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cover

검색결과 670건 처리시간 0.023초

대구·경북 생태공간 연결성 및 산림축 분석 (Analysis of Ecological Space Connectivity and Forest axi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 차재규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80-96
    • /
    • 2023
  • 인간의 활동 영역과 도로의 확장으로 인한 생태공간의 손실과 단절은 생물다양성에 부정적 요소이다. 특히 토지의 이용과 피복이 급속하게 변한 도시의 시가화지역은 생태공간의 손실과 고립으로 야생생물의 서식이 어려운 지역이다. 또한 도시화에 따른 생태공간 손실과 단절은 생태계서비스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도시와 국토의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서비스 증진을 위해 도시의 현황을 반영한 실용적 생태축 구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구·경북권역 기초자치단체의 도시생태축 관련 공간계획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생태공간의 연결성과 산림축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생태공간 연결성은 대구·경북권역 31개 기초자치단체의 산림과 자연지역으로 구분하여 토지피복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대상지를 20,483개의 1km2 육각형 격자로 나누고 생태공간의 100m 이내 단절에 대한 복원 효과를 공간 군집화하여 복원 중점지역을 시각화하였다. 산림축은 100ha 이상 산림 1,534개를 연결하는 선형을 토지피복, 건축물 면적, 경사 등 지역 현황을 반영하여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생태공간의 연결성 개선을 위한 공간계획 및 목표 수립과 복원지역 선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산림유역의 토지변형에 따른 수질과 토사생산량 변화 - 일본 시라루토로호수 지역의 연구 결과 - (Changes in Water Quality and Sediment Yield in the Forest Catchment - A Study of the Lake Shirarutoro Area in Northern Japan -)

  • 안영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569-576
    • /
    • 2009
  • 산림벌채와 농경지 개발에 의한 토사와 영양염류의 유출은 시라루토로호수의 생물서식지 환경을 악화시키고 있다. 산림벌채와 농업활동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산림벌채와 농경지 개발에 의한 토사와 영양염류의 유출은 시라루토로호수의 생물서식지 환경을 악화시키고 있다. 산림벌채와 농업활동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토지이용에 따른 총질소와 총인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들의 분석 결과를 다른 연구자료와 비교하였다. 호수의 총질소와 총인은 산림면적 증가에 따라 감소하고, 농지면적이 증가하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시라루토로호수의 수질은 좁은 농지면적과 넓은 산림으로 둘러싸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총질소와 총인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유역의 토지이용이 호수에 인접한 곳에서 행해지고 있어 호수 수질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되었다. 토지이용에 따른 유역의 토사생산량 변화를 추정하기 위해 호수 토사퇴적물 시료 11개를 채취하여 약 300년 동안의 토사동태를 조사하였다. 채취한 호수 퇴적물에는 2개의 화산재층(1694년의 Ko-c2층 과 1739년의 Ta-a층)과 세슘($^{137}Cs$)피크(1963년)가 존재하였고, 이들의 연대를 이용하여 약 300년간 유역의 토사생산량을 분석하였다. 초기개발기(1694~1739과 1739~1963)에는 8.4~8.9 tons/$km^2$/year의 토사가 유역으로부터 생산되었고, 1960년대 이후 산림벌채와 농지개발로 인하여 21.1 tons/$km^2$/year(1963~2007)으로 토사생산량이 증가하였다.

Assessment of Teak (Tectona grandis Linn. f.) Provenance Tests in the Bago Yoma Region, Myanmar

  • Lwin, Ohn;Hyun, Jung-Oh;Yahya, Andi Fadly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5호
    • /
    • pp.686-692
    • /
    • 2010
  • This study described the general pattern of genetic variation among ten teak (Tectona grandis Linn. f.) provenances in Myanmar and determined the most suitable seed sources for the plantation program in Bago Yoma region. Seeds of ten provenances were collected to cover the whole teak natural distribution in Myanmar and planted at four trial sites in Bago Yoma region in 1998. Seven years after planting, variation was assessed for growth,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correlation with geoclimatic factors. Statistical analysis using ANOVA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st of the traits measured among provenances, trial sites and provenance ${\times}$ site interaction at five percent level. A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 (p<0.01) was found among most of the traits. The regression analyses between all traits and geoclimatic factors indicated the existence of ecoclinal variation in teak. Most of the trait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latitude while a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longitude and C/B ratio, crown-diameter, average branch angle and leaf-remain.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ean temperature and any other traits in this study. Furthermore, growth traits and crown diameter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mean annual rainfall while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geographical distance and growth traits. Results indicate that the latitudinal pattern of teak genetic variations in growth performance was attributed to the limit of mean annual rainfall. Comparative assessment showed that local provenances were generally the best and could be use as suitable seed sources for the plantation program in the Bago Yoma region.

