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 proline content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33초

게향 소재 개발을 위한 붉은 대게 자숙액 및 내장의 정미 성분 특성 (Characteristics of Taste Compounds of Red Snow Crab Cooker Effluent and Hepatopancreas for Developing a Crab-like Flavorant)

  • 차용준;조우진;정은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66-472
    • /
    • 2006
  • 붉은 대게 가공공정 중에 얻어지는 자숙액 및 내장의 천연 게향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정미성분을 포함한 신품학적인 특성을 분석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붉은 대게 자숙액을 $40\;^{\circ}Brix$까지 농축시키면서 관능 검사 및 냄새 특성 강도를 수행한 결과 $30\;^{\circ}Brix$가 가장 양호하였다. 그리고 붉은 대게 농축 자숙액$(30^{\circ}Brix)$과 내장의 불휘발성 유기산에서는 lactic acid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succinic acid이었다. 핵산 관련 물질은 IMP, Hx 및 GMP가 내장에서 대부분이었고, AMP, HxR, IMP 및 GMP 등이 자숙액에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내장의 유리 아미노산 총량은 농축 자숙액에 비해 5.6배나 많았다. 조성면에서는 methionine, lysine, arginine, valine, histidine, alanine, hydroxy proline 및 glycine 등 8종이 자숙액 전체 아미노산의 72%를 차지하였고, 내장에서는 methyl histidine, leucine, alanine, glutamic acid, glycine, valine, threonine, taurine, isoleucine 및 serine 등 10종이 전체의 74%를 차지하였다. 결론적으로 천연 게향 제조를 위한 소재로서는 $30\;^{\circ}Brix$ 농도의 붉은 대게 농축 자숙액에 0.5%(w/w)의 붉은 대게 내장을 첨가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재배방법에 따른 더덕의 성분 및 색도 (Compositions & Color of Codonopsis lanceolata Affected by Cultivation Methods)

  • 정미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29-534
    • /
    • 1999
  • 재배방법을 달리한 3가지 더덕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총 아미노산 가운데 arginine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glutamine이 두 번째를 차지하였고 alanine 및 proline의 순서로 나타났다. 유기재배더덕에 함유된 arginine은 15.48mg으로 자생더덕의 5.67mg보다 약 3배 많았으며, 일반재배더덕은 9.79mg으로 나타났다. 유리 아미노산에서도 가장 많이 함유된 아미노산은 arginine이었으며 유기재배더덕에서 32.6mg을 차지하여 자생더덕의 6.43mg과 일반재배의 6.40mg보다 약 5배 많았다. 따라서 활엽수와 볏짚이 포함된 퇴비를 사용한 유기재배더덕에 arginine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무기질 가운데 K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특히 유기재배더덕에는 1.03%, 일반재배 0.83% 및 자생더덕에 0.69%로 나타났는데 이는 유기질 퇴비로부터 더덕이 다량의 K을 흡수하였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Ca의 함량은 자생더덕에 $3.988{\mu}g$함유되어 일반재배의 $803{\mu}g$보다 5배정도, 유기재배더덕의 $1,040{\mu}g$보다 약 4배 많았다. 중금속 중 Pb이 자생더덕에 $0.11{\mu}g$으로 가장 낮았고, 유기재배더덕은 이보다 약 3배, 일반재배더덕은 약 4배정도 많았으나 식품에서 이러한 수준은 안전하다. 카드뮴은 자생더덕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유기재배 및 일반재배더덕에서는 $0.12{\mu}g$, $0.41{\mu}g$이 각각 함유되어 있었으며 안전한 수준으로 볼 수 있다. Se은 3가지 더덕 모두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껍질 벗긴 더덕의 색도 측정결과, 더덕의 고유한 색은 자생더덕이 가장 진하였고, 일반재배더덕이 가장 흐렸으며 유기재배더덕은 중간 정도로 판단할 수 있다.

