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ma-sitosterol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9초

The Contents of Phytosterols, Squalene, and Vitamin E and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of Korean Landrace Setaria italica and Sorghum bicolar Seeds

  • Bhandari, Shiva Ram;Lee, Young-Sang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63-672
    • /
    • 2013
  • To characterize the nutraceutical property of Italian millet (Setaria italica) and sorghum (Sorghum bicolor), ten Korean landraces of each crop were collected and their vitamin E (tocopherols and tocotrienols), squalene and phytosterols (campesterol, stigmasterol and ${\beta}$-sitosterol) contents as well as fatty acid composition in seeds were evaluated. Italian millet seeds exhibited 5 forms of vitamin E isomers: three (${\alpha}$-, ${\gamma}$- and ${\delta}$-) tocopherols and two (${\alpha}$- and ${\gamma}$-) tocotrienols, while sorghum seeds showed only three forms of vitamin E isomers: ${\alpha}$- and ${\gamma}$-tocopherol and ${\alpha}$-tocotrienol. In both crops, ${\gamma}$-tocopherol was the major constituent of vitamin E in terms of highest quantity. Total vitamin E content in Italian millet and sorghum landraces were 88.3 mg/kg and 44.3 mg/kg, respectively. Among three phytosterols (campesterol, stigmasterol and ${\beta}$-sitosterol) analyzed, ${\beta}$-sitosterol was the major form comprising about 85% and 65% in Italian millet and sorghum landraces, respectively. Total phytosterols content ranged from 443.0 to 568.5 mg/kg and 442.3 to 719.2 mg/kg in Italian millet and sorghum, respectively. Squalene, a precursor of phytosterols biosynthesis, ranged from 6.8 to 10.2 mg/kg in Italian millet and from 62.2 to 115.2 mg/kg in sorghum. Linoleic, oleic and palmitic acids were the major fatty acids in both of the crops and about 80% of the total fatty acids were unsaturated fatty acids. Among the tested landraces, M09 and S10 showed relatively higher proportion of phytonutrients, suggesting their potential as a gene source for further breeding program.

미강의 약리성분 감마-오리자놀의 정량 (Quantitative Analysis of ${\gamma}-oryzanol$ in Rice Bran)

  • 곽태순;박희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3-118
    • /
    • 1997
  • 미강에 함유된 약리성분인 ${\gamma}-oryzanol$ 함량을 검정하여 용도 다양화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코자 시험을 수행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Soxhlet 추출장치에서 얻은 미강유에서 유리 sterol과 ferulic acid ester가 분리되었다. 유리 sterol은 GC-MS에 의하여 campesterol, ${\beta}-sitosterol$ 및 stigmasterol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ferulic acid ester는 알칼리 가수분해에 의하여 얻어지는 검화분해물을 분리용 TLC로 분리하여 triterpene과 sterol을 얻었다. sterol은 GC-MS 측정으로 유리 sterol과 같은 조성임을 알았으며 triterpene은 cycloartanol, cycloartenol, 24-methylenecycloartanol 및 미지의 triterpene로 구성되었다. 미강유나 pitch 중 ferulic acid ester의 흡광도를 기준으로 ${\gamma}-oryzanol$의 함량을 평가한다면 큰 오차는 없으리라 생각된다.

  • PDF

유기 및 관행재배 쌀의 생리활성 성분 분석법 확립 및 함량 비교

  • 김기안;이유석;이영한;최경주;이연;한태호;박근형;문제학
    • 한국유기농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기농학회 2009년도 하반기 학술대회
    • /
    • pp.319-319
    • /
    • 2009
  • 관행재배 농산물에 대한 유기재배 농산물의 우수성이 구전되고 있으나 객관적인 과학적 데이터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이 주식으로 하고 있는 쌀(동진 1호)을 대상으로 생산이력이 분명한 유기 및 관행재배 시료를 이용하여 독자적으로 확립한 분석법을 이용해 유기 및 관행재배 쌀에 함유된 생리활성성분의 함량 비교를 행하였다. 생리활성성분 분석은 $\gamma$-oryzanol, $\beta$-sitosterol 및 tocopherol류를 대상으로 행하였다. 쌀에 함유된 주요 4종의 $\gamma$-oryzanol류의 동정을 위해 그 4종 화합물들을 ESI-MS 및 NMR 분석을 행한 결과, ODS 컬럼 상에서 cycloartenyl ferulate, 24-methylene cycloartenyl ferulate, campesteryl ferulate 및 $\beta$-sitosteryl ferulate 순으로 용출됨을 확인하였다. 동정된 각 성분들을 HPLC로 분석한 결과, cycloartenyl ferulate와 $\beta$-sitosteryl ferulate의 함량은관행보다 유기재배 쌀에서 유의(p<0.05)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 또한 $\gamma$-oryzanol 중 24-methylene cycloartenyl ferulate와 campesteryl ferulate의 함량은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관행보다 유기재배 쌀에서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beta$-sitosterol 함량에 있어서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관행보다 유기재배 쌀에서 더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관행재배와 유기재배 쌀의 tocopherol류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alpha$-tocopherol의 함량에 있어서는 관행과 유기재배 쌀 간의 유의차가 관찰되지 않았고, $\beta$- and/or $\gamma$-tocopherols의 함량에 있어서는 유기재배 쌀에서 더 높은 경향이 관찰되었다. 이처럼 쌀에 함유된 생리활성 성분과 그로 인해 발휘되는 기능성 측면에 있어서 유기농산물의 우수성은 유기농산물 재배 농가의 수익 창출에 도움이 되는 홍보자료 제공 및 식품 기능학적 측면에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그러나 본 결과는 본 실험에서 대상으로 한 시료에 한정될 수 있으며, 유기재배 방법과 재배환경 및 조건에 따라 다양한 결과가 얻어질 수 있음에 주의가 요구된다.

