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mechanization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2초

LISREL모형을 활용한 임업기계화 사업의 평가 (Evaluation of the Forestry Mechanization Project Using LISREL Model)

  • 박상준;이준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6호
    • /
    • pp.661-668
    • /
    • 2008
  • 본 연구는 임업기계화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서 임업기계화 사업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이들 요인이 사업의 결과 및 효과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그 관계를 분석하여 향후 임업기계화 사업의 성공적인 집행을 위한 유용한 정책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이들 요인들 상호간의 구조관계를 공변량구조모형인 LISREL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임업기계화 사업을 추진 운영하고 있는 사업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임업기계화 사업성과와 정책만족도, 교육훈련에 관한 응답결과는 보통으로 나타났으며, 정책의 일관성과 법률 및 제도 정비와 임업기계의 보급은 보통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임업기계화 정책 추진에서 법률 및 제도 정비를 통한 일관성 있는 정책과 임업기계의 보급률을 높이는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업기계화 사업에서 정책기반, 임업기계보급과 교육훈련 모두 정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책성과는 정책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임업기계화 정책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임업기계화 정책기반 조성도 중요하지만 더욱 많은 임업기계의 보급 및 오퍼레이터의 교육 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목재생산 및 공급에서 임업기계화의 현황 분석 (An Analysis on the Situation of Forestry Mechanization in the Production and Supply of Timber)

  • 김재환;문호성;한상열;박상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4호
    • /
    • pp.607-614
    • /
    • 2015
  • 목재 생산 및 공급의 활성화를 위한 목재생산작업에서의 현황 및 문제점과 임업기계화사업의 현황 및 효과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국산목재 생산 및 공급 활성화를 위해서는 임업기계화 사업의 추진, 정책 및 제도 개선, 임도망 확충, 작업원 양성, 목재생산 및 공급체계 개선, 임업기계 보급, 삼림작업시스템 구축, 교육 훈련 등이 필요하였다. 또한, 목재생산 및 공급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은 정책목표의 재구축, 정책의 일관성, 법률 및 제도 정비 등이 더욱 필요하였다. 임업기계화 사업의 성과 및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임업기계화 정책이 더욱 추진되고, 임업기계 장비의 보급과 더불어 교육 및 훈련과 강사능력 배양, 교재개발, 현장 기술지도 등이 시급한 정책이었다. 목재수요자의 선호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목집재를 통해 장재를 생산 공급하고, 국산재 이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낮은 가격과 생산목재의 길이와 직경 등에서 우량재의 생산 공급이 필요하였다.

임업노동력 현황 및 양성방안 분석 (An Analysis of the Situation and Training Plan of Forestry Labor)

  • 박상준;김동근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3권2호
    • /
    • pp.109-118
    • /
    • 2007
  • 본 연구는 임업노동력 현황과 양성방안을 분석하여 향후 임업노동력의 확보 및 임업기계화의 활성화 등을 위한 정책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산림작업 종별 총 고용인원과 인건비는 매년 조금씩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벌채 총 고용인력은 오히려 감소하고 있으며, 전문 기계화작업단 구성과 오퍼레이터의 양성이 필요하겠다. 현재 임업현장의 중심적인 활동을 펴고 있는 영림단의 수와 단원수가 해매다 늘어나고 있고 연간 작업일수와 소득도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능인영림단의 월평균 작업일수가 15일로 연간 작업일수가 180일에 불과하였다. 우리나라의 연간 총 숲가꾸기 사업량을 중심으로 기능인영림단 및 단원수를 산출한 결과, 약 349개의 기능인영림단이 필요하고 이에 따른 기능인영림단 1개당 단원수를 12명으로 적용했을 경우, 전체 기능인영림단의 단원수는 약 4,185명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우리나라의 연간 목재 생산량을 중심으로 타워야더형 임목수확작업시스템을 적용하여 적정 기계화영림단 및 단원수를 산출한 결과, 250개의 기계화영림단이 필요하고 기계화영림단당 단원수를 5명으로 적용했을 경우, 전체 기계화영림단의 단원수는 1,250명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산림작업(山林作業) 영림단(營林團) 운영개선(運營改善) 방안(方案)에 관한 연구(硏究) (Strategies for Improving Forest Work Team Management)

