.37%의 범위 안에서 BET 단분자막(單分子膜)을 형성(形成)하므로 홍삼정차(紅蔘精茶)의 기준수분함량(基準水分含量)(1.2%이하) 보다 0.17%까지 상향조정(上向調整)이 가능(可能)하다고 판단된다. 3. 제품별(製品別) 초기수분함량(初期水分含量)을 조정(調整)하여 학대조건(虐待條件)($48{\pm}2^{\circ}C$, 75% RH)하에서의 저장실험(貯藏實驗)한 결과(結果)는 단분자막수분함량(單分子膜水分合量)보다 높은 량(量)에서도 안정(安定)하였으나 기타의 노화반응(劣化反應)을 고려하여 단분자막수분함량(單分子膜水分含量)으로 설정(設定)하 는 것이 적당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본 저장(貯藏) 실험(寶驗)은 개선(改善)된 내정(內栓)(Al-foil $11{\mu}m$)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안정성(安定性)이 더 증가(增加)된 것으로 판단되므로 현행(現行) 포장재질(包裝材質)의 개선(改善)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4. 홍삼정(紅蓼精)(RGE)의 적정수분함량(適正水分含量) 설정(設定)을 위한 미생물생육조사(微生物生育調査) 결과(結果) 어떤 균주(菌株)라도 51 %이하의 수분함량(水分含量)에서는 생육(生育)이 불가능(不可能)하였으나 홍삼정(紅蒙精)의 기준수분함량(基準水分含量)(36.0${\pm}$1.0%)보다 4%정도 상향조정(上向調整)한 40.0${\pm}$1.0%로 적정수분함량(適正水分含量)을 설정(設定)하는 것이 유통과정(流通過程) 중의 점도(粘度)의 증가(增加) 등의 문제점을 다소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비만 여성에서 한방 비만 변증에 따른 홍삼의 비만 개선 효과 : 무작위 배정, 이중 맹검, 위약 대조 임상시험 (Efficacy of Red Ginseng by Oriental Medical Obesity Syndrome Differentiation on Obese women :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 권동현;이명종;임지연;;이수진;김호준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4
    • /
    • 2011
  • Objectives This trial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Red Ginseng by oriental medical obesity syndrome differentiation on obese women as compared to placebo. Methods 50 obese women were recruited and randomized to receive Korean Red Ginseng(n=24) or placebo(n=26) for 8 weeks. Anthropometric factors, serum lipid, glucose, blood pressure, pulse rate, resting metabolic rate, Korean version of obesity-related quality of life(KOQOL) scale and oriental medical obesity syndrome differentiation questionnaire were measured at baseline and 8 weeks. Adeverse events and safety outcomes variables were also checked during trials. Results and Conclusion There was significant efficacy of Red Ginseng on obese women in body weight, body fat mass, waist-hip ratio, food intake, KOQOL as compared with baseline. But there was no efficacy as compared with placebo group except KOQOL. There was no difference of efficacy compared with the oriental medical obesity syndrome differentiation.

인삼 논재배에 적응하는 품종 선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election of Adaptable Varieties in Paddy - Field of Ginseng Culture)

  • 강승원;이성우;현동윤;연병열;김영창;김영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416-420
    • /
    • 2010
  • Root yield and quality of ginseng cultured in paddy soil was low relatively compared with that of upland soil because of moisture injury in root during rainy season. Drainage class in soils generally divided into 6 classes, and it is possible to cultivate ginseng practically in imperfectly drainage class (IDC). This study carried out to select the varieties that is suitable for paddy soil, which is easy to be generated rusty-colored root and physiological-discolored leaf. Experiment plot arranged with the condition of soil humidity contents such as poorly drainage class (PDC) and imperfectly drainage class (IDC), and upland soil. Growth characteristics and root yield were investigated in four-year-old ginseng of varieties, Cheonpoong (CP), Yeonpoong (YP), Hwangsookjong (HS), and Jakyeongjong (JK). CP among four varieties showed the highest yield in IDC and CP was the lowest ratio in leaf discoloration and rusty-colored root. HS was followed by CP in the order of root yield, but it had the weakness that the ratio of rusty-colored root was high respectively.