  • PDF

국내산 녹용의 부위별 식품학적 성분 분석 (Analysis of Food Components of Korean Deer Antler Parts)

  • 이부용;이옥환;최현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2-56
    • /
    • 2003
  • 본 연구는 녹용 상대와 중대 부위의 식품학적 성분들을 분석하고, 비교하여 식품가공시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생녹용의 상대와 중대의 수분함량은 각각 51.7%, 63.6%이었다. 동결건조한 녹용 상대의 조단백질 66.91%, 조지방 3.52%, 조회분 22.70%, 탄수화물 6.87%이었다. 또한 중대의 조단백질 52.64%, 조지방 2.50%, 조회분 34.54%, 탄수화물 6.07%이었다. 상대에서 가장 많은 무기질은 P(2562.0 mg%)이었고, glycine(7597.9 mg%)과 glutamic acid(5769.4 mg%)가 가장 많이 함유된 아미노산이었다. 중대의 가장 많은 무기질은 P(2536.0 mg%)이었고, glycine(9612.0 mg%)과 proline(5906.3 mg%)이 가장 많이 함유된 아미노산이었다. 상대와 중대 모두에서 fructose, sucrose, glucose, maltose는 검출되지 않았다. 조지방중의 지방산조성은 상대와 중대 모두에서 palmitic acid가 30.83%, 32.23%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비타민 A는 상대가 16.40 IU/100 g. 중대가 12.32 IU/100 g로 났지만 비타민 C는 모두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상대와 중대 동결건조 분말의 적색도는 상대가 높았으며 명도와 황색도는 중대가 높았다.

밤나무 잎의 화학성분, 항산화 및 항균활성 (Chemical Component,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hestnut(Castanea crenata) Leaves)

  • 정창호;허재연;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34-239
    • /
    • 2002
  • 밤잎의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으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밤잎의 화학성분,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총당 11.95%, 조지방 11.50%, 조섬유 10.11%, 조단백질 7.50% 및 회분이 1.79%순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무기성분으로는 Ca과 K으로 그 함량은 각각 215.7 mg%와 196.6 mg%로 나타났다. 비타민 C의 함량은 12.5 mg%였으며, 유리당은 glucose 3.33%, fructose 0.25%, sucrose 0.022% 함유되어 있었다. 밤잎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로 그 함량은 36.86%로 나타났다. 밤나무 잎의 주된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295.4 mg%), proline(285.7 mgg%), aspartic acid(245.5 mg%), arginine(240.8 mg%), phenylalanine(237.4 mg%) and leucine(230.6 mg%)로 나타났으며, 총 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48.3%이었다. 항산화 효과는 용매별 추출물에서는 methanol 추출물이 72.52%, 용매분획 추출물에서는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84.12%로 각각 높게 나타났다. 각종 용매별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메탄을 추출물이 높게 나타났으며, 용매분획별 추출물에서는 ethyl acetate 분획층에서 다른 분획보다 높게 나타났다.

호박(Cucurbita moschata DUCH.)종실의 발아 성장 과정 중 성분 변화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s of Pumpkin(Cucurbita moschata DUCH.) Seed Sprouts)

  • 이병진;장희순;이규희;오만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27-533
    • /
    • 2003
  • 호박씨는 단백질과 지방의 함량이 높고 영양가치가 높아 식품가공 재료로서 널리 이용될 수 있으나 그 동안 과자, 스넥 제품 등의 단순가공 소재로서 이용되어 왔다. 그러므로 호박씨의 소비를 증진시키고 새로운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호박씨를 발아 성장시키면서 각 부위의 일반영양성분, 지방산, 아미노산, L-ascorbic acid, $\beta$-carotene의 함량변화를 측정하여 영양학적 가치를 평가하였으며, 발아 성장과정 중 생성되는 고미성분의 구조를 동정하기 위하여 각종 용매 순차 분획, thin layer chromatography, HPLC의 분리과정을 거쳐서 정제한 고미물질을 mass spectrum, $^1$H-NMR spectrum, $^{13}$C-NMR spectrum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호박씨나물의 중량은 발아 8일에 348.4% 증가하였으며 뿌리와 줄기의 길이는 8일째까지 급격히 증가하였다. 일반영양성분은 머리부분과 줄기부분 모두 단백질과 지질의 함량은 감소하였고 섬유소, 회분, 가용성 무질소물의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linoleic acid, ole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가 주요지방산으로 나타났고, palmitic acid는 증가하는 반면 linoleic acid는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호박씨나물의 머리부분의 구성아미노산 glycine, alanine, arginine, cystein proline의 순으로 많았으며, 유리아미노산은 arginine, threonine, alanine, glutamine의 순으로 많았다. L-ascorbic acid와 $\beta$-carotene은 발아 성장하면서 점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머리부분에 생성되는 고미성분은 cucurbitacin glycoside로 판명되었으며, 호박씨에서는 고미성분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발아 8일째 머리부분의 고미성분은 42.2mg/kg이 함유되어 있다.

