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drug interactions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4초

국내 한약-양약 상호작용 연구논문 분석을 통한 상호작용 정보 현황파악 및 제공방안에 대한 연구 (Current Status of Herb-Drug Interac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Database in Korea)

  • 박수진;권영규;신재국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43-552
    • /
    • 2010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herb-drug interaction (HDI) information and information database in Korea and suggest the better way to establish useful HDI database. We collected HDI studies that published in Korea and analyzed according to objective, methods, selection criteria of herbs, number of study, correlation between study subject and frequently used herbal medicine (HM). Then we selected representative HM database on the internet made by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among the several databases and analyzed its contents related to HDI. Several HDI studies were carried out from laboratory based research to clinical trials and HM databases have been developed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different aspect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But the information of HDI and information database are still far from practical applications because there are no coherence to select study subjects and methods among researchers. So, it is necessary to build up HDI database led by the government for providing systematic HDI information. HDI information database is expected to be able to provide useful evidence for health professionals in prescription and consultation to reduce the chance of adverse effects and improve the quality of medical care.

Sugammadex-induced bronchospasm: a case report

  • Saeyoung Kim;Hyojun Choo;Hoon Jung;Ji Hyun Kim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3권5호
    • /
    • pp.287-291
    • /
    • 2023
  • Sugammadex has shown faster reversal of steroidal neuromuscular blockade (NMB) than neostigmine, a traditional reversal agent for NMB, even in the intense block phase. This efficiency is possible because of the unique mechanism of action by encapsulating the NMB molecules. Therefore, with the use of sugammadex, we can also expect to avoid direct interactions with the cholinergic system and its subsequent side effects, which are disadvantages of traditional drugs. However, despite these benefits and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approval in 2015, rare adverse events associated with sugammadex have been reported. Herein, we report a case of bronchospasm that developed immediately after sugammadex administration.

Biological Activity and Inhibition of Non-Enzymatic Glycation by Methanolic Extract of Rosa davurica Pall. Roots

  • Hu, Weicheng;Han, Woong;Jiang, Yunyao;Wang, Myeong-Hyeon;Lee, Young-Me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6권3호
    • /
    • pp.242-247
    • /
    • 2011
  • The methanolic extract of Rosa davurica Pall. roots exhibited strong antioxidant activity in a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and was found to be a dose-dependent inhibitor of non-enzymatic formation of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which are relevant to diabetes complications. HPLC-diode array detector (DAD) analysis of the R. davurica Pall. root extract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four compounds: hydrocaffeic acid, catechin, epicatechin, and ellagic acid. Catechin was present in the largest amount and exhibited high antiglycation activity. A CYP3A4 assay was used to investigate potential interactions between drugs and the extract, and results suggest that the R. davurica Pall. root extract had moderate potential for interfering with drug metabolism. The R. davurica Pall. extract did not display anti-inflammatory activity on the level of that for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 a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macrophage assay; however, the extract did exhibit low to moderate immunostimulatory activity in a pro-inflammatory macrophage assay. Therefore, we conclude that R. davurica Pall. root is a promising anti-AGE agent with low to moderate risks of associated inflammation or drug interaction.

Effects of feed intake and water hardness on fluralaner pharmacokinetics in layer chickens

  • Sari, Ataman Bilge;Gunes, Yigit;Anlas, Ceren;Alkan, Fulya Ustun;Guncum, Enes;Ustuner, Oya;Bakirel, Tulay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3권5호
    • /
    • pp.64.1-64.9
    • /
    • 2022
  • Background: Fluralaner is a novel drug belonging to the isoxazoline class that acts on external parasites of domestic animals. It is used systemically via drinking water, especially against red poultry mite in layer chickens. Fluralaner is frequently used in layers infected with D. gallinae. However, no study to date ha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eed intake and water hardness.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able water hardness and feed intake on the pharmacokinetic profile of fluralaner. Methods: Layer chicken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n = 8): fed + purified water (Group 1), feed restricted + purified water (Group 2), feed restricted + hard water (Group 3), and feed restricted + soft water (Group 4). After administering a single dose of the drug with drinking water, the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or 21 days. Fluralaner concentrations in plasma samples were determined by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The maximum plasma concentration (Cmax), time to reach maximum plasma concentration (tmax), area under the concentration-time curve values (AUC0-21d), half-life (t1/2), and other pharmacokinetic parameters were calculated. Results: Although the highest maximum plasma concentration (Cmax) was determined in Group 1 (fed + purified wat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Cmax, tmax, t1/2, MRT0-inf_obs, Vz/Fobs, and Cl/F_obs parameter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Conclusions: It was concluded that the feed intake or water hardness did not change the pharmacokinetic profile of fluralaner in layer chickens. Therefore, fluralaner could be used before or after feeding with the varying water hardness in poultry industry.