  • PDF

홍화유 Tocopherol 분석, Phytosterol 추출 최적화 및 CLA를 함유한 재구성지질 합성

  • 박래균;이기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총회 및 제22차 학술발표회
    • /
    • pp.104.1-104
    • /
    • 2003
  • 홍화유를 35$^{\circ}C$, 8$0^{\circ}C$ 추출조건 온도에서 각각 1, 3, 6시간 추출하여 HPLC 사용하여 $\alpha$,${\gamma}$,$\delta$-tocopherol 정량하였다. 정량결과 $\alpha$-tocopherol 함량이 ${\gamma}$-tocopherol 함량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delta$-tocopherol은 검출되지 않았다 총 tocopherol 함량은 35$^{\circ}C$ 추출조건에서 보다 8$0^{\circ}C$ 추출조건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8$0^{\circ}C$ 6시간 추출조건에서 0.23%라는 함량을 나타났다. 또한 반응표면분석에 의하여 홍화유 추출조건에 따른 campesterol, stigmasterol, $\beta$-sitosterol 및 total sterol의 추출 최적화를 모니터링하였으며, 추출온도(35~75$^{\circ}C$, X$_1$), 추출시간(1~11시간, X$_2$), 시료의 전처리 가공 온도(60~10$0^{\circ}C$, X$_3$)를 변수로 한 중심합성계획으로 추출조건을 최적화하였다 추출온도, 추출시간 및 시료의 전처리 가공 온도가 각각 54.69$^{\circ}C$, 4.02시간, 98.37$^{\circ}C$ 이었을 때 campesterol은 0.3852% 추출율을 보였으나 stigmasterol, $\beta$-sitosterol 및 total sterol 반응표면분석 결과 유의차가 없었다. 한편, 추출된 홍화유와 conjugated linoleic acid (CLA)를 1:3 ㏖ 비율로 혼합한 후 고정화효소인 IM60 lipased와 1, 2, 3, 6, 24시간 동안 합성하여 재구성지질을 생성하고 GC에 의해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총 CLA의 함량은 각각 2.134%, 6.524%, 8.606%, 21.590%, 31.791%로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현미 종류별 발아현미의 발아 전 후 생리활성물질 함량의 변화 (Pre- and Post-Germination Changes in Pharmaceutical Compounds of Germinated Brown Rice)

  • 정혜영;이동현;백흠영;이영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spc호
    • /
    • pp.37-43
    • /
    • 2008
  • 발아현미에 함유된 기능성 물질의 발아 전후 함량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일반미, 녹미, 적미, 흑미, 찹쌀현미 등 5종의 현미를 대상으로 발아 전 상태 및 발아현미 제조 후 상태에서의 tocopherol 및 tocotrienol류, squalene 및 phytosterol 류 등 기능성물질 함량 변화를 평가한 본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비타민 E 함량은 발아전보다 발아후의 현미에서 약 10% 수준의 함량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2. Squalene 함량의 경우 발아찹쌀현미는 발아 과정 중 31%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다른 종류의 현미는 발아 전후 큰 변화가 없었다. 3. Phytosterol류 중 stigmasterol은 모든 종류의 발아현미에서 발아 전 대비 5-27%의 뚜렷한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campesterol, sitosterol 및 총 phytosterol 함량은 발아 전후 간 대차 없거나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4.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비록 현미 종류별 차이는 있었으나 대부분의 경우 발아 현미는 발아전과 비교할 때 stigmasterol은 뚜렷한 증가를 나타내며 본 실험 분석 대상이었던 tocopherol, tocotrienol, squalene, campesterol, sitosterol 등 기능성 물질은 발아 전후 대차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Lovastatin을 생산하는 식용버섯 선발과 HMG-CoA reductase 저해 효과 (Screening of Edible Mushrooms for the Production of Lovastatin and its HMG-CoA Reductase Inhibitory Activity)