당귀의 종별 이화학적 성분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Three Species of Genus Angelica)

  • 이재준;김아라;서영남;이명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4-100
    • /
    • 2009
  • 식용식물자원의 하나인 당귀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세 종류의 당귀 즉 한국당귀, 일당귀 및 중국당귀의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을 비교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건물을 기준으로 조지방 함량은 한국당귀가 가장 높았고, 수분 함량은 일당귀가 가장 높았으며, 조단백질 함량은 중국당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회분과 탄수화물의 함량은 세 시료간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유리당은 세 종류 모두 fructose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한국당귀 4178.64mg%, 중국당귀 3367.13 mg% 및 일당귀 2952.10 mg% 순으로 한국당귀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한국당귀, 일당귀 및 중국당귀의 아미노산 조성은 다르게 나타났지만, 세 종류 모두 arginine, proline, lysine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당귀의 포화지방산은 한국당귀는 capro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일당귀와 중국당귀는 palmit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다. 불포화지방산은 세 종류의 당귀 모두 linole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linolenic acid, ole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유기산 또한 세 종류의 당귀 모두 oxalic acid 함량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한국당귀, 일당귀 및 중국당귀의 비타민 A 함량은 각각 5.10 mg%, 6.32 mg% 및 6.11 mg%로 검출되었다. 비타민 E는 한국당귀에서만 0.47 mg% 검출되었다. 무기질은 총 8종의 무기질 성분이 검출되었고, 이 중 K 함량이 세 종류의 당귀 모두에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Mg, Fe, Na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 한국당귀, 일당귀 및 중국당귀의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 분석 결과는 성분의 함량 차이는 있지만 성분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사료된다.

쇠무릎과 청미래덩굴 부위별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chyranthes japonica and Smilax china Extracts)

  • 정갑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3317-3326
    • /
    • 2011
  • 야생생물자원의 기능성 탐색의 일환으로 쇠무릎과 청미래덩굴의 부위별 추출물에 대한 몇 가지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고찰하였다. 추출률은 증류수>메탄올>에탄올 순이었으며, 추출된 유리 아미노산은 총 16종으로서 쇠무릎은 proline이, 청미래덩굴은 phosphoserine과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갈변도와 방향족 화합물 함량은 청미래덩굴 잎은 메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고 에탄올, 증류수 순이었으나, 쇠무릎 잎의 경우 증류수 추출물의 흡광도가 가장 높고, 메탄올, 에탄올 순으로 나타났다. 청미래덩굴 잎과 뿌리의 전자공여능은 잎은 에탄올>메탄올>증류수, 뿌리는 메탄올>에탄올>증류수 순이었고 쇠무릎은 증류수>에탄올>메탄올 순이었다. 올리브유에 대한 산화억제 작용은 TBA가를 기준하여 합성 항산화제인 BHT에 비해 쇠무릎 잎은 82.1%, 청미래덩굴 잎은 84.0%의 값을 보였다. 쇠무릎 줄기의 메탄올 추출물은 Bacillus subtillis에 대해 항균력을 보였으며, 청미래덩굴 잎 추출물은 Bacillus subtillis, Vibrio vulnificus 및 Salmonella enterica에 대하여 항균력이 있었다. 그리고 중금속 이온의 흡착 및 회수실험 결과 동일한 금속농도에서 Cd(II)에 대한 청미래덩굴의 흡착률보다 Pb(II)에 대한 쇠무릎의 흡착률이 더 높았다.

국내 주요 산지별 마늘의 영양성분 비교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arlic (Allium sativum L.) on Collected from the Different Regions)