식이 폴리페놀 성분 resveratrol과 일반의약품의 복합처리에 의한 간 및 장관계 세포독성 평가 (Evaluation of the Cytotoxic Effects of Resveratrol Treatment with Over-the-counter Drugs on the Hepatic and Intestinal Cells)

  • 김다람;김미리;홍정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17-22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널리 섭취되는 식이 폴리페놀 화합물인 resveratrol과 일반의약품 성분 AAP, Asp 및 Ibu와의 혼용 시 일어날 수 있는 상호작용에 의한 세포독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Resveratrol은 장관계 HCT 116 세포와 간 HepG2 세포에 농도의존적인 세포활성 감소를 초래하였고 각각 113.8 및 $135.7\;{\mu}M$$IC_{50}$ 수치를 보였다. 농도별 resveratrol과 AAP, Asp 또는 Ibu를 각 세포에 24시간 복합투여하였을 때 일부 유의적인 resvertrol 독성의 감소나 증가가 나타났지만 전체적으로 10% 이내의 미미한 변화를 보였다. AAP, Asp 및 Ibu의 고농도 처리시 발생하는 세포독성에 대한 resveratrol의 효과를 HepG2 세포와 IEC-6 정상장관계 세포에서 비교하였을 때 현저한 약물 독성의 변화 또한 관찰되지 않았다. HepG2 세포에 저농도의 resveratrol을 48, 72시간 처리하였을 때 유의적인 세포증식 촉진효과가 나타났으나, AAP와 복합투여시 그 효과는 소멸되었다. 한편 일반의약품 성분과 resveratrol을 각각 순서를 달리하여 전후로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에도 현저한 독성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Resveratrol과 빈번히 복용되는 일반의약품 AAP, Asp, Ibu를 여러 조합에 의해 복합처리하여 세포독성을 평가한 결과, 이들의 상호작용에 의한 두드러진 독성발현 및 활성변화는 발견되지 않았다.

카페인과 일반의약품의 복합처리에 의한 장관계 세포 독성 평가 (Evaluation of Cytotoxic Properties of Caffeine Treated with Over-the-counter Drugs in the Intestinal Cells)

  • 최현아;김미리;박경아;홍정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56-361
    • /
    • 2012
  • 다양한 식품 중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생리활성 성분 카페인과 일반의약품 성분 AAP, Asp 및 Ibu와의 혼용 시 상호작용에 의한 세포 독성 변화를 장관계 세포모델에서 조사하였다. 카페인은 정상 장관계 세포 INT 407 및 대장암 세포 HCT 116에 농도의존적인 독성을 나타내었고, $IC_{50}$ 수치는 각각 1.91과 2.45 mM로써 정상세포에 유의적으로 높은 독성을 나타내었다. 카페인과 각각의 약물을 세포에 24시간 동시 처리한 결과 전체적으로 현저한 독성의 변화현상은 발생하지 않았으나, 약물처리 시를 기준으로 한 카페인의 상대적 독성 및 카페인 처리 시를 기준으로 한 약물의 독성이 INT 407 세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동시 처리 시 약물에 의해 감소된 GSH를 비롯한 thiol성 물질의 세포 내 수준이 카페인 존재 시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한편 카페인과 약물을 각각 순서를 달리하여 전후로 처리하였을 때, 특히 HCT 116 세포에서의 약물의 상대적인 독성이 강화되는 현상을 보였다. 일반의약품 AAP, Asp 및 Ibu과 카페인을 다양한 조합에 의해 장관계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일부 상대적인 독성의 강화 또는 약화 현상이 나타났으나 전체적으로 두드러진 독성발현 빛 활성변화는 발견되지 않았다.

영양 대사체학 (Nutritional Metabolomics)

  • 홍영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79-186
    • /
    • 2014
  • 대사체학이 질병, 약물, 스트레스, 식이, 생활습관, 유전적 차이, 장내 미생물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대사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관련 바이오 마커 발굴에 중요한 역할이 증명됨에 따라, 식품 영양학과 대사체학이 융합된 영양 대사체학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잘못된 식생활에 따른 미래의 질병 예측이 가능해지고 있어 향후 적절한 질병 예방이나 치료를 위한 적절한 식생활이나 식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건강 증진은 물론 개인별 맞춤식이나 맞춤약물 처방을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personalized health care) 시대가 멀지 않았다. 또한 복잡한 식생활 패턴, 대사 반응에 대한 개인 간 차이 그리고 방대한 대사체 데이터와의 관계들을 효과적으로 밝혀낼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개발과 영양 대사체학(nutritional metabolomics)이 유전체학(genomics or transcriptomics)과 단백체학(proteomics) 기술과 융합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질 때 질병과 식사 섭취 사이의 관계가 더욱 투명하게 규명될 것이다.