등외품 인삼(파삼)의 유산균 발효에 의한 저분자 진세노사이드 함량 증진 (Enhancement of Low Molecular Ginsenoside Contents in Low Quality Fresh Ginseng by Fermentation Process)

  • 최운용;이춘근;송치호;서용창;김지선;김보현;신대현;윤창순;임혜원;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7-123
    • /
    • 2012
  • This study compared the contents of low molecular ginsenoside according to fermentation process in low grade fresh ginseng. Low grade fresh ginseng was directly inoculated with a 24 h seed culture of $Bifidobacterium$ Longum B6., $Lactobacillus$ $casei$., and incubated at $36^{\circ}C$ for 72 h. $Bifidobacterium$ Longum B6 was specifically was found to show the best growth on $3,255{\times}10^6\;CFU/m{\ell}$ after 48 h of fermentation. The content of ginsenoside Rb1, Re and Rd were decreased with the fermentation but ginsenoside Rh2 and Rg2 increased after fermentation process. In the case of low molecular ginsenoside conversion yields were 56.07% of Rh2, 12.03% of Rg3 and 77.11% of Rg2, respectively. In addition, compound-K was irregular conversion yield as long as 72 h of fermentation. This results indicate that fermentation process could increase the low molecular ginsenoside in low grade fresh ginseng.

건조 House의 차광조건과 버어리종 담배건조 (Effect of Shading Conditions on Curing of Burley Tobacco in Pipe Vinyl Houses)

  • 배성국;추홍구;임해건;류점호;한철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48-251
    • /
    • 1983
  • 차관율을 달리하여 Burley 21을 공시하고 급건엽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온도는 차광량이 적을수록 높았으며 상대온도는 떨어졌다. 2. 줄말림시 엽면에서 받는 광량은 10%미만으로 그 양이 적었다. 3. 건조경과는 차광량이 적을수록 빨랐으며, 급건엽도 더 발생하였다. 4. 품질은 처리간 유의차가 없었으나 물리성 및 연소성은 차광량이 적은 처리에서 떨어졌다. 이와 같이 차광효과는 실제 엽면에 수광량이 적어서 주로 온습도의 영향으로 보며 충분한 환기로 급건엽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PDF

Preparative separation of minor saponins from Panax notoginseng leaves using biotransformation, macroporous resins, and preparativ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Liu, Fang;Ma, Ni;Xia, Fang-Bo;Li, Peng;He, Chengwei;Wu, Zhenqiang;Wan, Jian-Bo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3권1호
    • /
    • pp.105-115
    • /
    • 2019
  • Background: Ginsenosides with less sugar moieties may exhibit the better adsorptive capacity and more pharmacological activities. Methods: An efficient method for the separation of four minor saponins, including gypenoside XVII, notoginsenoside Fe, ginsenoside Rd2, and notoginsenoside Fd, from Panax notoginseng leaves (PNL) was established using biotransformation, macroporous resins, and subsequent preparativ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esults: The dried PNL powder was immersed in the distilled water at $50^{\circ}C$ for 30 min for converting the major saponins, ginsenosides Rb1, Rc, Rb2, and Rb3, to minor saponins, gypenoside XVII, notoginsenoside Fe, ginsenoside Rd2, and notoginsenoside Fd, respectively, by the enzymes present in PNL.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these minor saponins on five types of macroporous resins, D-101, DA-201, DM-301, X-5, and S-8, were evaluated and compared. Among them, D-101 was selected due to the best adsorption and desorption properties. Under the optimized conditions, the fraction containing the four target saponins was separated by D-101 resin. Subsequently, the target minor saponins were individually separated and purified by preparativ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a reversed-phase column. Conclusion: Our study provides a simple and efficient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these four minor saponins from PNL, which will be potential for industrial applications.