  • 강건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3호통권160호
    • /
    • pp.153-160
    • /
    • 2005
  • 본 논문은 우리나라 기능인 영림단에 대하여 1999년부터 2003년까지 5년 동안의 영림단 운영실적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통하여 영림단의 운영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기능인 영림단의 연간 사업일수가 너무 적어 수입이 낮고, 영림단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숲 가꾸기 공공근로 사업을 줄이고 통합육림 사업을 확대하여, 연중 안정적으로 작업 할 수 있도록 사업량을 확대하여 기능인 영림단의 생계유지 및 소득을 증대시켜야 할 것이다. 모든 영림단원을 임업기능인 훈련교육을 받은 자격을 갖춘 영림단으로 유도하며, 국유림 영림단원이 숲 가꾸기 공공근로 사업에 참여할 경우 일반근로자와 구별하여 별도 수당을 지급해야 한다. 또한 미래의 기계화를 위해서도 기술자를 양성해야 하며, 교육훈련을 통해 기능화하고 자격증 보유비율을 높이도록 하며, 기능인 영림단의 산림작업 능력 향상과 전문 직업의식 고취를 위하여 기계화 교육을 실시하여 기계화률 정착시키며, 교육기간에는 일정한 수당을 지급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고립지역의 산림자원 활용에 관한 고찰 (A Study on Use of Forest Resources in the Isolated Areas)

  • 이성기;이갑연;안영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81-187
    • /
    • 2004
  • In case an average accumulation of the investigated area is 200$m^{3}$/ha with cutting age of 80 years applied, annual workload will be 77ha and require 5 teams; each team consisting of 5 persons, enabling stabled supply of lumbers of 15,500$m^{3}$ every year. If one cutover is less than 2ha with cutting age of 80 years applied, it's possible to protect the peculiar ecology and secure stabled labor, workload and lumbering. It may become model forest out of tropical forest management which is controversial all over the world. Of course this presupposes construction of access roads.

산림바이오매스 이용을 위한 임목수확작업시스템의 현황 및 정책 분석 (Analysis of Policy and Status of the Logging Operation System for Forest Biomass)

  • 박상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55-166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logging operation system and to suggest an effective policy plan to secure important raw materials for the use of forest biomass. The dissemination of forestry mechaniz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logging operation are important tasks to establish a system and reduce costs of timber production by increasing the use of forest biomass; this includes increasing the supply of timber for domestic products and increasing the production of wood chips and wood pellets. In particular, the efficiency of steep-slopes catenary system machinery for yarding such as tower-yarder and swing-yarder should be urgently supplied to cope with forest production and supply of forest biomass energy resourc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promote the dissemination of high-performance forestry machinery as is being done in Japan. At the same time, instead of distributing or retaining the spread of forestry machinery to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it is necessary to distribute timber production work centered on forest cooperatives or private timber producers to be carried out by wood producers, forest cooperatives and individuals.

산림지형특성(山林地形特性)을 고려한 산림수확방법(山林收穫方法) 및 집재방법(集材方法)의 선정기준 (Selection Criteria of Harvesting and Logging Methods in Consideration of Forest Terrain Characteristics)