  • 이재원;이수민;곽기섭;이지윤;최인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83-88
    • /
    • 2006
  • 국내에서 식용버섯으로 이용되고 있는 8종 균주의 자실체와 균사체로부터 콜레스테롤 합성을 저해하는 lovastatin 생산과 고지혈증 억제활성을 탐색하였다. TLC 분석으로 lovastatin생산 유무를 검색한 결과 자실체와 균사체의 추출물에 대해 Rf값이 표준물질콰 같은 약 0.46에서 뚜렷한 밴드가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자실체로부터 lovastatin 추출을 위한 용매로는 water/acetonitrile/methanol (5:2.5:2.5)을 사용하였을 매 가장 효과적인 lovastatin 생산량을 보였다. Lovastatin 생산량은 자실체 중에서는 Pleurotus ostreatus가 0.98 mg/g (dry biomass)으로 가장 높은 생산량을 나타냈고 균사체 배양액 추출물에 대해서도 P. ostreatus가 21.90 mg/L로 높은 생산량을 나타냈다. 3-Hydroxy-3-methylglutaryl-CoA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에서는 자실체에서 P ostreatus가 67.8%, 균사체에서 P. ostreatus와Laetiporus sulphureus가 각각 37.2%, 29.1%의 저해활성을 보였다. L. sulphureus는 lovastatin 생산량에 비해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서 lovastatin 이외의 다른 고지혈증 억제물질을 GC/MS로 분석한 결과 대사산물로 분비되는 식물성 sterol 물질인 campesterol과 gamma-sitosterol이 검출되었다.

Comparis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s and nutritive values of various pumpkin ($Cucurbitaceae$) species and parts

  • Kim, Mi-Young;Kim, Eun-Jin;Kim, Young-Nam;Choi, Chang-Sun;Lee, Bog-Hieu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6권1호
    • /
    • pp.21-27
    • /
    • 2012
  • Pumpkins have considerable variation in nutrient contents depending on the cultivation environment, species, or part. In this study, the general chemical compositions and some bioactive components, such as tocopherols, carotenoids, and ${\beta}$-sitosterol, were analyzed in three major species of pumpkin ($Cucurbitaceae$ $pepo$, $C.$ $moschata$, and $C.$ $maxima$) grown in Korea and also in three parts (peel, flesh, and seed) of each pumpkin species. $C.$ $maxima$ had significantly more carbohydrate, protein, fat, and fiber than $C.$ pepo or $C.$ $moschata$ (P<0.05). The moisture content as well as the amino acid and arginine contents in all parts of the pumpkin was highest in $C.$ $pepo$. The major fatty acids in the seeds were palmitic, stearic, oleic, and linoleic acids. $C.$ $pepo$ and $C.$ $moschata$ seeds had significantly more ${\gamma}$-tocopherol than $C.$ $maxima$, whose seeds had the highest ${\beta}$-carotene content. $C.$ $pepo$ seeds had significantly more ${\beta}$-sitosterol than the others. Nutrient compositions differed considerably among the pumpkin species and parts.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in updating the nutrient compositions of pumpkin in the Korean food composition database. Additional analyses of various pumpkins grown in different years and in different areas of Korea are needed.

홍화(Carthamus tinctorius L.)씨의 sterol 및 Phytoestrogen 분석 (Sterol Composition and Phytoestrogen Activity of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 Seed)