초석잠과 인삼의 항산화 활성 및 분말로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 (Antioxidative Capacities of Stachys sieboldii MIQ and Ginseng Powders and Their Effect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 나보람;이정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68-76
    • /
    • 2017
  • 초석잠과 인삼 분말을 80% 에탄올로 추출하여 총페놀 함량(total phenol content, TPC)과 항산화 활성도를 조사한 결과 초석잠이 인삼보다 3.12배 많은 TPC를 함유하고, DPPH 라디칼 소거능은 16.83배, FRAP는 3.39배, TEAC는 3.18배 높게 나타났다. 초석잠과 인삼 추출물의 $H_2O$(Fr. I), 30% 에탄올(II), 50% 에탄올(III), 70% 에탄올(IV), 100% 에탄올(V) 분획물의 TPC와 항산화 활성도는 각 분획물에서 초석잠이 인삼보다 2.2~6.1배 많은 TPC를 함유하며 유의적으로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 FRAP value, TEAC value를 나타내었다. 또한, 초석잠 추출물의 TPC는 Fr. III>II> I> IV> V의 순으로, 인삼 추출물은 Fr. I~III> IV~V순의 경향을 나타내어 초석잠 추출물의 분획물은 극성이 높을수록 항산화능을 가진 페놀물질을 비교적 많이 함유하고, 인삼의 페놀물질은 초석잠보다 극성이 낮을 것으로 생각한다. 초석잠과 인삼 분말 5%와 10%를 첨가하여 쿠키를 제조한 후 퍼짐성, 경도, 색도 및 관능적인 특성을 대조군(밀가루 박력분)과 비교하여 평가한 결과, 초석잠과 인삼 분말 첨가시 쿠키의 퍼짐성은 증가하였으며, 경도는 초석잠 쿠키에서는 증가하고 인삼 쿠키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첨가량이 5%에서 10%로 증가할 경우 퍼짐성과 경도는 증가함을 보였다. 첨가군 쿠키는 낮은 명도와 강한 적색을 보였으며, 그중 초석잠 10% 첨가 쿠키는 유의적으로 가장 어둡고 진한 적색를 띠었으며 이는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관능검사 결과 초석잠 쿠키는 색상면에서 기호도는 낮았지만 향은 대조군과는 유사하고 인삼 쿠키보다는 높은 기호도 점수를 받았으며, 맛과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대조군과 인삼 쿠키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따라서 초석잠은 인삼보다 항산화력이 우수하고, 인삼 특유의 진한 향과 쓴맛과는 달리 구수한 맛과 향을 지니고 있어 베이커리 제품을 비롯한 가공식품의 제조 시 맛과 향이 우수한 건강 기능성 식품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가공식품에서의 초석잠 이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분말형태뿐만 아니라 농축액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제조하여 가공식품 개발에 적용하고 조리에 응용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토양수분함량이 묘삼의 광합성 및 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Moisture Content on Photosynthesis and Root Yield of Panax ginseng C. A. Meyer Seedling)

  • 이성우;현동윤;박춘근;김태수;연병열;김충국;차선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367-370
    • /
    • 2007
  • 토양수분함량이 묘삼의 생육특성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비가림 시설하우스에서 토양수분을 $100{\sim}400$mbar 수준으로 조절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광합성량은 토양수분의 감소에 따라 차차 감소되었는데, 토양수분이 매우 적은 조건에서는 뚜렷이 감소되었다. 2. 광합성량은 $25^{\circ}C$보다 $30^{\circ}C$에서 뚜렷이 감소되었으며, 광포화점은 온도에 따라 차이를 보여 $25^{\circ}C$에서는 약 $600{\mu}mol/m^2/s$로 높았으나 $30^{\circ}C$에서는 약 $300{\mu}mol/m^2/s$로. 낮아졌다. 3. 증산량은 광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고 토양수분이 감소할수록 감소되었는데, 토양수분이 많았던 처리에서는 온도에 관계없이 고광조건에서 증산량이 매우 많았으나 $30^{\circ}C$의 고온과 400 mbar의 낮은 토양수분 조건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폭의 감소를 보였다. 4. 엽장, 엽폭, 엽록소함량 및 잎의 수분함량은 토양수분의 감소에 따라 차차 감소되었으며, 고온장해율은 토양수분이 감소될수록 뚜렷이 증가되었다. 5. 총근중, 주당근중 및 본포에 이식이 가능한 묘삼의 수량성은 토양수분의 감소에 따라 뚜렷이 감소되어 묘삼생산에 적합한 토양수분함량은 용수량의 63% (절대수분함량 18.9%) 수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