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ateriality for Producing the Title Sequence of Film

영화 타이틀시퀀스 제작을 위한 물질성

  • 신승윤 (부산대학교 디자인학과) ;
  • 김미진 (동서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부) ;
  • 문요한 (부산대학교 영상정보협동과정)
  • Received : 2013.07.01
  • Accepted : 2013.09.13
  • Published : 2013.10.28

Abstract

The materials used in the title sequence connotes a style & a content of film comprehensively. Therefore, the effect of emotional expressio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what materials are selected. Thus, the materials of which 42 title sequences are collected for the last 10 years are classified, and the category of materiality & material degree are defined with the semiotic rectangle. To investigate intensity of the material degree, the survey was done.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intensity was classified into 3 levels of material degree. The category of materiality used according to the genre of film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ateriality was selected according to the content regardless of genre, but there's any difference in the material degree. The intense material degree was used in a thriller and an SF mystery genre, and the medium one was used in the general genre, but, above all, drama and action genre. The weak one was used in a variety of genre, but specifically horror, SF mystery genre.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suggested the expression method in accordance with selection of materials in producing a title sequence to visualize film symbolically.

타이틀시퀀스에서 활용된 물질은 영화의 스타일과 내용을 포괄적으로 내포하고 있다. 그러므로 어떤 물질을 선택하는가에 따라 정서적 표현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 20년간의 영화 타이틀시퀀스 42편을 수집하여 소재를 분류하고 기호학사각형을 이용해 물질의 범주를 정의하였다. 물질도의 강약을 검증하기 위해 설문하여 3단계의 물질도를 구분하고 영화의 장르에 따라 어떤 범주의 물질성이 활용되었는지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물질성은 장르의 구분 없이 내용에 따라 선택되었으나 물질도의 차이는 있었다. 강한 물질도는 스릴러와 SF.미스테리 장르에서 사용되었고, 중간 물질도는 전반적으로 활용되나 특히 드라마 장르와 액션에서 활용되었다. 약한 물질도 또한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되었으나 특히 공포, SF 미스테리 장르에서 활용되었다. 본 논문은 영화를 상징적으로 시각화하는 타이틀시퀀스 제작에 있어 물질의 선택에 의한 표현 방법 연구를 제안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홍명희, 상상력과 가스통 바슐라르, 살림출판사, 2005.
  2. 루돌프 아른하임, 이정오 역, 시각적 사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3.
  3. 유리 로트만, 영화 기호학, 민음사, 1996.
  4. 아놀드 힐데브란트, 조창섭 역, 조형 미술의 형식, 민음사, 1994.
  5. 마르틴 졸리, 김웅권 역, 이미지와 해석, 동문선, 2002.
  6. 더들리 앤드루, 김시무 역, 영화 이론의 개념들, 시각과 언어, 1995.
  7. http://www.artofthetitle.com
  8. http://ko.wikipedia.org
  9. B. 클라인트, 오근재 역, 인간의 시각 조형의 발견, 미진사, 1996.
  10. W. 칸딘스키, 차봉희 역, 점선면 회화적인 요소의 분석을 위하여, 열화당미술책방, 2004.
  11. 존 피스크, 강태완, 김선남 역, 문화커뮤니케이션론, 한뜻, 1997.
  12. 권명광, 신항식, 광고 커뮤니케이션과 기호학, 문학과 경계, 2003.
  13. 김주종, 영화 관람자들의 구전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7.
  14. 배리 랭포트, 영화장르-헐리우드와 그 넘어, 한나래,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