  • 최영주;최상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29-534
    • /
    • 2003
  • 홍화씨가 골절, 골다공증 및 골형성부전증 등의 골 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알려져 민간요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홍화씨의 어떤 성분이 이러한 작용을 하는지에 관해서는 거의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흥화씨의 sterol 조성을 분석하고 폐경기 여성들의 골다공증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합성 estrogen 대체물질로써 그 기능이 확인된 phytoestrogen 활성을 측정하였다. Cholesterol에서 성호르몬인 estrogen이 합성되는 것처럼 식물 sterol 도 phytoestrogen 합성을 위한 전구체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홍화씨에 존재하는 식물성 sterol은 stigmast-5-en-3-ol (3$\beta$, 24S)-form인 ${\gamma}$-sitosterol (clionasterol)로 확인되었으며 홍화에 존재하는 식물성 sterol의 함량은 총지질의 약 4%를 함유하였다. 홍화씨의 sterol 분석은 GC-MS와 Wiley MS spectrum library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홍화씨에 존재하는 중요한 4-desmethyl sterols 에는 sitosterol 만이 확인되었다. 홍화씨의 식물성 estrogen 효과는 $\beta$-estradiol ($10^{-8}$ M)의 활성을 1로 했을 때 홍화씨의 에탄을 층(5 mg/ml) 및 메탄올 층(5 mg/ml)에서 각각 0.37과 0.43으로 estrogen 유사효과를 나타내었다(ANOVA p<0.001). 홍화씨에 포함된 estrogen에 의한 전사활성 촉진은 MCF7/pDS-CAT-ERE119-Ad2MLP system을 사용하여 estrogen수용체와 reporter gene 발현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세포에 직접 처리함으로써 phytoestrogen 활성을 측정할 수 있었다.

고추씨 기름의 지질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Lipid Components of Red Pepper Seed oil)

  • 최영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1-36
    • /
    • 1990
  • This studie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red pepper seed as resources of food fats, the research method was designed to make a comparison between crude and refined oil, and the results of the studies are as follows : The red pepper seed contained 28% of crude fat and 21% of crude protein. The main fatty acids of red pepper seed oil were linoleic acid(72.10~72.31%), palmitic acid(12.81~13.28%) and oleic acid(9.47~10.48%). The linolenic acid content was so small that is will not influence the autoxidation of the red pepper seed oil. The major triglyceride type of crude and refined oil of red pepper seeds were C52 and C54. The other types were found in a small quantity. The sterol composition of crude oil was $\beta$-sitosterol, campasterol, stigmasteral and brassicasterol,in the quantity order. after refining, brassicasterol was not detected, and the content was decreased by one six and one eight. The toropherol composition of crude and refined oil, tocopherol analog was composed of three kinds $\alpha$-, ${\gamma}$-, $\delta$-, but no $\beta$-form. the quantity of ${\gamma}$-, $\alpha$- and $\delta$-tocopherol were 162.91, 83.72, 43.98mg% respectively. The Quantity of and capsaicin in crude oil was 1,296 ppm, and it was reduced consicerably by refining and removed completely after the process of redeodorization.

  • PDF

달맞이꽃 종자유와 미강유로부터 효소적 합성한 재구성 지질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tructured Lipids from Evening Primrose Seeds Oil and Rice Bran Oil)

  • 김효진;이경수;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1156-1164
    • /
    • 2010
  • 미강유(RBO)와 달맞이꽃 종자유(EPO)를 기질로 한 다양한 몰비율(1:3, 1:4, 1:5)을 가지고 효소촉매를 이용한 재구성 지질을 합성하였다. 달맞이꽃 종자유의 주요 지방산은 필수 지방산인 linoleic acid(C18:2)와 $\gamma$-linolenic acid(C18:3n-6)가 각각 74.9%와 8.1%를 차지하였다. 비율별로 합성된 재구성 지질의 주요 지방산을 살펴보면 oleic acid, linoleic acid, $\gamma$-linolenic acid가 전체 지방산 조성의 88% 이상을 차지하였다. 합성한 재구성 지질은 $\gamma$-linolenic acid를 각각 7.2%(1:3)와 7.9%(1:4), 8.3%(1:5)로 함유하였다. 반응에 사용된 기질 및 합성된 재구성 지질의 TAG 조성을 reversed-phase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미강유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달맞이꽃 종자유의 주요한 peak인 LLL(trilinolein) peak는 감소하였고, 새로운 peak의 형성은 점차 증가하였다. 재구성 지질 및 반응에 사용된 미강유와 달맞이꽃 종자유의 $\alpha$-, $\gamma$-, $\delta$-tocopherol 함량을 분석한 결과, 미강유는 $\alpha$-tocopherol과 $\gamma$-tocopherol이 각각 7.60, 2.11(mg/100 g)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delta$-tocopherol은 검출되지 않았다. 달맞이꽃 종자유는 $\alpha$-tocopherol 및 $\gamma$-tocopherol은 각각 13.36과 10.82(mg/100 g)를 나타내었다. Phytosterol 함량은 달맞이꽃 종자유가 744.49 mg/100 g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미강유는 606.64 mg/100 g이었다. 한편, scale-up한 재구성 지질의 phytosterol 함량을 분석해 본 결과, 반응하기 전 campesterol, stigmasterol 및 $\beta$-sitosterol 함량이 3시간 반응 후 감소하였다. 이로써 필수지방산인 $\gamma$-linolenic acid를 함유한 재구성지질을 효소를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합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