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metric thinking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4초

초등학생들은 표를 어떻게 이해할까? : 함수적 사고의 관점에서 (How Do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 Tables? : From Functional Thinking Perspective)

  • 김정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0권1호
    • /
    • pp.53-68
    • /
    • 2017
  • 표는 수학적 이해를 돕는 표현의 하나로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제시되지만, 표에 초점을 맞추어 학생들의 함수적 사고를 이해하는데 표가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알아본 연구가 드물다. 본 연구는 함수적 사고의 관점에서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함수표 이해가 어느 정도인지를 표 만들기, 관계 서술하기, 관계식 표현하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약 75%의 학생들이 평균적으로 표 만들기를 할 수 있었는데 이 때 제시된 정보만을 이용하여 가로형의 표를 창안하는 학생들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서술형에 비하여 기하패턴 문항을 해결하는데 학생들이 어려움을 드러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생들이 '함수표'로서 표를 사용할 수 있는 지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Students Approaches in Constructing Convincing Arguments in Geometry Using Technology: A Case Study

  • Rahim, Medhat H.;Siddo, Radcliffe A.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4권3호
    • /
    • pp.219-231
    • /
    • 2010
  • Mathematically, a proof is to create a convincing argument through logical reasoning towards a given proposition or a given statement. Mathematics educators have been working diligently to create environments that will assist students to perform proofs. One of such environments is the use of dynamic-geometry-software in the classroom. This paper reports on a case study and intends to probe into students' own thinking, patterns they used in completing certain tasks, and the extent to which they have utilized technology. Their tasks were to explore the shape-to-shape, shape-to-part, and part-to-part interrelationships of geometric objects when dealing with certain geometric problem-solving situations utilizing dissection-motion-operation (DMO).

컴퓨터 환경에서 초등학교 기하 지도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Teaching Elementary Geometry Using the Computer)

  • 이종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89-102
    • /
    • 2001
  • Computer has been regarded as an alternative that could overcome the difficultie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But the didactical problems of the computer-based environment for mathematics education could give us new obstacles. In this paper, first of all, we examined the application of the learning theories of mathematics to the computer environment. If the feedbacks of the computer are too immediate, students would have less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ir thinking and focus their attention on the visual aspects, which leads to the simple abstraction rather than the reflective abstraction. We also examined some other Problems related to cognitive obstacle to learn the concepts of geometric figure and the geometric knowledge. Based on the analysis on the problems related to the computer-based environment of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we tried to find out the direction to use computer more adequately in teaching and learning geometry.

  • PDF

피타고라스 정리에 대한 Euclid의 증명이 갖는 교육적 함의 (Pedagogical implication of Euclid's proof about Pythagorean theorem)

  • 박문환;홍진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4권3호
    • /
    • pp.347-360
    • /
    • 2002
  • This study analyzed the mathematical and didactical contexts of the Euclid's proof about Pythagorean theorem and compared with the teaching methods about Pythagorean theorem in school mathematics. Euclid's proof about Pythagorean theorem which does not use the algebraic methods provide students with the spatial intuition and the geometric thinking in school mathematics. Furthermore, it relates to various mathematical concepts including the cosine rule, the rotation, and the transfor-mation which preserve the area, and so forth. Visual demonstrations can help students analyze and explain mathematical relationship. Compared with Euclid's proof, Algebraic proof about Pythagorean theorem is very simple and it supplies the typical example which can give the relationship between algebraic and geometric representation. However since it does not include various spatial contexts, it forbid many students to understand Pythagorean theorem intuitively. Since both approaches hav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reciprocal complementary role is required in pedagogical aspects.

  • PDF

초등학교 수학에서 평행과 평행선 지도에 관한 고찰 (A Study of Teaching Concept of Parallel Line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이종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5권3호
    • /
    • pp.273-286
    • /
    • 2005
  • 초등학교 수학에서 지도하는 기하 내용 중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도형을 시각적인 외양만을 가지고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도형의 구성요소와 성질을 가지고 파악하도록 지도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평행과 평행선에 관한 고찰하여 보았다. 학생들이 평행선에 관하여 잘못된 개념 이미지를 갖게 된 이유 중의 하나가 교과서에 제시된 예들로 보이며, 두 직선이나 선분이 평행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지도가 미흡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두 선분이나 직선이 평행한지를 판단하는 방법이 필요하며, 특히 초등학교 수학에서는 모눈종이 위에 그려진 두 직선의 평행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지도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필요함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두 직선이나 선분이 평행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지도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비기하학적 현대건축의 초월론적 추상 - 들뢰즈의 사유를 중심으로 - (Transcendental Abstraction in Non-geometric Contemporary Architecture - focused on Deleuze's Thinking -)

