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group intakes

검색결과 905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인의 모델식이에 대한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의 인체노출량평가 (Exposure Assessment for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the Model Menu System of Korean)

  • 김윤희;윤은경;이효민;박경아;전은아;이철호;최상윤;임승택;제금련;최광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76-184
    • /
    • 2004
  • PAHs 화합물은 유기탄소화합물의 불완전연소에 의해 주로 발생하는데, 일반인들은 대기오염에 의한 호흡노출과 가열조리식품의 경구섭취가 주요 인체노출경로로 알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AHs 화합물에 오염된 식품이 식생활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우리나라 대표식품을 참고로 가정식과 외식의 식단을 작성하고 작성한 식단을 근거로 식품 중 PAHs 화합물 오염도를 분석하여, 분석된 PAHs 화합물의 오염도 자료를 활용한 가정식과 외식 1끼 식사를 기준으로 인체노출량을 비교하고, 성인 하루 가정식 2회, 외식 1회 섭취시의 1일인체노출량을 평가하였다. 다빈도${\cdot}$다소비식품에서 PAHs 화합물 오염도를 분석한 결과 총 PAHs 농도는 $2.00\~141.28\;ug/kg$의 범위로 검출되었으며, 멸치볶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상대독성계수(TEFS)를 활용하여 환산한 독성등가량은 $0.03\~1.31\;ugTEQ_{BaP}/kg$ 범위였고, 가장 높은 값을 가진 식품은 햄버거이었다. 식품별 오염도와 노출변수들을 고려하여 산출한 끼니별 가정식과 외식에서의 PAHs 화합물 평균인체노출량은 각각 $2.4\times10^{-3}\;ugTEQ_{BaP}kg/meal$$4.0\times10^{-3}\;ugTEQ_{BaP}/kg/meal$으로 외식이 가정식보다 PAHs화합물의 인체노출이 1.7배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햄버거, 숯불쇠고기구이, 숯불삼겹살구이, 고등어구이 등은 PAHs화합물 오염도와 독성등가량 및 1회분식품섭취량이 모두 높아 PAHs화합물의 주요 노출기여식품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정식에서 미역국이 $1.8\times10^{-3}\;ugTEQ_{BaP}/kg/meal$으로, 외식에서는 햄버거가$3.0\times10^{-3}\;ugTEQ_{BaP}/kg/meal$으로 기여도가 가장 높았다. 하루 3회 식사를 고려한 1일 PAHs화합물인체노출량수준은 $8.0\times10^{-3}\~9.7\times10^{-3}\;ug/kg/day$이었다. 본 연구 결과가 PAHs 화합물의 안전성평가와 기준규격설정의 필요성 및 식품 안전관리를 위한 규제를 제정하는 기초 자료가 되길 바라며, PAHs 화합물의 고노출상황을 줄일 수 있는 개개인의 계획된 식단 작성시,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농촌지역 노인의 영양소 적정섭취 수준과 건강관련 삶의 질 (Quality of Nutrient Adequac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Rural Elderly)

  • 이미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423-432
    • /
    • 2015
  • Objectives: In Korea, the percentage of elderly is increasing at an unprecedented rate, and is expected to account for 40% of the population by 2060. This massive demographic change stresses the importance of research on aging a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QoL) of this populatio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of the rural elderly and to clarify its association with the nutrient adequacy ratio (NAR).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in S-gun, Chonbuk, a critical agricultural area. The elderly people without abnormal physical functioning composed our study population and the data were collected by personal visits to 336 elderly people aged over 65 years (110 males and 226 females). Subjects were interviewed with questionnaires pertain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EuroQol (EQ-5D). Nutrient intakes were assessed two days by 24-hours recall method. Subjects were defined as high QOL group if EQ-5D index with Nam's model was above the median. Results: Generally, EQ-5D index was lower in women than in man, and lower in older subjects than in younger subjects. The percentages of people below the median were 42% (low QoL group) and 58% (high QoL group) were found to be the above the median. The high QoL group had higher NAR, especially for vitamin C, vitamin B1, vitamin B2 and folate. All dimensions in the EQ-5D were affected by NAR of some nutrients and especially anxiety/depression dimens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NAR of 5 nutrients (protein, calcium, iron, vitamin C and vitamin B1) and EQ-5D scores. Conclusions: HRQol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elderly with increasing age and this was more pronounced in women than in man. The NAR of some nutrients were associated with the EQ-5D index, especially anxiety/depression dimension, among rural elderly.

