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seng production

검색결과 800건 처리시간 0.022초

Bacterial Community Dynamics during Swine In vitro Fermentation Using Starch as a Substrate with Different Feed Additives for Odor Reduction

  • Alam, Md.J.;Jeong, C.D.;Mamuad, L.L.;Sung, H.G.;Kim, D.W.;Cho, S.B.;Lee, K.;Jeon, C.O.;Lee, Sang-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5호
    • /
    • pp.690-700
    • /
    • 2012
  •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in vitro fermentation and bacterial community analysis to investigate the reduction of odorous compounds in response to the use of feed additives (FA) during carbohydrate overload in growing pigs. Soluble starch at 1% (control) and various FA at 0.1% Ginseng meal (FA1); Persimmon leaf (FA2); Gingko nut (FA3) and Oregano lippia (FA4) were added to fecal slurry and incubated anaerobically for 12 and 24 h. In vitro parameters and microbial diversity of the dominant bacteria following fermentation were analyzed using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band cloning and sequencing of the V3 region. Results showed that total gas production increased with the advancement of incubation (p<0.05). pH values of FAs and control groups were decreased except the FA4 group which increased somewhat from 12 to 24 h (p<0.05). Ammonia nitrogen ($NH_3$-N) and $H_2S$ gas concentrations were comparatively lower in both stages in FA4 treatment than in the other groups (p<0.05). Hence, $NH_3$-N concentrations in liquid phases were increased (p<0.05) from 12 to 24 h, but the trend was lowest in FA4 than in the other groups at both stages. The total VFA production was comparatively lower and butyrate levels were moderate in FA4 group than in the the other groups during both stages (p<0.05). Indirect odor-reducing compounds such as $NO_2$, $NO_3$ and $SO_4$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the FA4 and FA3 than in the other groups at 24 h (p<0.05). After fermentation, ten dominant bands appeared, six of which appeared in all samples and four in only the FA4 treated group. The total number of DGGE bands and diversity was higher in the FA4-group compared to other groups. Additionally, similarity indices were lowest (71%) in the FA4, which represented a different bacterial community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NH_3$-N, $H_2S$ and VFA production was minimal, and pH was also better in the FA4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s. Furthermore, the conversion of odor-reducing indirect compounds or their intermediates was higher in the FA4 group in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FA4 group generated less odorous products and more indirect products by in vitro fermentation at 24 h, and their microbial pattern appeared to differ from that of the other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is particular FA could change the microbial population, which may have a beneficial effect on odor reduction. It is recommended that the oregano lippia may be supplied to growing pigs as FA along with excess carbohydrate sources to reduce the production of odorous compounds.

Saponin 함유 식물 추출물의 첨가가 반추위 발효성상과 메탄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ponin Contained Plant Extracts on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Production)

  • 옥지운;백열창;김경훈;이상철;설용주;이강연;최창원;전체옥;이상석;이성실;오영균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2호
    • /
    • pp.147-154
    • /
    • 2011
  • 본 연구는 saponin 함유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반추위 발효성상과 메탄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반추위액은 볏짚과 농후사료를 5:5 비율로 급여한 거세한우 2두의(체중: $803{\pm}0.5$ kg) 반추위 cannula를 통하여 채취하였다. 채취한 반추 위액은 buffer와 1:2 (V/V)의 비율로 혼합하여 배양액으로 사용하였으며, 15 ml 배양액에 옥수수 전분 0.2 g를 첨가하고, saponin 함유 식물 추출물 (비누풀, 오가피, 유카, 인삼 및 차나무)을 0.5% 첨가하여 $39^{\circ}C$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반추위 발효성상에 있어서 pH 값은 배양 시간동안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총 휘발성 지방산의 함량은 배양 12시간부터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높았다. Acetate의 농도는 배양 6시간부터 처리구에서 낮았고, propionate의 농도는 높아 역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의 농도는 최종 발효시간인 24시간에 오가피와 유카추출물 처리구는 대조구와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다른 처리구는 유의적(p<0.05)으로 낮았다. 반추위 protozoa의 수는 비누풀 추출물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적었다. 총 가스 발생량은 배양 12시간부터 처리구에서 높은 경향이었지만, 메탄 발생량은 오가피와 비누풀 추출물 처리구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구에서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시험 결과를 볼 때 saponin의 첨가에 의해 메탄 발생량이 감소하는 것은 반추위 protozoa의 감소에 의해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식물 성장 촉진에 사용에 있어 Bacillus mojavensis KJS-3의 특징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mojavensis KJS-3 for the Promotion of Plant Growth)