  • 조용수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5호
    • /
    • pp.107-116
    • /
    • 2019
  • Non-geometric shapes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was explained from the transcendental schema of Deleuze with his abstraction theory. In this explanation, the intensity, the movement and change and the sublime were suggested as the expressional elements of the transcendental abstraction related with the artistic sensation of architecture. First, the intensity as a power of sensation which acts to the body before the recognition of brain is mainly expressed with the movement of curved lines of architectural space. Second, the movement of change is expressed as the de-centralized and de-formalized nomadic curve as the line in architectural 'smooth space' which has unrestrained orientations. Third, the sublime is expressed in the hugeness, enormousness or sometimes uncanny in void space, which could be contradictively mixed with senses of displeasure and pleasure. The sublime feelings in architecture can be emerging by rationally overcoming the unpleasant senses of contradictive spaces in architecture or urban fabric. This study has explained those expressional elements with the architectural works of Steven Holl, Frank Gehry and Zaha Hadid.

동적 기하 환경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 연속 스펙트럼 활용에 대한 소고 (A study on the use of continuous spectrum in problem solving in a dynamic geometry environment)

  • 허남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4호
    • /
    • pp.543-554
    • /
    • 2021
  • 동적 기하 환경은 학생들의 기하 문제 해결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학생들은 드래깅을 통해 변화 속에서 불변성을 추측할 수 있으며, 분석법은 기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준다. 하지만 드래깅 활동과 분석법을 활용한 문제 해결은 제한점이 있으며, 연속 스펙트럼은 대안이 될 수 있다. 학생들은 코딩이 결합된 동적 기하 환경에서 프로그래밍을 통해 연속 스펙트럼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적 기하 환경의 문제 해결에서 연속 스펙트럼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학생들은 문제 해결의 이해 단계에서 시각적으로 표현된 문제 상황을 통해 즉각적으로 이해하고, 계획 단계에서 해결 전략을 수립하고, 반성 단계에서 결과의 점검 및 일반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서 접선 개념의 재구성을 통한 미분계수의 재발명과 수학적 개념 변화 (Students' Reinvention of Derivative Concept through Construction of Tangent Lines in the Context of Mathematical Modeling)

  • 강향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4권4호
    • /
    • pp.409-429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수학적 모델링 활동을 통해 미분계수를 재발명하는 과정을 분석하여 학교현장의 미분계수 지도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2학년 문과 학생 2명을 대상으로 모델링 과정과 그 과정을 통해 나타나는 수학적 개념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할선의 극한으로 접선을 재구성하고 접선의 기울기와 순간속도를 연결하기 위해 미분계수를 재발명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의 접선 개념과 시간-속도 그래프에 대한 개념이 변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모델링 과정에서는 학생들의 시각적인 이해를 돕고, 수학적인 개념을 탐구하는 본질적인 사고에 집중할 수 있도록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였다.

  • PDF

가구의 유기적 디자인 연구 - 20세기 이후를 중심으로 - (Focused on those Organic Furniture Designs - Since The 20th Century -)

  • 김건수;이상일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88-197
    • /
    • 2014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organic design and propose references on an origin and developing factors of the organic design as looking into previous researches on furniture design. Expressive features with curves observed in the furniture design have been interpreted as organic meanings, and the study also approached grounds for the organic design elements while talking about developments of new materials and digital technology. In addition, the study presented a possibility explaining that these organic design elements might have been derived and developed from Art Nouveau. State-of-the art technology of the digital era in the 21st century has been built upon more creative concepts, and as this technology gets combined with the digital technology, it is, now, changing but also improving both morphological aspects and design methodologies. In the midst of this change, when it comes to factors to develop the organic design, creation of various new materials and state-of-the art digital technology are considered to be immediate factors to changes in the design. As morphological thinking using digital media develops, geometric thinking and such form are realized which eventually would lead us to furniture design of a new concept.

  • PDF

수학 영재 교육 대상 학생의 기하 인지 수준과 증명 정당화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Justification Process in the Proofs by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 김지영;박만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4권1호
    • /
    • pp.13-26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수학 영재 교육 대상 학생들의 기하 인지 수준과 그들이 증명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논리적인 정당화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학 영재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A영재교육원에 재학 중인 5, 6학년 학생 18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기하 수준을 확인하고 그들이 기하문제를 증명을 하고 설명하는 과정에서 어떤 논리적인 정당화를 해 가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이들은 van Hieles의 기하 사고의 0수준부터 4수준 중에서 대부분 2∼3수준에 있었다. 그리고 증명의 정당화 과정에서 이 영재 교육 대상 학생들은 잘라 붙이기와 수치적 접근을 사용하려는 시도와 이미 선행으로 학습한 내용의 기억을 되살려 사용하는 예가 많았고, 독창적이고 일반적인 증명으로 이끌어가는 데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초등수학 영재 교육 대상자들을 위한 교육은 이들의 수준에 맞는 보다 정교화된 과제로 이들이 자신들의 증명의 정당화 과정을 인지하면서 보다 창의적이고 연역적 사고의 수준으로 이끌어 줄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