  • 신정혜;이수정;정우재;강민정;성낙주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2호
    • /
    • pp.103-114
    • /
    • 2011
  • 국내 주요 산지별 마늘의 영양성분에 대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국내 한지형 마늘 재배지인 태안, 의성, 서산과 난지형 재배지인 제주, 남해, 함평, 무안, 합천에서 재배된 마늘 및 중국산 마늘의 영양성분을 비교분석하였다. 중국산 마늘의 수분함량은 $71.53{\pm}0.34%$으로, 국내산 마늘 $59.37{\pm}0.63$-$66.96{\pm}0.72%$에 비하여 5% 수준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국내산 마늘의 총 페놀 함량은 $12.69{\pm}0.18$-$22.02{\pm}0.27mg/100g$, flavonoids 함량은 $2.91{\pm}0.13$-$5.96{\pm}0.23mg/100g$의 범위였다. 총 티오설피네이트 함량은 $96.28{\pm}2.55$-$150.81{\pm}0.09mg/100g$ 의 범위였으며, 총 피루베이트 함량은 $132.87{\pm}0.45$- $161.37{\pm}1.58mg/100g$의 범위였다. 유리당은 sucrose, glucose 및 fructose가 검출되었으며, 산지 따라 sucrose의 함량은 약 2-4배까지 차이가 있었고, fructose는 남해산이 타 지역산에 비하여 5% 수준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이었다. 유기산은 8종, 무기물 총 11종, 구성아미노산은 총 17종이 검출되었으며, 마늘의 산지에 따라 함량 및 검출된 성분에는 차이가 있었다. 모든 시료에 함유되어 있는 유리아미노산은 proline, alanine, tyrosine, phenylalanine 및 arginine으로 총 5종 이었다.

한국형 Koumiss제조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anufacturing Properties of Korean-type Koumiss)

  • 이종익;송광영;천정환;현지연;서건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67-375
    • /
    • 2011
  • 본 연구는 효모 Kuyveromyces fragilis와 유산균 Streptococcus thermophiles, Lactobacillus bulgaricus의 starter를 유청 분말(대조구: A, 2%: B, 4%: C, 6%: D, 8%: E)이 첨가된 탈지분유에 혼합 접종하여 한국형 Koumiss를 제조하였다. 이 제품의 지방, 단백질, 유당, 적정산도, pH, 생균수, 알코올 함량, 휘발성 지방산, 휘발성 유리아미노산 및 무기물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유청 분말의 농도에 따라 지방 함량은 대조구 0.74%, B는 1.14%, C는 1.57%, D는 2.00%, E는 2.30%로 증가하였고, 단백질함량은 대조구 2.95%, B는 3.66%, C는 3.87%, D는 4.22%, E는 4.39%로 증가했으며, 유당 함량은 대조구 3.10%, B는 4.74%, C는 5.78%, D는 6.59%, E는 7.43%로 증가하였다. 농도에 따라 적정산도 및 pH도 점진적인 증가를 보였다. 유산균의 경우 유청 분말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는데, 대조구는 $2.4{\times}10^9\;cfu/m{\ell}$, B는 $2.7{\times}10^9\;cfu/m{\ell}$, C는 $3.1{\times}10^9\;cfu/m{\ell}$, D는 $3.4{\times}10^9\;cfu/m{\ell}$, E는 $3.8{\times}10^9\;cfu/m{\ell}$로 검출 되었고, 효모수는 유청 분말의 농도에 따라 대조구는 $6.1{\times}10^7\;cfu/m{\ell}$, B는 $8.6{\times}10^7\;cfu/m{\ell}$, C는 $1.08{\times}10^8\;cfu/m{\ell}$, D는 $1.27{\times}10^8\;cfu/m{\ell}$, E는 $1.65{\times}10^8\;cfu/m{\ell}$로 역시 증가하였다. 알코올 함량은 대조구의 평균이 0.863%, B의 평균은 0.963%, C의 평균은 0.890%, D의 평균은 1.290%, E의 평균은 1.313%로 유청 분말의 농도가 높을수록 알코올 함량도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E에서 알코올 함량 평균 1.313%는 카자흐스탄 Koumiss의 알코올 함량 평균 1.08%보다 높게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은 모두 16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다. Glycine은 대조구에서 0.38 mg/$m{\ell}$로 E에서는 0.64 mg/$m{\ell}$로 유청 분말 농도에 따라 높아졌으며, histidine도 대조구가 0.42 mg/$m{\ell}$에서 E는 0.65 mg/$m{\ell}$로 높아졌다. 반면에 glutamic acid는 대조구가 4.13 mg/$m{\ell}$에서 E가 6.96 mg/$m{\ell}$로 함량이 높아졌으며, proline도 대조구가 1.71 mg/$m{\ell}$에서 E가 2.80 mg/$m{\ell}$로 높아졌다. Aspartic acid, leucine도 대조구보다 E가 더 많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휘발성 유리지방산의 경우에서도 대조구와 B, C, D, E의 휘발성 유리지방산의 함량이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고, 초산은 대조구의 함량이 $12,661{\mu}g/100 m{\ell}$이었고, E에서는 $37,140{\mu}g/100m{\ell}$로 증가하였다. 낙산은 대조구에서는 측정되지 않았고, E에서 $1,950{\mu}g/100m{\ell}$로 측정되었으며, 가프른산에서는 대조구가 $177{\mu}g/100m{\ell}$이었고, E에서는 $812{\mu}/100m{\ell}$로 함량이 증가하였다. 발레린산은 대조구에서 $22{\mu}g/100m{\ell}$로 미량 측정되었으나, 다른 시험구에서는 측정되지 않았다. 무기물 Ca, P, Mg, Na, K의 각각의 성분은 Ca의 경우 대조구가 1,042.38 ppm에서 E는 1,535.12 ppm으로, P의 경우 대조구가 863.61 ppm에서 E는 1,336.71 ppm으로, Mg의 경우 대조구가 101.28 ppm에서 E는 162.44 ppm으로, Na의 경우 대조구가 447.19 ppm에서 E는 1,001.57 ppm으로, K의 경우 대조구가 1,266.39 ppm에서 E는 2,613.93 ppm으로 유청 분말의 함량이 높을수록 무기물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는 유청 분말의 첨가가 많을수록 전반적으로 점수가 높음을 보여주었다. 풍미는 대조구가 6.3점으로 가장 낮았고, E는 8.2점으로 가장 높았다. 조직은 유청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가 4.2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외관은 시험구들 사이에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간흡충(肝吸蟲) 성충(成蟲)에 대한 Praziquantel의 시험관내 살충작용(殺蟲作用)에 의한 유리(遊離) 아미노산(酸)의 정량분석(定量分析) (Quantitative Analysis of Amino Acids of Paragonimus Westermani Treated with Praziquantel in Vivo and in Vitro)

