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age rice

검색결과 360건 처리시간 0.027초

논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파종 후 벼 수확시기가 생육특성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arvest Time of Rice after Seeding of Italian ryegrass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Dry Matter Yield of IRG in Paddy Field)

  • 김기용;최기준;이상훈;황태영;이기원;지희정;박승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87-292
    • /
    • 2016
  •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14년까지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초지사료과 시험포장(충남 천안, 논)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를 벼 입모중 파종 후 벼 수확시기에 따른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생육특성 및 조사료 생산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국내육성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조생종 '코윈어리'를 9월 하순에 파종 후 10일 간격으로 3회에 나누어 벼를 수확해서 재배하였을 때, 벼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월동 전 분얼수, 월동 전 초장, 월동률 및 건물수량 모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을에 벼를 IRG 파종 10 후에 수확한 것에 비해 20일 후와 30일 후에 벼를 수확한 경우에 월동 전 분얼수는 평균 19 및 40% 감소하였다. 월동률은 평균 13 및 19% 감소하였으며, 건물수량은 평균 8 및 19% 감소하였다. 벼 입모중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파종 재배시험에서 출수기는 매년 다르게 나타났으며, 봄철 IRG 수확 시 초장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논에서 입모중 파종으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를 재배할 경우,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코윈어리' 품종은 파종 후 벼 수확시기를 가능한 빨리 하는 것이 조사료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볏짚.옥수수사일레지.목건초 급여시 농후사료 급여수준이 젖소의 반추생리 및 저작 형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centrate Level on Chewing Activities and Ruminal Characteristics in Daily Cows Fed Rice Straw , Corn Silage and Grass Hay)

  • 윤상기;기광석;김현섭;권응기;강우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07-214
    • /
    • 1995
  • 본 시험은 국내생산 주요 조사료인 볏짚, 옥수수사일레지, 목건초를 급여하면서 농후사료 수준을 조절하였을 때 반추생리 및 저작형태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농후사료 5개수준(0, 3, 6,9 12kg/일)에 젖소 15두를 공시하여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물섭취량은 볏짚, 옥수수사일레지, 목건초가 대사체중비 4.97, 5.47 그래고 5.60%를 섭취하였으며 농후사료 증가에 따른 조사료 건물섭취량 감소량은 볏짚 0.330, 옥수수사일레지 0.294 그리고 목건초는 0.461kg이었다. 2. 조사료의 조사료가 지수는 볏짚, 옥수수사일레지, 목건초가 각각 98.3, 93.7 그리고 87.1이였으며, 조사료가 지수(Y)와 농휴사료 증가수준간(X)에는 다음과 같은 상관이 성립되었다. $Y_1$(rice straw) = 99.4543 - 5.9759X + 0.0230$X^2$ $Y_2$(com silage) = 88.7601 - 2.9000X - 0.2111$X^2$ $Y_3$(grass hay) = 95.1515 - 6.3096X + 0.0873$X^2$ 3. 반추위액의 평균 pH는 볏짚급여시 가장 높았으며 반추위액의 pH(Y)와 농후사료 급여수준(X)과는 다음과 같은 상관이 성립되었다. $Y_1$ = 7.0920 - 0.0309X - 0.0023$X^2$ $Y_2$ = 6.5000 - 0.0516X + 0.0002$X^2$ $Y_3$= 6.7666 - 0.0072X - 0.0044$X^2$ 5. 반추위액의 휘발성 지방산 함량은 옥수수사일레지 급여시 가장 높았다.

