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re/medium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1초

모션의 양태성이 매체·장르에 미치는 효과 연구 (A Research on Effect of Motion Modality on Aspects of Genre and Medium)

  • 이용수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28호
    • /
    • pp.125-153
    • /
    • 2012
  • 본고는 무빙이미지에서 모션의 양태성 전략이 매체나 장르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오늘날 모션의 양태성은 애니메이션 뿐만 아니라 영화에서도 적극적으로 조작되는 요소이다. 여기서 모션의 양태성 전략은 일반적으로 장르나 매체에 따라 좌우된다고 말해지는데, 과연 그 명제는 옳은 것인가? 옳다면, 본 명제를 학제적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은 '장르 매체'라는 용어를 재고함으로써 좀 더 이론적으로 정리할 수는 없는가? 본고는 그러한 문제를 논의하고자 한다. 본고는 모션의 양태성 조작을 이론적 지평 위에서 바라본다. 맥루한의 핫/쿨미디어 이론과 볼터의 진동이론에서 보면, 궁극적으로 모션 양태성 조작의 효과는 수용자의 감각비율 조작과 같은 것으로 귀결되는데, 이러한 이론적 추론은 사례를 통해 검증될 것이다. 사례 분석에서 본 연구자는 이미지의 모션 양태성 조작이 텍스트 내에서 어떤 효과들을 발현하는 지를 분석하고, 이 효과들이 매체 장르 포지셔닝과 어떤 상관성을 갖는 지를 살펴봄으로써, 본고가 문제시 하는 모션 양태성의 장르 매체 결정론을 평가한다. 결론적으로, 모션의 양태성은 매체의 문제와는 상관없이 장르의 문제에서 결정되는 전략인데, 그 장르는 감각자극의 배합으로 포지셔닝되는 범주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모션의 양태성 전략은 단위 시퀀스가 필요로 하는 감각성에 좌우된다. 모션의 양태성은 단순히 모션캡처 같이 매체적 측면에서 갖는 기술지향적, 경제적 가치보다 장르적 측면에서 기능성으로 접근해야 하는 전략이다.

영화 타이틀시퀀스 제작을 위한 물질성 (Materiality for Producing the Title Sequence of Film)

  • 신승윤;김미진;문요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160-169
    • /
    • 2013
  • 타이틀시퀀스에서 활용된 물질은 영화의 스타일과 내용을 포괄적으로 내포하고 있다. 그러므로 어떤 물질을 선택하는가에 따라 정서적 표현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 20년간의 영화 타이틀시퀀스 42편을 수집하여 소재를 분류하고 기호학사각형을 이용해 물질의 범주를 정의하였다. 물질도의 강약을 검증하기 위해 설문하여 3단계의 물질도를 구분하고 영화의 장르에 따라 어떤 범주의 물질성이 활용되었는지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물질성은 장르의 구분 없이 내용에 따라 선택되었으나 물질도의 차이는 있었다. 강한 물질도는 스릴러와 SF.미스테리 장르에서 사용되었고, 중간 물질도는 전반적으로 활용되나 특히 드라마 장르와 액션에서 활용되었다. 약한 물질도 또한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되었으나 특히 공포, SF 미스테리 장르에서 활용되었다. 본 논문은 영화를 상징적으로 시각화하는 타이틀시퀀스 제작에 있어 물질의 선택에 의한 표현 방법 연구를 제안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미디어 인스톨레이션에서 나타나는 혼성적 감각에 대한 연구 (Mixed sense of the media installation work)

  • 방은정;최영선;윤준성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1156-1159
    • /
    • 2009
  • 60년대 중반 이후 미디어 아트의 활성화는 이전 예술 형태에 대한 대안으로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보여주고 있다.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발전에 따라 그 형태도 다양해졌음은 물론, 최근 예술계 전반적으로 확산되는 형태인 '혼성(mixture)'에 그 발걸음을 맞추어 미디어와 다른 장르를 혼합하여 표현된 작품들이 각광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미디어 인스톨레이션 형태 중에서 조형물 위에 빔 프로젝트 영상을 투사한 작품에 대해서 분석한다. 영상 매체는 매체적인 특성상 다른 장르와 융합이 용이하다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 영상 매체를 응용한 미디어 인스톨레이션은 영상 매체와 조형물이 이루어낸 혼성 작품으로, 각기 환영과 물질을 다루는 개별적인 영역을 넘어서 새로운 융합된 분야로의 확장을 보여주고 있다. 영상 매체의 환영적 특성이 조형물의 물질성과 어우러져 몸에게 혼성적 감각을 느끼도록 해주는 효과에 대해서 모리스 메를로 뽕띠의 감각론과 결부지어 설명한다.