제주도 난대상록수림에서 착생식물의 다양성 연구 (Diversity of Epiphyte in the Warm Temperate Evergreen Forest. Jejudo)

  • 송국만;강영제;현화자;변광옥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9-107
    • /
    • 2013
  • This study surveyed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epiphytes and host trees in Jejudo's warm-temperate evergreen forests area. The gathered data will be used for evaluating ecological changes according to climate change. The study found 46 species of epiphytes in Jejudo; 12 of which were species of pteridophytes and 5 species of orchids, totaling 17 species of epiphytes. The appearance frequency was the greatest with Lepisorus thunbergianus, followed by Lemmaphyllum microphyllum and Lepisorus onoei. The area with the greatest diversity of epiphytes was nutmeg tree forests which have the largest number of 2.89 average species. Lemmaphyllum microphyllum had the greatest percent cover of the epiphytes whose importance was found to be the greatest. The factors involved were the epiphytes' diversity index (0.64), maximum species diversity (1.23), evenness (0.52), and dominance (0.48). The study has note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epiphytes according to altitudes above sea level. The Lemmaphyllum microphyllum can survive at an altitude of 600 m above sea level, Lepisorus thunbergianus at 200 - 1,400m above sea level, Lepisorus onoei. at 400 - 1,000 m, and Gonocormus minutus at an altitude above 800 m. The host trees, consisting of Quercus serrata,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and Carpinus laxiflora, stands at 2-19 m high and 2.5 - 120 cm wide, showing diverse kinds of trees and sizes. Jejudo's warm-temperate evergreen forests have lower epiphyte diversity compared with those of subtropical and tropical areas in Japan and China.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st trees order, epiphytes' distribution associated with the altitude above sea level was typical.

산지토사재해 발생구간 분석을 위한 항공사진 DTM에서의 수목필터링 (Tree Removal Filtering using Aerial Photographs DTM to Analyze Producing Section of Forest Soil Sediment Disaster)

  • 우충식;윤호중;정용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2-30
    • /
    • 2007
  • 항공사진을 이용해 산지토사재해 구간의 DTM(Digital Terrain Model)을 제작할 경우 수목이 재해구간을 가리는 경우가 많아 연속적이고 정밀한 DTM을 얻기가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해 보고자 디지털항공사진을 이용하여 moving window 형태의 필터링방법을 제시하였으며 DTM을 추출하였다. 또한 산지토사재해 구간에서 적정한 필터링의 window 크기에 따른 수목영향제거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상용 수치사진측량 S/W인 Socet set의 Adaptive 필터링한 DTM과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에서 획득한 DTM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LiDAR에서 획득한 DTM보다는 정확도가 낮았지만 Adaptive 필터링보다는 정확도가 약 6m 정도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Status, Utilization and Economic Valuation of Non-timber Forest Products of Arunachal Pradesh, India

  • Sharma, Dhruba;Tiwari, B.K.;Chaturvedi, S.S.;Diengdoh, Evamary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1권1호
    • /
    • pp.24-37
    • /
    • 2015
  • Non-timber forest products are important component of subsistence and livelihood of tribal communities living in and near forests. This is of particular significance in the state of Arunachal Pradesh having more than 80% of geographical area under forest cover and predominantly inhabited by tribal peopl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ocument the status and utilization pattern and to assess the economic value of NTFPs of the stat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in eight districts of Arunachal Pradesh viz., Changlang, East Kameng, Lower Subansiri, Tawang, Tirap, Upper Siang, West Kameng and West Siang covering 34 villages and 350 households. Altogether, 135 plant based and 36 animal based non-timber forest products were recorded. Among plant based NTFPs, 54 species were collected for leaves, 30 for stem and 22 for fruits. Most of the animal based NTFPs (93%) were collected/hunted for food. Average 20~40 kg of NTFPs was collected annually per household. Maximum plant based NTFP collection was recorded from West Siang followed by West Kameng and Tawang. Similarly, highest collection of animal based NTFPs was recorded from West Siang followed by Tirap and Lower Subansiri. NTFP contributed more than 50% of annual income of the people of East Kameng, Tirap, Lower Subansiri and Upper Siang districts. An illiterate and unemployed person with minimum agricultural land was more dependent on forests for his livelihood than a literate jobholder. The study concludes that a large section of people of Arunachal Pradesh are dependent on NTFPs for their livelihood however due to its unscientific harvesting, the availability of NTFPs is receding with time. There is an urgent need to promote cultivation and scientific harvesting of NTFPs in order to conserve the plant and animal diversity of this global biodiversity hotspot and for ensuring livelihood security of the people living in this area.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솔수염하늘소(Monochamus alternatus) 방제를 위한 휴대용 수피제거기 개발 및 산란 방지 효과 (Invention of the Portable Bark Remover for Control of Pine Wilt Disease by Disruption of Oviposition of Insect Vector (Monochamus alternatus))