  • PDF

수확시기별 예건시간에 따른 귀리의 수분함량과 사일리지 품질변화 (Effect of Pre-wilting Time on the Change of Moisture Content and Its Silage Quality at Different Harvest Stages of Whole Crop Oat)

  • 송태화;한옥규;윤성근;박태일;김경훈;김기종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5-142
    • /
    • 2010
  • 이 연구는 고품질 귀리 사일리지의 제조를 위한 수확시기별 적정 예건시간을 도출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은 국내 육성품종인 삼한귀리를 가을에 파종하고 이듬해 봄인 출수 후 20일 부터 10일 간격으로 3회에 걸쳐 수확하여 각 수확시기별로 0, 4, 8, 32시간동안 예건을 실시하였으며, 각 예건시간별 식물체의 수분변화와 사일리지 제조 후 품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귀리는 출수 후 20일 정도에 수확할 경우 4시간 정도 포장예건을 하고, 출수 후 30일 정도에 수확할 경우에는 사일리지 제조에 적합한 수분함량에 도달하여 예건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일리지도 수분함량이 약 55~65% 정도가 도달한 시기에 수확한 처리구나 그 수준에 도달하도록 예건한 처리구에서 전체적인 사료가치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일리지 품질 평가기준의 중요한 요인인 pH와 유기산은 수분변화에 따라 아주 큰 변이를 보였는데 55~65%의 수분조건에서 젖산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초산과 낙산 함량이 낮았다. 따라서 귀리는 출수 후 20일 경에 수확 시에는 4시간 정도 포장예건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이후에는 바로 수확하여 곤포로 제조하여도 양질의 사일리지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논에서 경작형태와 우분액비 시용이 사초생산성 및 환경오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ropping System and Application of Cattle Slurry on Forage Produc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n Paddy Land)

  • 최기춘;나상필;김원호;최기준;임영철;김명화;이상락;김다혜;육완방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09-316
    • /
    • 2012
  • 본 연구는 논에서 조사료 생산을 위한 총체벼와 총체 영양보리 이모작 그리고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과 총체 영양보리 이모작 재배시 우분액비 시용에 따른 총체 벼, 총체 영양보리,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산성, 사료가치, 토양성분 및 용탈수중의 무기물 농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2006년 5월부터 2009년 4월까지 3년 동안 전라북도 김제군 백산면 시험포장에서 완전임의배치 3반복으로 수행되었다. 총체 벼의 후작으로 재배된 총체 영양보리의 2년간 평균 수량은 7,515 kg/ha이며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후작으로 재배된 총체 영양보리의 2년간 평균 수량은 8,515 kg/ha으로 총체 영양보리의 수량은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 이모작으로 재배한 경우가 총체 벼 후작에 비해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과 총체 영양보리 이모작에서 총체 영양보리의 조단백질함량, NDF, ADF 및 TDN 함량은 총체 벼 후작물로 재배된 총체 영양보리와 함량 차이가 나지 않았다. 경작형태별 우분액비 시용에 따른 토양 내 pH, 전질소, 유기물 함량은 시험 전에 비해 시험 종료 후에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0.05). 그러나 인산함량은 시험전후에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경작형태별 우분액비 시용에 따른 토양 내 칼슘, 나트륨, 마그네슘 및 칼리 농도는 시험 전에 비해 시험 종료 후에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0.05). 경작형태별 우분액비 시용에 따른 용탈수 중 암모니아성 질소, 질산성 질소, 인산염인, 염소, 칼슘, 칼리, 마그네슘, 나트륨의 농도는 경작형태에 따른 확실한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국내 조사료용 볏짚의 수확 전 작물포 및 수확 후 저장에 따른 곰팡이독소 오염 실태 연구 (The Studies on Real Condition of Mycotoxin Contamination in the Fields before Harvest and by the Storage of Rice Straw using as Roughage in Korea)

