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seng products

검색결과 666건 처리시간 0.032초

백삼과 홍삼의 페놀성 성분 함량 및 멜라닌 생성억제효과 (Comparison of Phenolic Compounds Contents between White and Red ginseng and Their Inhibitory Effect on Melanin Biosynthesis)

  • 황은영;공연희;이영철;김영찬;유경미;조연옥;최상윤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0권2호
    • /
    • pp.82-87
    • /
    • 2006
  • 백삼과 홍삼의 quercetin, cinnamic acid, p-coumaric acid, maltol, esculetin 함량을 측정한 결과 백삼에는 cinnamic acid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홍삼에는 증숙과정 중에 생성되는특이 성분인 maltol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인삼시료 중 백삼의 ethyl acetate 분획물은 melan-a 세포주에서의 세포생존율 대비 멜라닌 생성억제활성측정, UV-흡수도 측정, tyrosinase 억제활성 측정에서 모두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의 활성 성분으로는 cinnamic acid가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한편, maltol을 다량 함유한 홍삼 ethyl acetate 분획물은 UV-흡수 활성을 보였으나 다른 유의적인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인삼소재 중 백삼 ethyl acetate 분획물은 피부미백소재로써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Acremonidin E produced by Penicillium sp. SNF123, a fungal endophyte of Panax ginseng, has antimelanogenic activities

  • Kim, Kyuri;Jeong, Hae-In;Yang, Inho;Nam, Sang-Jip;Lim, Kyung-Mi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5권1호
    • /
    • pp.98-107
    • /
    • 2021
  • Background: Ginseng extracts and ginseng-fermented products are widely used as functional cosmetic ingredients for their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Recently, increasing attention has been given to bioactive metabolites isolated from endophytic fungi.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bioactive metabolites of the fungi associated with Panax ginseng Meyer. Methods: An endophytic fungus, Penicillium sp. SNF123 was isolated from the root of P. ginseng, from which acremonidin E was purified. Acremonidin E was tested on melanin synthesis in the murine melanoma cell line B16F10, in the human melanoma cell line MNT-1, and in a pigmented 3D-human skin model, Melanoderm. Results: Acremonidin E reduced melanogenesis in α-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α-MSH)-stimulated B16F10 cells with minimal cytotoxicity. qRT-PCR analysis demonstrated that acremonidin E downregulated melanogenic genes, including tyrosinase and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RP-1), while their enzymatic activities were unaffected. The antimelanogenic effects of acremonidin E were further confirmed in MNT-1 and a pigmented 3D human epidermal skin model, Melanoderm. Immunohistological examination of the Melanoderm further confirmed the regression of both melanin synthesis and melanocyte activation in the treated tissue.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cremonidin E, a bioactive metabolite derived from a fungal endophyte of P. ginseng, can inhibit melanin synthesis by downregulating tyrosinase, illuminating the potential utility of microorganisms associated with P. ginseng for cosmetic ingredients.

Probiotic Characteristics and Safety Assessment of Lacticaseibacillus casei KGC1201 Isolated from Panax ginseng

  • Yun-Seok Lee;Hye-Young Yu;Mijin Kwon;Seung-Ho Lee;Ji-In Park;Jiho Seo;Sang-Kyu Ki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4호
    • /
    • pp.519-526
    • /
    • 2023
  • Panax ginse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herbal medicinal plants consumed as health functional food and can be fermented to achieve better efficacy. Lacticaseibacillus, one of the representative genera among lactic acid bacteria (LAB), has also been used as a probiotic material for health functional foods due to its beneficial effects on the human body. To achieve a synergistic effect by using these excellent dietary supplement ingredients together, a novel LAB strain was isolated from the root of 6-year-old ginseng. Through similarity analysis of 16S rRNAs and whole-genome sequences, the strain was confirmed as belonging to the genus Lacticaseibacillus and was named L. casei KGC1201. KGC1201 not only met all safety standards as food, but also showed excellent probiotic properties such as acid resistance, bile salt resistance, and intestinal adhesion. In particular, KGC1201 exhibited superior acid resistance through morphological observation identifying that the cell surface damage of KGC1201 was less than that of the L. casei type strain KCTC3109. Gene expression studies were conducted to elucidate the molecular mechanisms of KGC1201's acid resistance, and the expression of the glycosyltransferase gene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elevated under acidic conditions. Exopolysaccharides (EPSs) biosynthesized by glycosyltransferase were also increased in KGC1201 compared to KCTC3109, which may contribute to better protection of KGC1201 cells from strong acidity. Therefore, KGC1201, with its increased acid resistance through molecular mechanisms and excellent probiotic properties, can be used in health functional foods to provide greater benefit to overall human health and well-being.