  • 김강민;유걸;고윤석;강재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910-916
    • /
    • 2015
  • 최근 식물 성장에 있어 곰팡이 독소에 관련된 질병에 효과가 있는 Bacillus mojavensis 균주 사용의 보고가 있다. 우리는 B. mojavensis KJS-3균주의 다양한 온도, 염도, 에탄올, pH에서 성장하는 특징을 확인 하였다. B. mojavensis KJS-3균주는 Polymerase chain reaction 분석에 의해 fengycin을 LC-MS/MS 분석을 통해서는 iturin 및 surfactin 와 같은 cyclic lipopeptides를 생산함을 확인 하였다. B. mojavensis KJS-3균주는 식물 유해 곰팡이 균주인 Botrytis cinerea, Rhizoctonia solani AG-4, Sclerotinia sclerotiorum, Colletotricum goeosporioides에 항곰팡이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인삼재배에 있어 B. mojavensis KJS-3를 사용하여 성장을 관찰한 결과 뿌리 내에서 성장하여 plant growth promoting endophyte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들에 의해 미생물 농약 및 비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RG-II from Panax ginseng C.A. Meyer suppresses asthmatic reaction

  • Jung, In-Duk;Kim, Hye-Young;Park, Jin-Wook;Lee, Chang-Min;Noh, Kyung-Tae;Kang, Hyun-Kyu;Heo, Deok-Rim;Lee, Su-Jung;Son, Kwang-Hee;Park, Hee-Ju;Shin, Sung-Jae;Park, Jong-Hwan;Ryu, Seung-Wook;Park, Yeong-Min
    • BMB Reports
    • /
    • 제45권2호
    • /
    • pp.79-84
    • /
    • 2012
  • In asthma, T helper 2 (TH2)-type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 (IL)-4, IL-5, and IL-13 are produced by activated $CD^{4+}$ T cells. Dendritic cell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fate of naive T cells into either $T_H1$ or $T_H2$ cells. We determined whether RG-II regulates the $T_H1/T_H2$ immune response by using an ovalbumin-induced murine model of asthma. RG-II reduced IL-4 production but increased interferon-gamma production, and inhibited GATA-3 gene expression. RG-II also inhibited asthmatic reactions including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eosinophils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an increase in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in lung tissues, airway luminal narrowing, and airway hyperresponsiveness.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RG-II plays a critical role in ameliorating the pathogenic process of asthmatic inflammation in mice. These findings provide new insights into the immunotherapeutic role of RG-II in terms of its effects in a murine model of asthma.

한국 토착 미세조류 클로렐라 불가리스 KNUA027 균주의 생화학적 조성 (Biochemical Composition of a Korean Domestic Microalga Chlorella vulgaris KNUA027)

  • 홍지원;김오홍;조승우;김현;정미랑;박경목;이경인;윤호성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400-407
    • /
    • 2016
  • 인삼 유묘 뿌리 주변에서 자라고 있는 단세포 녹색 조류, 클로렐라 불가리스 KNUA027을 순수분리한 후 본 분리균주의 생물공학적 활용 가능성에대해조사를 실시하였다. 가스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분석 결과, 본 균주에는 영양학적으로 중요한 알파 리놀렌산(C18:3 ω3, 45.8%, 50.8 mg/g) 및 헥사데카트리엔산(C16:3 ω3, 11.8%, 13.1 mg/g)과 같은 다가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국내 토착 미세조류는 잠재적인 오메가-3 다가불포화지방산 원료가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바이오디젤 생산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팔미트산(C16:0, 37.1%, 41.2 mg/g) 역시 본 균주에 의해 주요 지방산 성분으로 생합성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근사분석 결과 KNUA027 균주의 휘발성물질 함량은 88.5%였으며, 원소분석 결과 고위발열량은 19.8 MJ/kg으로 나타났다. 본 KNUA027 균주를 이용한 연구결과는 미세조류 기반 바이오연료와 바이오매스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에이코사펜타엔산(EPA) 항산화활성 연구 (Eicosapentaenoic Acid (EPA) Antioxidant Activity Study)