  • 성하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1-29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 생산 볏짚의 곰팡이독소 오염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벼의 생육 단계별, 볏짚의 보관 형태별 및 곤포사일리지의 지역별 오염을 조사하였다. 수확하기 전 논에서 생장 중인 비에서 곰팡이독소 및 곰팡이 오염이 확인되었다. 벼의 생장 초기에는 deoxynivalenol($297{\mu}g/kg$) 이 발견되었고, 중기에는 ochratoxin A($1.8{\mu}g/kg$) 및 deoxynivalenol($264{\mu}g/kg$) 이 오염되어 있었다. 그리고 수확시기에는 deoxynivalenol($190{\mu}g/kg$) 및 zearalenone ($168{\mu}g/kg$) 이 오염되어 있었다. 그리고 곰팡이 오염은 생장 초기에는 $10^{3-4}$ cfu/g 그리고 생장 중기와 수확시기에는 $10^{4-5}$ cfu/g 이었다. 오염된 곰팡이로는 Fusarium sp., Fusarium proliferatum, Penicillium sp., Gibberella sp., Gibberella zeae, Mucor circinelloides, Aspergillus oryzae 등 다양한 종류가 발견되었다. 사료용 볏짚의 통 볏짚단, 사각 볏짚단 및 곤포사일지 등 저장 방법에 따른 오염원 mycotoxin을 조사하였을 때 zearalenone, deoxynivalenol 및 ochratoxins A가 검출되었다. 통 볏짚단의 곰팡이독소 오염도는 23% 이었고, 사각 볏짚단과 곤포사일지지는 각각 38%가 오염되어 있었다. 그리고 105점의 볏짚 곤포사일리지에서 곰팡이독소를 분석하였을 때 46%의 샘플에서 곰팡이독소가 발견되었고, 지역적으로는 경기, 강원, 충청, 영남 및 호남지역에서 각각 48, 33, 40, 50 및 57%의 샘플이 오염되어 있었다. 2가지의 곰팡이독소(zearalenone, deoxynivalenol)가 발견된 충청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의 볏짚 곤포사일리지에서 3가지의 곰팡이독소(zearalenone, deoxynivalenol, ochratoxins A)가 발견되었다. Ochratoxins A의 오염 수준은 전체적으로 $2.6{\mu}g/kg$으로 충청지역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호남지역은 $3.0{\mu}g/kg$으로 다른 지역보다 높았다. Deoxynivalenol의 오염 수준은 전체적으로 $413{\mu}g/kg$으로 충청지역이 $800{\mu}g/kg$로 가장 높았고, 다른 지역은 $246{\mu}g/kg$에서 $433{\mu}g/kg$의 수준으로 발견되었다. 그리고 zearalenone은 전체적으로 $338{\mu}g/kg$으로 경기지역이 $168{\mu}g/kg$로 다른 지역보다 낮았고, 강원과 호남지역이 각각 $467{\mu}g/kg$$442{\mu}g/kg$으로 높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볏짚은 수확하기 전 벼의 생장 기간에도 곰팡이독소 및 곰팡이 오염에 노출되어 있으며, 볏짚의 보관 형태 및 지역에 상관없이 곰팡이독소의 오염이 발생할 수 있음을 명확히 시사한다. 따라서 안전하고 질 좋은 조사료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들 곰팡이독소 관련 더 구체적 연구와 대책관련 탐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중서부 평야지에서 재배조건에 따른 청보리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건물생산성 및 사료가치 변화 (Changes of Dry Matter Productivity and Feed Value of Forage Barley and Italian Ryegrass According to Cultivation Conditions in Mid-west Plain of Korea)