건강기능식품 안전관리 연구방향 (Research Direction for Functional Foods Safety)

  • 정기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10-417
    • /
    • 2010
  • 건강효과나 보건효과를 표방한 다양한 건강기능식품이 시장에 유통되고 있다 이들 제품은 분명한 식품형태의 것으로부터 정체, 캡슐 상 까지여서 의약품과 오인 혼동될 우려가 높으며 전문적 지식이 없는 사람이 통상의 식품으로서 판매하고 있는 일이 많고 건강기능식품용 질병의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건강기능식품제도의 창설이나 법적 규제에 의해 혼란스런 건강기능식품의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 왔지만 아직 소비자에게는 제대로 전달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건강기능식품이 질병의 치료에 이용되는 문제나 위법으로 의약품성분을 첨가한 제품이 유통되는 문제는 끊이지 않고 있고 이러한 문제는 인터넷 등의 정보 전달수단의 발달에 따라 더욱 확대되고 있다. 건강기능식품의 문제는 제품자체의 문제와 이용방법의 문제로 크게 나눌 수 있지만 어느 쪽이나 적절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전달해서 그 실태가 틀림없이 인식되어야만 어느 정도 개선 헬 수 있다고 생각된다. 건강가능식품과 관련되어 야기 될 수 있는 문제들은 위법제품, 유해물질 혼입, 알레르기 병자에 대한 투여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 의약품과의 상호작용, 성분표시가 있어도 그 순도와 함량이 극히 애매해 검출되지 않을 수도 있는 문제, 대사활성화가 일어나는 제품, Alkaloid가 함유된 경우 및 비타민 미네랄의 과잉섭취와 부족에 의한 건강피해 리스크 등 많은 경우가 있다. 건강기능식품과 관련한 부작용 사례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불량 건강기능식품 업체가 그 효과와 효능을 과장해서 선전하는 것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실제로 허위 과대 광고로 인해 적발된 사례가 연평균 821건에 달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홈페이지를 통해 건강기능식품 문제의 개선과 홍보를 위해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건강기능 식품의 적정사용과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간 상호작용을 피하기 위해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건강기능식품문제의 개선을 위해서는 승인된 제품에 대한 정보 부작용 수집의 제도화 및 재평가 제도의 정착, 인체적용 전 시험과 인체적용 시험조건에 대한 표준화가 시급하다. 또한 적절한 정보제공 활동을 위해서는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등 이종 데이터간의 유기적 연동을 위한 통합 DB시스템 및 사용자가 데이터를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요망된다.

Oral and Human Microbiome Research

  • Chung, Sung-Kyun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77-85
    • /
    • 2019
  • In the past gut microbiome has been the main focus of microbiome research. Studies about the microbiome inside oral cavities and other organs are underway. Studi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noninfectious diseases and periodontal diseases, and the negative effects of harmful oral microbes on systemic health have been published in the recent past. A lot of attention is being paid towards fostering a healthy oral microbial ecosystem.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roles and effects of the microbiome inside the human body can potentially help cure various diseases includ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s with no known cure such as Crohn's disease, atopic dermatitis, obesity, cancer, diabetes, brain diseases and oral disease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echnological trends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uman microbiome and diseases in the human body, interactions between the human body's immunity, the metabolic system, and the microbiome, and research trends in other countries. While it has been proven that human microbiome is closely correlated with human diseases, most studies are still in the early stage of trying to compare the composition of microbiomes between health and patient groups. Since the oral environment is a dynamic environment that changes due to not only food intake but also other external factors such as lifestyle, hygiene, and drug intake, it is necessary to continue in-depth research on the microbiome composition characteristics to understand the complex functions of oral microorganisms. Analyzing the oral microbiome using computational technology may aid in disease diagnosis and prevention.

대사체학의 연구 동향, 응용 및 국내 연구 활성화 방안 (Research trends, applications, and domestic research promotion stratigies of metabolomics)

  • 김소현;양승옥;김경헌;김영석;유광현;윤영란;이동호;이충환;황금숙;정면우;최기환;최형균
    • KSBB Journal
    • /
    • 제24권2호
    • /
    • pp.113-121
    • /
    • 2009
  • 대사체학은 동 식물, 미생물뿐만 아니라 식품, 농업, 의약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으며, 최근 미래를 선도할 학문으로서 주목 받고 있는 분야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대사체학 연구는 아직 기초적 단계이며, 대사체학에 대한 인식도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사체 연구 방법에 대해서 간단히 소개하였고, 국내 외 대사체학 연구현황, 대사체 연구의 필요성과 활용방안, 대사체 연구 수행 활성화를 위한 전략들을 소개하였다. 대사체학은 활용 범위가 매우 넓은 것이 특징인데, 예를 들어 functional genomics, 생물의 계통 분류, 생물의 대사경로 규명, 생물을 이용한 유용물질 생산, 신약 및 신소재 개발, biomarker의 개발, 식품 및 천연물 제제의 품질관리, 그리고 환경 및 독성 모니터링 등에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대사체학 연구는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므로 국내 대사체 연구의 발전을 위해서는 연구 주체간의 협력, 해외 선진 기술 습득, 연구 개발 투자, 대사체 분석 전문가 육성, metabolome database 구축 등이 필요하다. 대사체학 연구에 대한 이러한 지원이 이뤄진다면, 대사체학 분야에 있어서 국내수준과 세계수준의 격차는 줄어들 것이다. 또한 결과적으로 대사체학 연구의 발전은 한국 생명공학 분야 (BT)의 발전에도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