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Direction for Functional Foods Safety

건강기능식품 안전관리 연구방향

  • Received : 2010.11.29
  • Accepted : 2010.12.18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Various functional foods, marketing health and functional effects, have been distributed in the market. These products, being in forms of foods, tablets, and capsules, are likely to be mistaken as drugs. In addition, non-experts may sell these as foods, or use these for therapy. Efforts for creating health food regulations or building regulatory system for improving the current status of functional foods have been made, but these have not been communicated to consumers yet. As a result, problems of circulating functional foods for therapy or adding illegal medical to such products have persisted, which has become worse by internet media. The cause of this problem can be categorized into (1) product itself and (2) its use, but in either case, one possible cause is lack of communications with consumers. Potential problems that can be caused by functional foods include illegal substances, hazardous substances, allergic reactions, considerations when administered to patients, drug interactions, ingredients with purity or concentrations too low to be detected, products with metabolic activations, health risks from over- or under-dose of vitamin and minerals, and products with alkaloids. (Journal of Health Science, 56, Supplement (2010)). The reason why side effects related to functional foods have been increasing is that under-qualified functional food companies are exaggerating the functionality for marketing purposes. KFDA has been informing consumers, through its web pages, to address the above mentioned issues related to functional foods, but there still is room for improvement, to promote proper use of functional foods and avoid drug interactions. Specifically, to address these issues, institutionalizing to collect information on approved products and their side effects, settling reevaluation systems, and standardizing preclinical tests and clinical tests are becoming urgent. Also to provide crucial information, unified database systems, seamlessly aggregating heterogeneous data in different domains, with user interfaces enabling effective one-stop search, are crucial.

건강효과나 보건효과를 표방한 다양한 건강기능식품이 시장에 유통되고 있다 이들 제품은 분명한 식품형태의 것으로부터 정체, 캡슐 상 까지여서 의약품과 오인 혼동될 우려가 높으며 전문적 지식이 없는 사람이 통상의 식품으로서 판매하고 있는 일이 많고 건강기능식품용 질병의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건강기능식품제도의 창설이나 법적 규제에 의해 혼란스런 건강기능식품의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 왔지만 아직 소비자에게는 제대로 전달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건강기능식품이 질병의 치료에 이용되는 문제나 위법으로 의약품성분을 첨가한 제품이 유통되는 문제는 끊이지 않고 있고 이러한 문제는 인터넷 등의 정보 전달수단의 발달에 따라 더욱 확대되고 있다. 건강기능식품의 문제는 제품자체의 문제와 이용방법의 문제로 크게 나눌 수 있지만 어느 쪽이나 적절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전달해서 그 실태가 틀림없이 인식되어야만 어느 정도 개선 헬 수 있다고 생각된다. 건강가능식품과 관련되어 야기 될 수 있는 문제들은 위법제품, 유해물질 혼입, 알레르기 병자에 대한 투여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 의약품과의 상호작용, 성분표시가 있어도 그 순도와 함량이 극히 애매해 검출되지 않을 수도 있는 문제, 대사활성화가 일어나는 제품, Alkaloid가 함유된 경우 및 비타민 미네랄의 과잉섭취와 부족에 의한 건강피해 리스크 등 많은 경우가 있다. 건강기능식품과 관련한 부작용 사례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불량 건강기능식품 업체가 그 효과와 효능을 과장해서 선전하는 것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실제로 허위 과대 광고로 인해 적발된 사례가 연평균 821건에 달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홈페이지를 통해 건강기능식품 문제의 개선과 홍보를 위해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건강기능 식품의 적정사용과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간 상호작용을 피하기 위해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건강기능식품문제의 개선을 위해서는 승인된 제품에 대한 정보 부작용 수집의 제도화 및 재평가 제도의 정착, 인체적용 전 시험과 인체적용 시험조건에 대한 표준화가 시급하다. 또한 적절한 정보제공 활동을 위해서는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등 이종 데이터간의 유기적 연동을 위한 통합 DB시스템 및 사용자가 데이터를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요망된다.

Keywords

References

  1. 佐藤健次 등, 건강식품의 기초지식, 지호, 129-139 (2005).
  2. 日本藥學會, Journal of Health Science, 56, 87-89, Supplement (2010).
  3. 吉川敏一, Supplement Databook, Ohmsha Bio Science Books, 410-427 (2005).
  4. 식품의약품 안전청, Available from: http://hfood.kfda,go.kr.
  5. 일본후생노동성 Available from: http://hfnet.nig.go.jp.
  6. 식품저널 인터넷식품신문 http://www.foodnews.co.kr/ 10.8 (2010).
  7. Sobijareport/November/25-27 (2010).
  8. 內藤裕史, 건강식품 중독백과, 丸善, 291-314 (2007).
  9. Huang WF et al. Adulteration by Synthetic therapeutic substance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s in Taiwan. J clin pharmacol, 37, 344-350 (1997). https://doi.org/10.1002/j.1552-4604.1997.tb04312.x
  10. 식품저널 인터넷식품신문 http://www.foodnews.co.kr/10.19 (2010).
  11. 식품저널 인터넷식품신문 http://www.foodnews.co.kr/9.13 (2010).
  12. http://www.chosun.com 11.19 (2010).
  13. 식품저널 인터넷식품신문 http://www.foodnews.co.kr/10.7 (2010).
  14. 식품저널 인터넷식품신문 http://www.foodnews.co.kr/10.26 (2010).
  15. 식품저널 인터넷식품신문 http://www.foodnews.co.kr/9.27 (2010).
  16. 식품저널 인터넷식품신문 http://www.foodnews.co.kr/9.10 (2010).
  17. 식품저널 인터넷식품신문 http://www.foodnews.co.kr/8.26 (2010).
  18. 식품저널 인터넷식품신문 http://www.foodnews.co.kr/11.9 (2010).
  19. 情報Center出版局, 食品.化粧品 危險 Check, 萩原印刷 6-27 (2008).
  20. 최성희, 식품첨가물 섭취량에 따른 안전성평가. 한국보건 산업진흥원 (2007).
  21. 최찬웅, 박형수, 이효민. 독성자료를 활용한 식품첨가물의 ADI평가, Food Science and industry 42, 3 (2009).
  22.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첨가물데이터베이스 Available from:http://fa.kfda.go.kr/Accessed November. 15. (2009).
  23. JECFA. Project to update principles and methods for the risk assessment of chemical in food.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2008).
  24. World health organization. Guidelines for the preparation of toxicological working papers for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Geneva (2000).
  25. World health organizat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Food standards programme Codex committee on food additives, agenda item 4, 21-25 (2008).
  26. Daine B. The acceptable daily intake-a tool for ensuring food safety. ILSI Europe (2000).
  27. World health organization. Principles for the safety assessment of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in food, 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No 70 (1987).
  28. 정기화, 이효민 식품위해요소의 Risk Profile, Duksung Bull. Pharm. Sci. 17, 3-12 (2006).
  29. 정기화, 김미정, 최은아, 박영롱, 이효민 착향료에 대한 WHO/JECFA의 안전성평가, Duksung Bull. Pharm. Sci. 18, 3-13 (2007).
  30. 이효민, 정기화 유해물질의 식품기준 설정시 위해평가, J. Fd. Hyg. Safety, 23, 1, 80-84 (2008).
  31. 이효민, 정기화 어린이 건강관련 유해물질 연구방향, J. Fd. Hyg. Safety, 23, 3, 276-283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