한국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인식 관련 요인 - 2016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 (Factors Related to the Self-Rated Health Status among Korean Elderly - Analysis of the 2016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 박경애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4권4호
    • /
    • pp.344-360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health-related habits, chronic diseases, dietary habits, and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the self-rated health status in a group aged over 65 years by analyzing the nationally representative Korean survey data. A total of 1,510 subjects were analyzed among the participants of the 2016 Korean National Health and Examination Survey (KNHANES). Statistical analyses for complex sample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software package (version 19.0) The study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healthy group vs. unhealthy group) based on their self-rated health status. The percentage of the healthy group was 66.5%. Gender, age, education level, household income, job (P<0.001, respectively), marital status, and basic living allowance (P<0.05, respectively) were significant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the self-rated health status. Alcohol consumption (P<0.01), aerobic physical activity, stress, quality of life, not feeling very well, depression and activity restriction (P<0.001, respectively) were also significant health-related variables of the self-rated health status. Blood glucose, anemia (P<0.05, respectively), and chewing problems (P<0.001) were significant chronic disease-related variables of the self-rated health status. Adequate intakes of protein, dietary fiber, phosphorus, thiamin, niacin, vitamin C (P<0.001, respectively), calcium, sodium, potassium (P<0.01, respectively), iron, vitamin A, and riboflavin (P<0.05, respectively) were also significant variables of the self-rated health status. In complex sample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self-rated health status was influenced significantly by the aerobic physical activity (P<0.01), stress level (P<0.05), depression (P<0.001), quality of life (P<0.001), not feeling very well (P<0.001), activity restriction (P<0.001), chewing problem (P<0.05), and adequate intake of iron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tivity restriction, mental health, adequate iron intake, and physical activity may be associated with the self-rated health status in the elderly.

Orotic acid 투여 흰쥐의 조직 과산화지질 농도에 미치는 capsaicin의 영향 (Effort of Capsaicin on the Lipid Peroxidation in Tissues of Rats Fed Orotic Acid.)

  • 차재영;전방실;이영병;박진철;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41-546
    • /
    • 2004
  • Orotic acid 및 capsaicin (0.02 and 0.04%)을 단독 또는 병합 투여한 상태에서 흰쥐의 각 조직 중에 과산화지질 농도를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측정법으로 검토하였다. 체중 증가량, 식이섭취량, 식이효율 및 뇌, 신장, 심장, 비장, 고환의 상대무게는 각 실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간의 상대적 무게는 정상군과 비교해서 OA군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0.02% 및 0.04% Cap군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OA+0.02% Cap군 및 OA+0.04% Cap군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간 조직의 과산화지질 농도는 정상군에 비해 OA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이러한 증가는 0.04% capsaicin 병합투여에 의해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간 조직의 과산화지 질 농도는 정상군보다 0.02% Cap군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0.04% Cap군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농도별 차이를 보여주었다. 신장 조직의 과산화지질 농도는 정상군에 비해 OA군에서 증가하였고, OA를 함유한 OA+0.02% Cap군 및 OA+0.04% Cap군에서도 증가하였다. 그러나, 0.02% Cap군 및 0.04% Cap군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간의 비헴철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OA군과 capsaicin을 병합 투여한 OA +0.02% Cap군 및 OA+0.04% Cap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한편, 뇌, 심장, 비장 및 고환 조직의 과산화지질 농도는 각 실험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OA투여 흰쥐의 간 조직에서 과산화지질 농도 증가와 동시에 비헴철 함량이 증가하였고, 이러한 증가는 0.04% capsaicin 병합투여에 의해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지역 일부 초등학생의 성별과 비만도에 따른 영양소 섭취상태와 혈청 Leptin 및 혈청 지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Nutrient Intake, Serum Lipid and Leptin Leve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fferent Obesity Index in Kyunggi Area)