홍삼정과 제조 부산물 이용에 관한 연구: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총 진세노사이드 추출조건의 최적화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By-products from Honeyed Red Ginseng: Optimization of Total Ginsenoside Extraction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이의석;류관모;김선형;이가순;박수진;전병선;박종태;홍순택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1호
    • /
    • pp.79-87
    • /
    • 2017
  • 본 연구는 홍삼정과 부산물의 산업적 이용성 증대를 위하여 중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추출수율 및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 추출 최적조건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추출용매 농도(에탄올, 30-70%, v/v), 추출온도($25-70^{\circ}C$), 추출시간(5-11 hr) 등의 독립변수를 D-optimal design을 통하여 실험계획하고, 얻어진 실험결과를 반응표면분석하여 추출수율,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 등의 반응변수에 대한 최적 추출조건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독립변수인 추출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수율 및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추출용매(에탄올)의 경우 고농도에서 수율은 감소한 반면, 추출물 중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증가하였다. 독립변수 중 추출용매의 농도가 각 반응변수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유도된 회귀식 모형은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와 잘 일치하였고, 추출수율과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최대로 하는 최적 조건은 추출용매농도 57.90% (v/v), 추출온도 $56.94^{\circ}C$, 추출시간 11시간으로 이 경우 추출수율은 84.52%,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9.54 mg/g으로 예측하였다.

홍삼으로부터 분리한 수용성 갈변물질의 구조 특성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Soluble Browning Reeaction Products Isolated from Korean Red Ginseng)

  • 이종원;고학룡;심기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499-505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vestigat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waste soulble browning reaction prodcuts (WS-BRPs) isolated from Korean red ginseng. They all showed the maximum absorbances at near 280 nm. Their IR spectra suggested the presence of hydroxyl, amide carbonyl and aliphatic methine groups. From sugar analysis it was identified that L and S-1 contained two kinds of suggar, glucose and xylose, and S-2, a fructose together with glucose and xylose. Thirteen different amino acids were identified in L. Ten amino acids from S-1 and seven amino acids from S-2 were identified using Auto Amino Acid Analyzer. Glycine, serine and glutamic acid in S-1 and one unknown amino acid and glycine in S-2 were detected as the major amino acids, respectively. From the 1H-and 13C-NMR spectra, it was identified that a number of sugar moieties, carbonyl and carbon double bonds (only in S-2) were contained in the three WS-BRP components. Approximate number of sugar moiety of L, S-1 and S-2 was determined to be 8∼10, 9∼11 and 4∼5, respectively. Contents of nitrogen, carbon and hydrogen showed L>S-1>S-2.

  • PDF

유기 게르마늄 농축수로 재배한 농산물의 항염 및 함암효과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Effects of Agricultural Produce Grown with Organic Germanium-enriched Water)

  • 이명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03-109
    • /
    • 2021
  • The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effects in sprouts of mouse-eyed bean (Rhynchosia nulubilis), ginseng (Panax ginseng), perilla (Perilla frutescens), broccoli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and lettuce (Lactuca sativa) grown with organic germanium concentrate. Western blot analysis was performed to assess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extract. All extracts exhibited noticeable anti-oxidant activity, indicating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germanium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p<0.05). In particular, rat-eyed bean sprouts with the highest germanium content showed significant anti-inflammatory activity (p<0.05) by significantly inhibiting the expression of the inflammatory complexes, NLRP3, cytokines IL-1β and caspase-1. Ginseng and broccoli sprouts showed strong anti-cancer properties and had high anti-oxidant effects (p<0.001). Germanium-concentrated water allows the mass produ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s of organic germanium. Agricultural produce grown with germanium concentrate add organic germanium to various physiological active ingredients, increasing the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agricultural products containing high germanium concentrations can be used as novel health supplements to improve health.