  • PDF

Expression of Fashion Illustration on the Costume of the Movie Genre

  • Kang, Kyung-Ae;Lee, Eui-Jung
    • 패션비즈니스
    • /
    • 제9권6호
    • /
    • pp.141-159
    • /
    • 2005
  • Targeting a film that is the medium of having powerful influence upon the masses, the present study examined about a role and characteristics in the movie costume, and a role of costume designers, which are shown in process of being changed the film costume. There are many designers who were in charge of the film costume, but the present study examined centering on designers who participated aiming to create the image of a character from the stage of manufacturing a movie. It presented and analyzed visual materials by dividing four genres such as a historical drama movie, a horror movie, a fantasy movie, and a modern-play movie, and by selecting a typical work. A Historical drama movie needs to be investigated costume by the historical background in a movie, but inside it was shown clothes that were elaborately reproduced and newly created. A horror movie plays a role of medium that reflects the human society and the internal mentality of a human being along with the attribute of entertainment. As a genre that requires much costume, make-up and special effect aiming at dramatic effect, a role of film costume possesses great weight. As a fantasy movie is a field based on 'fiction' of a writer who creates a work, it is a field that requires creativity of a costume designer most. As a modern-play movie is what reproduces reality, it best reflects the phases of that time, and is the field that is influenced by costume or fashion trend. Costume needs to be designed in a bid to allow spectators to be inspired the wholly united and harmonious mood with leading a story of a movie, and the individual image.

웹 2.0 시대와 웹소설 -웹 로맨스 서사를 중심으로 (Web 2.0 and Web novels -Focusing on Web-based Romance Novels)

  • 류수연
    • 대중서사연구
    • /
    • 제25권4호
    • /
    • pp.9-43
    • /
    • 2019
  • 웹소설은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매체에 가장 능동적으로 적응해온 장르소설의 한 형태이다. 디지털 매체 위에서 구현된 문화콘텐츠에 대한 연구는 당연하게도 디지털 매체의 환경변화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웹 플랫폼의 정체성 위에서 촉발된 웹소설 역시 마찬가지이다. 특히 웹 소설의 경우에는 그것을 제공하는 플랫폼 자체가 장르의 코드와 독서방식 등에 직접적인 변화를 촉발해왔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이러한 관점 위에서 본고는 웹 플랫폼 환경 위에서 콘텐츠이자 상품이 된 웹소설의 형성과정과 그 전략적 특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일차적으로는 통신소설로부터 인터넷소설, 웹소설에 이르는 형성과정을 통해 디지털 매체로의 전환과 장르소설 시장의 변화를 정리하였다. 이는 장르소설로서 웹소설의 연속성뿐만이 아니라 디지털 콘텐츠로서의 전환점까지 함께 도출하고자 하는 시도였다. 또한 웹소설이 웹 2.0시대의 가치를 내면화한 디지털 콘텐츠이자 그 자체로 시장의 파이를 키워나가는 핵심적인 상품이 되어야 한다는 소비적 가치를 내재화한 콘텐츠임에 주목하였다. 이에 현재 형성된 웹 기반 서사의 시각화와 상품화 전략이 무엇인지, 그러한 상품화 과정 속에서 가장 능동적으로 OSMU를 견인하고 있는 상품이자 콘텐츠로서의 웹 기반 로맨스 서사의 현재를 짚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로 흡수 발전된 장르소설로서 웹소설의 가장 큰 특징은 분절성과 장르 균열이라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에너지·친환경 기업들의 소셜미디어 브랜드 게시글 성공요인 분석 (Brand-Post Factors Affecting the Social Media Success : Case of Energy/Eco-Friendly Company Brands in Facebook)

  • 김은지;이연님;조재홍;권오병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17
    • /
    • 2014
  • Domestic and international energy and eco-friendly companies take advantage of social media for image enhancement and product promotion. However, there were no in-depth empirical analysis to verify specific effectiveness of social media use in these se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key factors that are considered to use social media effectively for energy and eco-friendly companies. For this purpose, we regarded the effectiveness of social media as Post Awareness and Word of Mouth.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as a medium were measured separately, media richness and media genre, as independent variables of social media effectiveness. We investigated 413 posts in Facebook brand page of energy and eco-friendly companies and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As a result, post awareness of users was greater when post has richer media such as video. For media genre, word of mouth appeared to be greater when the posts provide information.