  • 이윤신;박혜순;이명숙;성미경;박동연;최미경;김미현;승정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7호
    • /
    • pp.743-75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nutritional status, serum lipids and leptin of 134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fferent obesity index residing in Kyunggi-do, Korea. Subjects were assigned to under weight, normal weight or over weight group according to the their obesity index. Their nutritional status, serum lipid and leptin levels were evaluated based on 24-hr dietary recall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blood analysis. The mean weight, height and obesity index of total subjects was 150.8cm, 45.6kg and 5.4%. The mean % of body fat was higher while LBM and TBW (total body water) were lower in over weight subjects than those of other two groups. Total food, plant protein, carbohydrate, and vitamin C intakes of underweight male students were lower than those of overweight male students. The consumption of total fat was the highest in the female normal weight subjects and the lowest in female overweight subjects. Male students consumed more plant protein and vitamin C than female students. The mean daily intake of vitamin B$_2$, calcium and zinc of all subjects did not meet the Korean RDA. Also, iron intake of female students was lower than the Korean RDA. The mean level of serum leptin was the highest in male and female overweight subjects (p<0.001). The HDL-cholesterol level was the highest in the underweight group of male subjects (p<0.05) and in the normal weight group of female subjects (p<0.001) The serum level of leptin and atherogenic index (AI) of females were higher than those of males. Serum leptin of total subjects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obesity index, weight, SBP, body fat, cholesterol intake, serum triglyceride, and AI. However, serum lepti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LBM, TBW, intake of plant protein, vitamin B$_1$, vitamin C and serum HDL-cholesterol. Obesity index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weight, SBP, body fat, serum triglyceride and AI. To summarize the results, the vitamin B$_2$, calcium, zinc, iron and fiber intakes should be suppli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especially those who were overweight. The average serum leptin level of students showed remarkably positive correlation with obesity index, body fat, serum lipids and AI. Also, it was suggested that the serum leptin might be related to the dietary factors like cholesterol, plant protein, vitamin B$_1$ and vitamin C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체육전공과 체육비전공 남자대학생의 식이섭취 실태조사 및 혈청 지질 함량 비교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the Serum Lipid Levels and the Dietary Intake of Physical Education Major and Non-Major Male Students)

  • 최경아;김명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667-674
    • /
    • 2003
  • The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physical exercise on blood lipid with young male students. Our analysis is based on the body measurement, food intake and blood lipid component for 70 male students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who either major in physical exercise (group A) or do not major in physical exercise (group B). The average weight of group A is 71.97 $\pm$ 10.79 kg while that of group B is 67.57 $\pm$ 8.66 kg. The former is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e latter. The SBP of group A (128.20 $\pm$ 11.40 mmHg) is significantly (p<0.001) higher than that of group B (136.27 $\pm$ 13.18 mmHg). In terms of the intake of total kcal, group A marks significantly higher than group B; group A goes with 2190.26 $\pm$ 581.96 kcal and group B goes with 2392.94 $\pm$ 769.03 kcal.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hree nutrient intake shows that the intake proportions for group A are carbohydrate 55.08 $\pm$ 6.03%, protein 15.58 $\pm$ 2.75%, and lipid 29.34 $\pm$ 5.16% while the intake proportions for group B are carbohydrate 57.29 $\pm$ 8.09%, protein 15.62 $\pm$ 3.26%, and lipid 27.10 $\pm$ 6.90%. For group A, the vitamin B$_1$ intake amounts to 1.50 $\pm$ 0.5 mg which fulfills 100% of RDA, and the niacin intake amounts to 16.57 $\pm$ 5.54 mg N.E which is less than RDA. In contrast, both intakes for group B are more than the RDA. In the case with minerals except calcium, both group A and B mark more intake than RDA. Group A's calcium intake is 517.12 $\pm$ 200.63 mg and group B's is 409.56 mg. The total cholesterol intake for group A is 447.00 $\pm$ 245.08 mg which i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for group B with 352.35 $\pm$ 200.25 mg. The total cholesterol in the lipid of serum is 151.30 $\pm$ 12.92 mg/dl for group A and 182.30 mg/dl for group B, where the dominance of group B over group A is true at the level of significance 0.01. In the case with triglyceride, group A is 107.57 $\pm$ 31.60 mg/dl and group B is 108.07 $\pm$ 33.93 mg/dl so that the group difference is non-significant. The HDL-cholesterol for group A is 54.67 $\pm$ 6.49 mg/dl which is significantly higher (p<0.001) than for group B with 36.13 $\pm$ 4.64 mg/dl. We conclude that regular exercise may have an effect on blood lipid metabolism among young males.

한약재 부산물 투여가 돈육의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Feeding Effect of Oriental Medicine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Pig Meat)