서울지역 유통 건강기능식품의 당 및 인공감미료 함량 (Total Sugar and Artificial Sweetener Contents of Health Functional Foods in Seoul)

  • 조인순;조태희;이재규;이윤정;김시정;최희진;신기영;오영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14-320
    • /
    • 2017
  • 서울시 유통 건강기능식품 중 츄어블제품 66건과 인삼홍삼제품 60건을 수거하여 분석하였다. 시료 전체의 1일 섭취량당 당함량 평균은 1.95 g이었고 범위는 N.D. ~ 12.61 g 이었다. 제품 유형별로는 츄어블 제품의 평균은 1.26 g 이었고 범위는 N.D. ~ 10.39 g이었다. 인삼홍삼제품의 평균은 2.70 g이었고 범위는 N.D. ~ 12.61 g이었다. 츄어블제품중 1일 섭취량당 당함량은 어린이용 제품이 평균 2.10 g으로 가장 높았고 영양소제품은 평균 1.43 g, 기능성원료 제품은 평균 0.35 g이였다. 어린이용 제품은 1일 섭취량당 당함량이 1.03 g ~ 5.33 g, 영양소 제품은 N.D. ~ 10.39 g, 기능성원료 제품은 N.D. ~ 2.61 g의 범위를 보였다. 인삼홍삼제품중 1일 섭취량 당 당함량은 액상 제품이 평균 4.25 g으로 가장 높았고 농축액 제품은 평균 1.51 g, 분말제품은 평균 1.49 g이었다. 액상 제품의 1일 섭취량당 당함량의 범위는 N.D. ~ 10.80 g, 농축액 제품의 범위는 N.D. ~ 12.61 g, 분말제품의 범위는 0.06 g ~ 5.64 g의 분포를 보였다. 인공감미료를 분석한 결과 3건에서 인공감미료가 검출되었다. 인삼홍삼제품에서는 인공감미료가 검출되지 않았으며 츄어블제품 중 영양소 제품 2건과 기능성원료 제품 1건에서 검출되었다. 검출된 인공감미료는 아스파탐으로 영양소 제품에서 3.09 g/kg, 기능성원료 제품에서 1.09 g/kg 검출되었고 3건 모두 허용량 이내였다.

국내 인삼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홍삼 파우치 제품의 사포닌 함량 및 이화학적 특성 (Saponin Cont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ed Ginseng Extract Pouch Products Collected from Ginseng Markets in Korea)

  • 최재을;한진수;강선주;김관후;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660-1665
    • /
    • 2010
  • 홍삼 파우치 제품의 성분 및 제조방법의 표준화를 위한 일환으로 국내 유통 중인 홍삼 파우치의 사포닌 함량 및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총 ginsenoside 함량은 5.5~185.7 mg/100 mL의 함량을 나타내었고 항암효과로 알려진 ginsenoside $Rg_3$, $Rg_2$, $Rh_1$$Rh_2$의 함량 분포는 $Rg_3$는 1.6~46.3 mg/100 mL, $Rg_2$는 미검출~22.0 mg/100 mL, $Rh_1$은 미검출~4.3 mg/100 mL, $Rh_2$는 미검출~20.4 mg/100 mL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항 당뇨 효과가 있는 ginsenoside $Rb_2$와 Re의 함량분포는 $Rb_2$는 미검출~10.8 mg/100 mL, Re는 미검출~7.0 mg/100 mL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그 밖의 사포닌 중 ginsenoside $Rb_1$는 미검출~25.2 mg/100 mL, Rc는 미검출~12.5 mg/100 mL, Rd는 미검출~11.3 mg/100 mL, Rf는 미검출~5.9 mg/100 mL, $Rg_1$는 미검출~4.4 mg/100 mL까지의 함량 분포를 보였다. 이화학적 특성 분석결과 총당함량은 226.6~3,102.9 mg/100 mL, 당도는 $1.4\sim9.5^{\circ}Bx$, 탁도는 82.2~100.0%, pH는 4.1~5.0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국내에서 수집한 홍삼 파우치 제품의 약 50%(21~24개 제품)가 ginsenoside $Rb_1$, $Rb_2$, Rc, Rd, Re, $Rg_1$이 미검출 되었으며, 각 제품별 사포닌 함량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나, 국내유통 중인 홍삼 제품에 대한 기준 설정 및 생산방법의 표준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인삼제품(人蔘製品)의 품질안정성(品質安定性)에 관한 연구(硏究) -2. 인삼정분(人蓼精粉)과 시판다류제품(市販茶類製品)의 품질안정성(品質安定性) 비교(比較)- (Studies on Stability for the Quality of Ginseng Products -2. Comparative Study on Keeping Quality of Red Ginseng Extract Powders(RGEPs) and Commercial Dehydrated Tea Products-)