  • 김준범;박영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2호
    • /
    • pp.300-304
    • /
    • 2013
  •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에 의해서 발생되는 소나무재선충병(Pine wilt disease)은 우리나라 소나무림에 피해를 주고 있다. 소나무재선충은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Monochamus alternatus Hope) 성충이 건전한 소나무의 신초를 갉아먹는 후식과 산란을 통해서 옮겨진다. 현재까지의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에는 metam-sodium SL(25%)약제를 사용하여 고사한 소나무를 훈증하는 것이 주된 방법이었으나 농약에 의한 환경오염이나 훈증을 위해 피복하는 비닐로 인해 산림경관을 해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휴대용 수피제거기(Portable Bark Remover)는 산림 사업용 엔진톱 끝부분에 장착되어, 소나무재선충병 감염 고사목 방제 현장에서 간단하고 빠르게 수피를 제거 함으로써 매개충의 산란과 부화 등의 서식처 제공이 차단되어 결국 온전한 생활사를 완성 할 수 없어 죽게 되도록 친환경적으로 개발되었다. 또한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방제를 위한 휴대용 수피제거기의 활용은 파쇄, 소각, 훈증 등의 기존의 방제 방법에 비하여 비용의 절감과 높은 방제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산불에 의한 토지피복변화가 토양유실에 미치는 영향분석 (Analysis of effect that land cover change get in Soil Loss by Forest fire)

  • 양인태;김재철;유영걸;오명진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53-358
    • /
    • 2003
  • Soil loss by the rains has effect on natural environment. But It is difficult to find out the data that is surveyed in watershed. In this paper, we chose USLE erosion model, which could be connected easily with GSIS and available generally, and extracted factors which is entered model by using GSIS spatial analysis method. Especially, As revised USLE model, It should be applied in watershed and as it calculated soil loss before forest fire and behind, it analysed the degree that it have an effect on soil loss. Each analyzed factors and the result of soil loss estimate consist of 22m-pixel size, we could identify soil loss by each pixel and distribution form.

  • PDF

고해상도 위성 화상(畵像)을 이용한 임반 임상정보 추출 (Extraction of Forest Cover Information over Compartments by Using Spaceborne High Resolution Imagery)

  • 김천;홍성후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28
    • /
    • 2007
  • 본 논문은 KOMPSAT-2호 및 3호의 화상활용 일환으로 임반 단위의 임상정보 추출에 관한 시범연구이다. QuickBird 화상을 통해 획득한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로 회색단계공발생 행렬(GLCM)에 기초한 질감(texture)매개변수 화상은 소나무림과 잣나무림의 임상판별을 가능하게 만든다. 단, 동령림 조건과 사면 방위에 무관한 상태의 추가연구가 요구된다. 둘째로 Matlab의 분수계(watershed)산법에 기초한 분할화상에서 소나물김과 잣나무림의 수관투명 면적 대소를 파악할 수 있다. 역시 동령림 조건하의 보충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로 형태배율과 진원도(roundness)에 기초한 소나무림과 잣나무림의 구별에서 진원도에서는 차이의 유의성이 없고, 형태배율에서는 수관둘레의 불규칙에 의해 유의성있게 구분된다. 본 연구의 임상정보 추출기법은 정밀임업의 정량정보 제공에 기여할 것이다.

  • PDF

Carbon Storage and Uptake by Street Trees in Seoul

  • Jo, Hyun-Kil;Kim, Jin-Young;Park, Hye-M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2호
    • /
    • pp.162-164
    • /
    • 2018
  • This study quantified the carbon storage and uptake by street trees in Seoul and explored suitable planting and management strategies. A systematic sampling model was used to select 50 plots to survey the structures of street trees. The average density and cover of street trees were approximately 5.8 trees/$100m^2$ and 12.1%, respectively. Trees with a dbh of less than 30 cm accounted for about 66.3% of the total number of trees surveyed. The total carbon storage and uptake by the street trees were approximately 103,641 t and 10,992 t/yr, respectively. The total carbon uptake equaled the amount of annual carbon emissions from driving of about 11,000 cars. Street tree planting and management strategies were proposed to enhance carbon uptake. They included multi-layered and multi-aged planting, securing ground and space for plant growth, and avoiding excessive tree pru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