  • 김용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08-11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천연 생리활성물질인 에코사펜타엔산을 다량 함유한 흑해삼의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여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의 우수성을 제시하였다. 세포내 산화질소(NO) 생성 억제 효과에 대해 해삼 추출물의 활성산소 제거능을 평가하였다. 해삼의 생리활성물질은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효과가 있으며, 평가 결과 우수한 NO 생성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연구에 따르면 생리활성 물질은 낮은 농도에서도 높은 항산화 효능을 보여 항산화 효과, 면역 및 염증 반응 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삼의 항산화 제거능은 해삼 추출물의 EPA(eicosapent aenoic acid)를 함유하는 페놀 성분의 항산화 효능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해삼의 항산화 성분이 작용한다는 보고와 유사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해삼 추출물에 다량 함유된 에이코사펜타엔산(EPA) 성분이 염증 활성 억제 효과에 관여하는 것으로 입증돼 상처 치유에도 탁월하다. 본 연구의 결과, 해삼 추출물에 함유된 페놀 성분의 효과가 항산화 활성과 밀접한 인과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산유자 잎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 주름억제, 항염증 및 항산화 효능 (Anti-Melanogenic, Anti-Wrinkl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of Xylosma congesta leaf Ethanol Extract)

  • 이재연;안은경;고혜진;조영락;고운철;정용환;최경민;최미래;오좌섭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4호
    • /
    • pp.365-371
    • /
    • 2014
  • 본 연구는 제주도 해변의 벌판에서 드물게 자라는 산유자(Xylosma congesta) 잎 에탄올 추출물의 화장품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cell culture model 및 in vitro assay system을 이용하여 미백, 주름개선,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산유자 잎 에탄올 추출물은 B16F10 세포에 세포독성 없이 효과적으로 ${\alpha}$-MSH에 의해 유도된 melanin 합성을 억제함으로써 높은 미백 활성을 가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CCD-986SK 세포를 이용하여 산유자 잎 에탄올 추출물의 주름개선 활성 능력을 procollagen 합성시험을 통해 분석한 결과,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TGF-${\beta}$ 만큼은 아니지만 농도별로 각각 120, 122%의 procollagen 합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통하여 산유자 잎 에탄올 추출물의 주름개선 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RAW 264.7 murine macrophage를 이용하여 NO 생성 억제능을 분석함으로써 산유자 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정도를 측정한 결과,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이 산유자 잎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DPPH 법, ABTS 법, ORAC 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분석한 결과, $50{\mu}g/mL$의 농도에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이 각각 75.2, 99.1% 증가하는 것이 확인 되었다. ORAC activity assay kit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산유자 잎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높은 항산화 활성이 관찰 되었고, DPPH와ABTS 라디칼 소거능 결과와 유사하게 $50{\mu}g$/mL의 농도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573.74{\pm}0.79{\mu}M$ TE/g)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산유자 잎 에탄올 추출물이 높은 미백과 주름개선,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제시 할 수 있었다.

비타민나무(Hippophae rhamnoides L.) 줄기로부터 항염 활성물질 β-Sitosterol의 분리 (Isolation of Anti-inflammatory Active Substance β-Sitosterol from Sea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Stem)

  • 박유화;임상현;함헌주;김희연;정햇님;김경희;김성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7호
    • /
    • pp.980-985
    • /
    • 2010
  • 이번 연구는 강원도 춘천에서 재배된 비타민나무의(Hippophae rhamnoides L.) 부위별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염활성 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고, 이에 함유되어 있는 항염활성물질을 fraction directed isolation 방법으로 단리하였다. 항염활성 측정을 위하여 비타민나무의 줄기, 잎, 뿌리, 열매의 에탄올 추출물에 대하여 nitric oxide(NO) 생성량 측정 결과 염증 유발 물질인 lipopolysaccharide(LPS) 대비 각각 56.0, 31.9, 49.1, 18.9%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비타민나무 줄기를 다시 극성을 달리하여 용매로 분획을 실시하였고 각각의 분획층에 대하여 NO 생성량 측정 결과 $CH_2Cl_2$ 분획층(1 mg/mL)에서 염증유발물질인 LPS 단독 처리군 대비 80%의 높은 항염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항염활성이 가장 높았던 dichloromethane 분획층을 MCA-MCK까지 총 11개 분획층으로 분리하였고, 이 11개의 분획층에 대하여 NO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MCD 분획층이 0.1 mg/mL 농도에서 LPS 대비 65%의 가장 높은 항염활성을 나타내었다. MCD의 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GC/MS, $^{13}C$-NMR, $^1H$-NMR 분석을 수행한 결과, 항염활성물질 MCD는 분자량 414.71 g/mol, 화학구조식이 $C_{29}H_{50}O$$\beta$-sitosterol로 결정하였다. 향후 비타민나무 줄기는 염증예방 효능을 지닐 수 있는 기능성식품 및 의약품의 원료, 가공품 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인삼 사포닌 단일물질이 알러지 과민반응의 매개체 유리기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ingle Component of Ginsenosides on the Mechanism of Mediator Release in the Allergic Hypersensitivity)