  • 서종호;권영업;조가옥;한옥규;구자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84-90
    • /
    • 2018
  • 본 연구는 중서부 평야의 천안과 안성의 논과 밭에서 이탈리안라이그라스 및 청보리를 동계에 안정적으로 재배할 수 있는지를 알기 위해 각각 앞작물, 배수조건 및 토양관리 등 재배조건이 다른 상태에서 이루어졌는데 논에서는 IRG를 기본으로 하여 IRG 단파와 IRG+청보리 혼파를, 밭에서는 청보리를 기본으로 하여 청보리 단파, 청보리+IRG 혼파 처리를 두어 재배 안정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논에서는 안성의 입모중 파종(IRG 단파)에서 월동률이 감소하였고 벼 수확 후 경운 등 토양 관리를 추가하고 파종한 곳(IRG+청보리 혼파)은 파종기가 늦었지만 월동률이 증가하였다. 천안 논에서는 파종지연, 배수불량에 의해 월동 및 생육이 나빴는데, 특히 배수불량에 따라 IRG+청보리 혼파의 청보리 생육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배수상태가 좋았던 안성(고삼)의 IRG+청보리 혼파가 IRG의 생육 증대에 따라 $7.75MT\;ha^{-1}$로 논에서 건물수량이 가장 높았다. 청보리 위주의 밭에서는 파종이 빨랐던(10월 1일) 천안(성남)에서 IRG의 월동률 및 생육이 우수하였으나 파종이 늦었던(10월 15일) 안성(미양)은 IRG의 월동률 및 생육량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밭의 사료 건물수량은 논에 비해 높았는데 $10MT\;ha^{-1}$ 내외의 수량성을 얻었다. 파종이 빨랐던 천안은 혼파 재배 시 IRG의 건물 증가에 의해 수량이 증가하였고 파종이 늦었던 안성은 혼파시 IRG 건물중은 $0.52MT\;ha^{-1}$로 건물수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현저히 낮았다. 생산된 사료맥류의 조단백 함량, NDF, ADF 등 사료가치가 우수하였는데, 대체적으로 IRG 단파 시 조단백 함량이 높았으며 IRG와 청보리를 혼파했을 때 청보리에 의해 상대사료가 치 및 TDN 함량이 증대하였다. IRG와 청보리의 혼파에 의한 사료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논에서는 배수관리에 의해, 밭에서는 조기파종에 의해 IRG의 건물수량 및 전체건물에서 IRG 건물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사료가치의 증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벼 줄무의잎마름병 바이러스의 기주범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Host Range of Rice Stripe Virus)

  • 정봉조;이순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85-89
    • /
    • 1971
  • 1. 벼줄무늬 잎마름병에 의한 기주범위를 알기위하여 화곡류 사료작물, 잡초등을 대상으로 온실에서 보독충을 접종한 결과 30종의 공시식물중 9종이 발병되지 않았으며 나머지 21종은 발병되었다. 2. 발병된 식물중 화본과에 속하지 않으나 논과 들에 자생하고 있는 방동사니대가리와 넓은 잎개수염 방동사니 등은 새로운 기주이다. 특히 방동사니대가리는 습기있는 포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서 발병율이 높았다. 3. 각종작물에 있어서 애멸구의 서식충수는 대체로 24시간후보다 48시간후에 적은 편이었다.

  • PDF

EFFECT OF ALKALINE HYDROGEN PEROXIDE TREATMENT OF RICE STRAW ON IN SACCO RUMINAL DIGESTIBILITY

  • Myung, K.H.;Kennelly, J.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권1호
    • /
    • pp.1-6
    • /
    • 1990
  • The objective of this experiment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pH-regulated alkaline hydrogen peroxide (AHP) treatment of rice straw with those of sodium hydroxide (NaOH) and anhydrous ammonia ($NH_3$) treatments on in sacco digestivility. Three non-lactating ruminally cannulated Holstein cows were fed a diet containing 90% forage and 10% concentrate on a dry matter (DM) basis. The AHP treatment significantly (p<0.05) reduced acid detergent lignin content of the straw, resulting in significant (p<0.05) increase o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cellulose concentrations. Disappearance rates of DM and NDF of the straw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at the incubation time of 24 h. On the other hand, those of ADF and cellulose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at the incubation time of 12 h than those of the others. The effective degradability of DM(EDDM), NDF(EDNDF), ADF(EDADF) and cellulose (EDCE) were determined using in sacco nylon bag technique on the basis of 0.05/h solid outflow rate. The greater differences (p<0.05) of EDDM, EDNDF, EDADF and EDCE were found between AHP treated straw and the others. In general, AHP treatment of the straw recorded higher digestion coefficients than untreated straw as well as NaOH and $NH_3$ treated straw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AHP treatment can be used as a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the nutritive value of rice straw for ruminants.