1920년대 영화소설의 이미지 텍스트 연구 (The Theory of the Image of the "Cinema-novel" in 1920s)

  • 공성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501-514
    • /
    • 2017
  • 1920년대 영화소설은 영화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매체효과를 활용해 구성된 서사물이며, 독서 과정에서 끊임없이 영화의 이미지를 환기할 수 있도록 고안된다. 영화 매체의 흥행과 함께 나타난 이 독특한 장르의 형성과 발전 과정에는 근대적인 예술매체의 형식을 고민하고, 그에 걸맞는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노력한 1920년대 예술의 시대적인 특성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본고는 혼종의 매체 시대, 파격적인 장르 실험의 한 사례로서 '영화소설'에 주목하고, 영화소설이 어떻게 하나의 장르로서 수렴해갔는지 살피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이 과정에서 영화, 소설, 사진, 그리고 삽화가 결합된 융합 텍스트의 미학적 원리를 규명하는 일은, 본고의 중요한 목표가 될 것이다.

단위 전시공간의 단면형태 특성에 관한 고찰 -박물관 환경디자인에 관한 기초적 연구(3)- (A Study on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Section form of Exhibition Space -A basic Study on the Environmental Design of museum(3)-)

  • 임채진;하미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호
    • /
    • pp.190-201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correlational factors of space sections based on the fact the exhibition space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medium of displaying art works. And an another purpose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types of exhibition unite space from which In intend to suggest basic sources of exhibition design. I classified domestic and foreign museum which are chosen as objects of study according to form and shape of a section plan. Then comparing exhibition space's form and scale exhibited genre lighting system layout composition display and its correlation with an already established thesis on museum architecture I will infe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a space. From these studies proper display conditions requested at the museum are different from the genre and property of the exhibited objects. And lighting system display angel of view and appreciation type affect the exhibition area. The shape of space classifies types of section which cause space's characteristics.

  • PDF

A Study on Spatial characteristic and presentation of digital game

  • Oh, Hyoun-J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47-54
    • /
    • 2015
  • In this paper, I examines the spatial representation of the change in the environment of the digital platform, and play the game with a focus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a digital game. First, what is the Spatial characteristic of digital games? This section applies to a digital game "theory of Lefebvre", and the spatial representation of the practice space, divided into representational space were explored. Second, how to express dealing Is there space in the genre of adventure gam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game medium through the Spatial characteristic of the adventure game genre that is most striking examples was analyzed whether the expression in any way. Consequently,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game studies of the game as well as think a very large role in the development direction. In addition, this case analysis of the expression is the basis of this digital game that is utilized in many areas, and I am sure many possibilities to find a positive role in the game.

현실세계의 증언, 다큐멘터리-애니메이션 분석 (Testimony of the Real World, Documentary-Animation)

  • 오진희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5호
    • /
    • pp.27-50
    • /
    • 2016
  • 이 연구는 재현의 층위인 실제 인간의 육성(肉聲)을 기반으로 하는 다큐멘터리-애니메이션이 현실세계의 증언으로 작용하는 애니메이션 매체의 새로운 확장임을 논의하였다. 애니메이션은 매우 다양한 기법으로 제작되어 정의하기 힘들 정도로 복잡한 양상을 띠며, 다큐멘터리는 객관적 재현을 기반으로 하지만 연출과 디지털 영상처리 등 여러 유형의 인위적 개입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복잡성이 증폭된다. 두 매체의 혼성 장르로 등장한 다큐멘터리-애니메이션은 실제의 사건과 요소를 작품 안으로 끌어들여 현실 기반의 서사를 개념적으로 공유하며, 애니메이션의 외형을 시각적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애니메이티드 다큐멘터리'로 분류되어 온 이 장르는 <바시르와 왈츠를> 발표 이후 논의가 촉발되었는데, 이 작품의 기법은 실사를 변환한 로토스코핑 기법을 사용한 것으로 오인되곤 한다. 그렇지만 세밀히 분석해보면 전형적인 애니메이션 기법, 3D프로그램의 사용, 그리고 실사영상의 혼용으로 실체 없는 가상의 시뮬라크르인 애니메이션과 지시대상의 객관적 지표성을 기반으로 하는 다큐멘터리의 특성이 공존하는 모호한 매체로 제시되어 있다. 본고에서 논의하고 있는 <무장>(Going Equipped)과 <스낵 앤 드링크>(Snack and Drink), 그리고 <라이언>(Lyan)은 실제인물의 증언으로 서사가 진행된다는 점에서 다큐멘터리 매체의 특성을 공유하지만 동시에 제작기법과 연출특성으로 인해 애니메이션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기존의 분류체계에 이 매체를 포함하기보다 새로운 확장으로써 논의되어야 하며, 이는 작품의 실체를 직시하고 논의를 발전시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전제라 하겠다. 이 연구에서는 인터뷰이(Interviewee)의 목소리를 직접 사용하면서도 애니메이션의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작품들을 통해 다큐멘터리-애니메이션을 정의하고 현실세계의 증언으로 확장되고 있는 매체의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