  • 노재열;김경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43-254
    • /
    • 1994
  • Inflammatory diseases, allergic and asthmatic disorders are caused by the mediator release from the activation of the phospholipase C (PLC), phospholipase D (PLD), methyltransferase or adenylate cyclase etc. during IgG or IgE cross-linking of high affinity receptors on mast cells or basophil surface. One important enzyme activated after IgG or IgE receptor cross-linking is PLD, the enzyme which converts phosphatidylcholine (PC) to phosphatidic acid (PA). Under the hypothesis that these may be some differences in mediator releas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PLD activity, we attempted to confirm the ginseng saponin effects on the PLD activity. We examined the PLD activity during the passively sensitized mast cell activation in the presence of single component of ginsenosides $(Rc,\;Rg_1,\;Rg_2,\;Rg_3)$. We also measured the amount of mediators (histamine and leukotrienes) released by stimulating with ovalbumin (OA) or calcium ionophore (CaI), Guinea Pig lung mast cells were purified using enzyme digestion, count current elutriation, and discontinuous Percoll density gradient. In purified mast cells prelabeled with $[^3H]$ arachidonic acid or $[^3H]$ palmitic acid, PLD activity was assessed more directly by the production of labeled PEt by PLD-mediated transphosphatidylation in the presence of ethanol. Histanine release was determined by Spectrophotofluorometry, and leukotrienes by radioimmunoassay. The PLD activity during the passively sensitized mast cell activation is increased up to $3{\sim}5times$. The PLD activity during the passively sensitized mast cell activation in the presence of all ginsenosides is decreased up to $4{\sim}11$ times. $Rg_l\;and\;Rg_2$ ginsenoside pretreatment decreased histamine and leukotrienes by 50% in the OA-induced or by 40% in the Cal-induced mast cell after passively sensitization. Rc pretreatment poorly decreased histamine but leukotrienes decreased by 70% in the OA-induced or by 35% in the Cal-induced mast cell. $Rg_3$ ginsenoside pretreatment increased histamine release without challenging OA or Cal but leukotrienes decreased. These observations indicate that single unit of ginsenosldes may be an important contributor to inhibit the release of histamine and leukotrienes in the guinea pig lung mast cells, that inhibits the PLD-mediated formation of DAG evoked by mast cell activation.

  • PDF

삼귀고의탕 물추출물의 자연살해세포 활성을 통한 항전이효과 (Anti-metastatic Activity of Water Extract of Samguikoeuitang via Enhancement of Natural Killer Cells)

  • 고현숙;박문녀;김봉이;윤택준;송효숙;조성윤;이효정;이효정;정수진;이은옥;김성훈
    • 대한암한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9-36
    • /
    • 2010
  • The anti-metastatic activity of water extract of Samguikoeuitang (WSGKE) consisting of Ginseng Radix, Angelicae Radix, Sophora flavescens and Coicis Semenwas examined. Ethanol extract of Samguikoeuitang (ESGKE) showed significant cytotoxicity against colon 26-M3.1 carcinoma cells, while WSGEK did not. However, WSGK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roduction of IL-6 and IL-12 in thioglycollate-induced macrophages from Balb/c mice, whereas ESGKE did not. WSGKE significantly increased natural killer (NK) cell cytotoxicity against effecter YAC-1 cells in an Effecter cells/Target ratio dependent manner. Also, WSGKE significantly suppressed lung metastasis after i.v. injection of colon26-M3.1 carcinoma cells. Inhibitory effect of WSGKE on lung metastasis totally abolished in NK cells-deficient mice by treatment with anti-asialo GM1 serum. In addition, the combination treatment of cisplatin and WSGKE (100 ${\mu}g$/mouse) prolonged the lifespan of mice inoculated by colon26-M3.1 ce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WSGKE can inhibit lung metastasis and prolong life span via immunological enhancement as a Biological Response Modifi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