  • 최진호;변대석;노재일;박길동;성현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09-214
    • /
    • 1984
  • 유통과정(流通過程)중의 품질안정성(品質安定性) 유지(維持)가 항상 문제시되고 있는 홍삼정분(紅蓼精粉)(동결(凍結) 및 분무(噴霧))의 안정성(安定性)을 시판차류정품(市販茶類精品)과 비교(比較)하기 위하여 이들 제품(製品)의 흡습특성(吸濕特性)을 비교(比較)하였고 또 초기수분함량(初期水分含臺), 조지방함량(粗脂肪含量) 및 밀도(密度)와의 관계(關係)를 조사(調査)하여 홍삼정립(紅蓼精粒)의 안정성(安定性) 미치는 영향(影響)을 비교(比較)하였다. (1) 홍삼정분(紅蔘精粉) 및 시판차류제품(市販茶類製品)의 입도(粒度)는 100 mesh 이하였으며 동결건조제품(凍結乾燥製品)이 분무건조제품(噴霧乾燥製品)보다 입도(粒度)가 컸다. (2) 홍삼정분(紅蓼精粉)(동결(凍結) 및 분무(噴霧))이 3.85% 및 4.56% 로 초기수분함량(初期水分舍量)이 높은데 비해 커피(동결(凍結) 및 분무(噴霧))가 2.17% 및 3.52%로 낮았으며 홍삼정분(紅蔘精粉)이 커피 보다 1.3$\sim$l.8배의 높은 초기수분함량(初期水分含量)을 나타냈다. (3) 탱이나 쌍화차가 흡습율(吸濕率)이 가장 낮아 높은 안정성(安定性)을 나타냈는데 이는 탱과 쌍화차의 지방함량(脂肪含量) (4.12% 및 0.62%)이 높을 뿐만 아니라 밀도(密度)(0.89g/ml 및 0.59g/ml)도 다른 제품(製品)에 비해 훨씬 높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4) 커피의 흡습율(吸濕率)이 홍삼정분(紅參精粒)보다 컸으나 커피의 안정성(安定性)이 홍삼정분(紅蔘精紛)보다 더 높은 것은 커피의 초기수분함량(初期水分含量) (2.17${\sim}$3.52%)이 홍삼정분(紅蓼精粉) (3.85${\sim}$4.56%)보다 낮을 뿐만 아니라 커피의 지방함량(脂肪含量)(0.31${\sim}$0.38%)도 홍삼정분(紅蔘精粉)(0.12${\sim}$0.16%) 보다 훨신 높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5) 따라서 홍삼정분(紅蓼精粉)의 안정성(安定性)을 높이기 위해서는 현행 물추출방벙(抽出方法)을 용매추축(溶媒抽出)로의 전환(轉換)이나 지방피막(脂肪皮膜) 처리(處理)에 의한 흡습물성(吸濕物性)을 개선(改善)함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인삼분말 및 증류액의 혼합첨가가 돈가스의 지방산화, 관능특성 및 향미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nseng Powder and Distillate on Lipid Oxidation, Sensory Properties and Flavor Profiles of Pork Cutlet)

  • 조수현;김진형;손현주;박범영;황인호;김학균;유영모;김용곤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9-45
    • /
    • 2003
  • 인삼 분말 및 증류액을 첨가하여 제조한 돈가스는 CIE로 측정한 결과 대조구와 비교하여 L값(lightness)이 유의적으로 낮고 a값(redness)이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저장 실험 결과 TBA값은 인삼분말 및 증류액 첨가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낮게 나타났다. 조직특성에 있어서 인삼증류액 또는 분말을 처리한 돈가스 처리구를 2$0^{\circ}C$에서 약 8주간 냉동저장시 초기에만 경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그 이외에 돈가스의 탄력성, 응집성 및 씹힙성에서는 처리구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저장기간 동안 인삼분말과 증류액을 혼합하여 처리한 첨가구가 인삼분말만 혼합한 처리구와 비교하여 돈육향미는 낮고 인삼만 및 향미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Pl.5Dl.5 처리구가 인삼 맛과 향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삼향기성분은 주로 spahulenol, panasinsanol, neointermedol, ginsenol 등 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삼분말 단독첨가보다 증류액과 혼합첨가한 처리구내 인삼향기 성분이 더 많이 검출되었다. 한편, 관능평가 결과 인삼분말 및 증류액을 혼합 첨가한 처리구가 인삼 향미 및 인삼 맛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인삼증류액은 인삼분말과 혼합하여 육가공품 제조시 이용한다면 항산화 효과와 함께 천연 향미강화제로도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추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