  • 김기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2권2호
    • /
    • pp.195-206
    • /
    • 1993
  • 본 연구는 임업기계화(林業機械化)의 전제조건인 지역별(地域別) 산림수종체계(山林收種體系)를 수립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산림수확방법(山林收穫方法)과 집재방법(集材方法)들을 제어(制御)하는 인자들이 무엇인가를 특히 지형적(地形的)인 관점에서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주요한 산림수확방법은 단재수확법(短材收穫法), 장재수확법(長材收穫法) 및 전목수확법(全木收穫法)이다. 단재수확법은 지형조건(地形條件)이 열악(劣惡)한 산림(山林)에, 전목수확법은 양호(良好)한 산림(山林)에, 그리고 장재수확법은 중간조건(中間條件)의 산림(山林)에 적용됨이 조사되었다. 집재방법(集材方法)에 대해서는 육상집재법(陸上集材法)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주요 집재법으로는 축력집재(畜力集材), 인력(人力) 및 중력(重力) 집재(集材), 차량집재(車輛集材), 그리고 강선집재(鋼線集材) 등이다. 강선집재 중 케이블 크레인에 의한 집재는 집촌거리(集村距離)에 따라 단거리(短距離)(300 혹은 400m까지), 중거리(中距離)(700 혹은 800m까지) 및 장거리(長距離)(700 혹은 800m 이상) 등으로 구분한다. 집재작업범위(集材作業範圍)를 제어하는 인자는 경사(傾斜)와 집재거리(集材距離)이다. 차량집재(車輛集材)는 산림에 큰 부하(負荷)를 주며, 중력집재(重力集材) 중 log-line과 강선집재(鋼線集材) 중 케이블 크레인에 의한 집재법은 산림훼손(山林毁損)을 최소화(最小化)한다. 차량집재는 경사가 급할수록 어려워지고 케이블 크레인 집재는 120%까지 가능하다(상향집재(上向集材)).

  • PDF

삼림(森林)의 공익기능(公益機能)의 계량화(計量化)와 그 평가방법(評價方法)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Estimation and the Evaluation Methods of Public Function of Forest)

  • 호을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6권1호
    • /
    • pp.68-73
    • /
    • 1984
  • 현대사회(現代社會)는 국민경제(國民經濟)의 고도성장(高度成長)에 수반(隨伴)되는 산업활동(産業活動)의 고도화(高度化), 도시집밀화사회(都市集密化社會)의 형성(形成), 생활수준(生活水準)의 향상(向上)에 따르는 여가선용(餘暇善用) 있어서, 삼림(森林)에 대(對)한 공익기능(公益機能)의 발휘(發揮)를 최대한(最大限)으로 요청(要請)하고 있다. 즉(卽), 삼림(森林)이 잠재적(潛在的)으로 보유(保有)하고 있는 야외(野外) recreation 자원(資源), 수자원(水資源), 야생조수(野生鳥獸), 어류(魚類), 목재(木材), 목초(牧草) 등(等)의 천연자원(天然資源)은 공익적(公益的), 경제적(經濟的) 양기능면(兩機能面)에서 복합적(複合的)으로 이용(利用)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특(特)히, 삼림(森林)의 공익기능(公益機能)의 수량화(數量化)가 필수부가결(必須不可缺)의 위치(位置)를 점(占)하게 됨으로 이에 대(對)한 연구개발(硏究開發)이 활성화(活性化)되어야 한다.

  • PDF

집재기계의 견인저항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active Resistance Prediction of Logging machine)

  • 오재헌;차두송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7권1호
    • /
    • pp.62-73
    • /
    • 2001
  • 본 연구는 지면끌기집재에 사용되는 기계에 의해 견인되는 견인목의 견인저항을 예측하기 위해 견인목의 중량, 견인저항계수, 지면의 경사 등의 함수로 표현된 수학적 모델들을 개발하였다. 또한 만능재료시험기와 토양조를 이용한 실험실조건에서 4개 수종(잣나무, 일본잎갈나무, 신갈나무, 굴참나무)의 견인저항계수를 산출하였다. 산출한 견인저항계수와 가상 조건을 이용하여 개발된 3가지의 수학적 견인저항 모델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견인목 중량에 대한 견인저항력의 비(T/Wt)는 지면의 경사가 증가할수록 전형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반지면끌기집재가 지면끌기집재보다 견인저항력이 더 작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집재작업기계의 선정과 집재윈치의 동력요구량 산정엔 기본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