  • 탁병연;정명숙;주경환;임한종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6권2호
    • /
    • pp.134-140
    • /
    • 1991
  •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praziquantel 처리전후의 폐흡충(肺吸蟲)(Paragonimus westermani)내 가수분해(加水分解)시킨 아미노산과 유리(遊離)아미노산의 정량분석(定量分析)을 시도하였다. 폐흡충은 고양이에 인공감염시켜 얻었으며 시험관내 살충은 praziquantel $0.1{\mu}g/ml$ 농도인 인산완충액(燐酸緩衝液)에 살아 있는 폐흡충을 넣어 $37^{\circ}C$ 항온기에 6기간 동안 배양한 충체를 사용하였고, 실험 동물내 살충 충체는 praziquantel을 25mg/kg의 용량으로 하여 1일 3회 2일간 경구투약(經口投藥)하고 24시간 후에 폐로부터 충체를 수집하여 사용하였다. 이를 동결건조(凍結乾燥)시켜 1% Triton${\times}$100, 0.5M Potassium acetate가 함유된 50mM Tris-HCl(pH=7.5)에 넣어 homogenize시킨 뒤 $4^{\circ}C$에서 100,000G로 30분간 초원심분리(超遠心分離)하고 상청액(上淸液)을 얻어 시료(試料)로 사용하였다. 위의 시료를 가수분해하고 HPLC에서 각각의 아미노산으로 분리하여 254nm에서 흡광도(吸光度)로 검출하였다. 결과, 폐흡충을 가수분해하여 얻은 아미노산은 cystein, aspartic acid, serine, glycine, histidine, arginine, threonine, alanine, proline, tyros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phenvlalanine, tryptophan, lysin의 총 18종의 확인되었다. 정상 폐흡충은 wet weight lgm당 아미노산 825.88umol이 검출되었고 이 중 glutamic acid가 87.88umol로 가장 많았다. Tryptophan, cystein, methionine, histidine은 3.21~7.91umol로 소량 검출되었다. Praziquantel 처리후 가수분해 하여 얻은 아미노산의 량은 tryptophan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유리(遊離)아미노산은 17종의 검출 되었으며 폐흡충 wet weight 1gm당 유리아미노산은 174.18umol이 검출되었다. 이중 glycine과 alanine이 24.25~24.59 umol로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Praziquantel 처리후 별다른 변화는 보이지 않았으나 전체에 대한 구성비로 볼 때, serine은 2.9%에서 5.0~5.5%로, arginine은 3.2%에서 4.5~5.8%로 각각 상승되었고, glutamic acid와 proline은 각각 8.8%, 10.9%로부터 6.2~7.1%, 3.7~6.0%로 감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