Effect of Variety and Stage of Maturity on Nutritive Value of Whole Crop Rice Silage for Ruminants: In situ Dry Matter and Nitrogen Degradability and Estimation of Metabolizable Energy and Metabolizable Protein

  • Islam, M.R.;Ishida, M.;Ando, S.;Nishida, T.;Yoshida, N.;Arakawa,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11호
    • /
    • pp.1541-1552
    • /
    • 2004
  • The effect of eight varieties of whole crop rice silage (WCRS) harvested at four stages of maturity were investigated for in situ DM and N degradability, ME and MP yield and content in an 8${\times}$4 factorial experiment. The varieties were Akichikara, Fukuhibiki, Habataki, Hamasari, Hokuriku 168, Kusanami, Tamakei 96 and Yumetoiro. Hamasari and Kusanami were forage varieties while all others were grain varieties. Forages were harvested on 10, 22, 34 and 45 days after flowering, ensiled and kept in airtight condition. Between 45 and 49 days after ensiling, silages opened, chopped and milled green to pass through 4 mm screen. Samples were incubated in the rumen of two Holstein steers for 0, 3, 6, 9, 12, 24, 48, 72 and 96 h over eight 4 d periods. Bags at 0 h were washed in a washing machine. Variety affected DM (p<0.001: except 'a+b', p<0.01) and N (p<0.001) degradability characteristics of WCRS. Stages of maturity also affected DM (p<0.001: except 'a+b', p<0.05; 'c', p<0.08) and N (p<0.01: except 'c', p<0.05) degradability characteristics of WCRS. Interactions between variety and stages of maturity occurred in all DM (p<0.001) and N (p<0.001) degradability characteristics except (p>0.05) for DM 'b', DM 'c', DM 'a+b' nd N 'c'. Effective DM degradability was higher in grain varieties than forage varieties and degradability increased with maturity. N availability decreased only slightly with maturity. Variety was the key factor for N degradability characteristics of WCRS since variety accounted for most of the total variation for degradability characteristics. Both ME and MP content and yield were higher (p<0.001) in grain varieties, and they increased (p<0.001) with the maturity. The results clearly demonstrated that the grain type varieties contained higher ME and MP content than forage varieties, and increase in maturity increases both ME and MP content of WCRS.

프로테옴 분석법에 의한 벼 줄기에서 발현하는 고온 스트레스 관련 단백질 및 저분자량 Heat Shock Protein의 분리 동정 (Identification of Heat Stress-related Proteins and Low Molecular Weight HSP Expressed in Stem Tissues of Rice Plants by Proteomic Analysis)

  • 이동기;김경희;김용구;이기원;이상훈;이병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9-106
    • /
    • 2011
  • 프로테오믹스 기법을 이용하여 벼 고온 스트레스 관련 단백질을 분리 동정하기 위하여 $42^{\circ}C$에서 고온처리한 벼의 줄기로부터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단백질로부터 Rubisco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해 15% PEG fractionation을 실시한 후 상등액 분획의 단백질을 이차원전기 영동한 후, CBB 염색을 통해 차별적 발현을 보이는 단백질을 분석하였다. 총 46개의 단백질 spot이 발현양에 변화를 보였으며, 그 중 24개의 단백질이 고온 스트레스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었으며, 22개의 단백질이 감소하는 발현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들 단백질을 MALDI-TOF MS와 database를 통해 동정한 결과 에너지 대사관련 단백질, 산화 환원 관련 단백질 및 저분자량 small HSP 등, 10개의 단백질이 동정되었다. 이들 동정된 단백질들은 식물의 고온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기작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이며, 특히 미토콘드리아 small HSP는 프로테옴 분석법에 의해 최초로 동정되었으며, 금후 내하고성 목초 분자육종에 활용될 수 있는 좋은 유전자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