  • 최진호;김동우;문영실;장동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0-117
    • /
    • 1996
  • 15종의 주요 한약제 부산물을 용량별(1.0%, 3.0%, 7.0%)로 사육용 돼지에 출하하기 30일 및 45일 전부터 투여하여 성인병의 예방과 생테 방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한약제 부산물 무첨가의 대조군과 비교.평가하였다. 체중 증가율 한약제 부산물 3.0% 투여군으로 서 45일이 가장 높았고 30일 투여도 상당한 효과가 인정되었지만, 사료 섭취량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또 한약제 부산물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배설물의 악취는 감소한 반면 항생제 투여가 필요없을 정도로 발육상태가 양호하였고, 육질과 맛이 우수하였다. 트리클리세리트의 함량은 3.0% 한약제 부산물 투여군은 거의 같은 효과를 나타내고 있었지만, 총 콜레스테롤의 함량은 3.0% 한약제 투여군의 출하 30일전부터 투여하는 것이 가장 현저히 감소하였다. LDL-콜레스테롤 함량과 동맥경화지수도 1.0%이상의 한약제 부산물 투여군은 다?이 유의적으로 감소하고 있었다. 말론디알데히니(MDA)와 hydroxyl radical의 생성량도 1.0% 이상의 한약제 부산물 투여군이 거의 같은 경향으로 억제하고 있었다. 생테 방어시스템과 관계괴는 수퍼옥시 디스무타이제(SOD) 활성은 3.0% 한약제부산물 투여군으로서 출하하기 30일전부터 투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HDL-콜레스테롤의 함량은 한약제 부산물 투여군에서 출하하기 45일 전부터 투여하는 것만이 효과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한약제 부산물을 사료에 3.0%정도 첨가하여 출하하기 30일전부터 투여했을 겨우, 고기의 육질과 맛도 좋고 성인병의 원인 물질을 현저히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한약제 부산물을 사용한 기능성 돈육의 생산은 매우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철 보충이 흰쥐의 무기질 이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ron Supplementation on Mineral Utilization in Rats)

  • 전예숙;최미경;김애정;김미현;승정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58-66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철의 섭취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무기질의 이용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를 대상으로 적정수준, 적정수준의 2배와 4배의 철을 6주간 공급한 후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철, 구리, 아연의 혈청 수준 및 섭취량과 배설량에 의한 평형상태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사료 섭취량, 체중 증가량 및 사료효율은 철 보충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철 보충에 따른 혈청 철과 아연 함량은 각 군별 차이를 보여 철 함량은 2배 공급군이 유의하게 낮았고 아연 함량은 4배 공급군이 다른 두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p<0.05). 철 보충에 따라 철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p<0.01)을 제외하고 그 밖의 무기질 섭취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소변 중 무기질 배설량은 철 보충에 따라 칼슘, 나트륨, 철, 구리, 아연이 각 군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p<0.01, p<0.001, p<0.05, p<0.01). 대변 중 무기질 배설량은 철 보충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일 무기질 보유량은 철 보충에 따라 나트륨과 철이 유의한 차이를 보여(p<0.05, p<0.01) 철 보충이 증가할수록 이들 무기질의 보유량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무기질 흡수율은 철 보충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요구량의 2배와 4배의 철 보충에 따라 무기질의 겉보기 흡수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칼슘, 철, 구리, 아연의 소변중 배설량은 철 보충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함으로써 장기적인 철 보충이 이루어진다면 이와 같은 무기질의 체내 보유량이 감소함에 따라 영양상태가 저하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다양한 무기질의 평형상태를 유지하기 위 해서는 무기질 보충제를 이용하는 것보다 균형 잡힌 영양섭취나 일상식사를 통해 적정한 섭취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제시해주며, 앞으로 이에 대한 영양지도와 지속적 인 연구가 요구된다.

남자 중.고생의 흡연과 음주습관이 영양소 섭취 및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moking and Drinking Habits on the Nutrient Intakes and Health of Middle and High School Boy Students)

  • 신경옥;안창훈;황효정;최경순;정근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694-708
    • /
    • 2009
  • 본 연구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남자 중 고생을 대상으로 흡연과 음주 현황을 조사하여 흡연 유무에 따라 비흡연군 (199명), 흡연군(11명), 흡연 음주군(52명)으로 분류하였으며, 설문을 통해 흡연과 음주습관, 식생활 관련사항 및 영양섭취상태 등을 조사하여 흡연과 음주습관이 식생활 습관, 영양소 섭취상태 및 건강상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전체 조사대상자의 신장 및 체중은 각각 $173.5{\pm}6.8\;kg$, $64.83{\pm}11.8\;cm$로 신장은 한국인 체위 기준치에 비해 1.5 cm 이상 더 컸으며, 체중은 1.0 kg 정도 높게 조사되었고, 전체 조사대상자의 체질량지수의 평균값은 $21.4{\pm}3.7\;kg/m^2$정도로 나타났다. 전체 조사대상자의 89% 이상이 건강에 대해 관심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43.5%의 청소년이 자신만의 건강유지 비결로 규칙적인 운동을 가장 많이 손꼽았다. 또한 66.0%의 청소년이 실제로 운동을 하고 있었으며, 일주일에 평균 3번 정도한다고 답한 전체 응답자는 37.3%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1회 운동 시 평균 운동시간은 30분${\sim}$1시간 정도가 가장 많은 비율(46.3%)을 차지하였다. 흡연자 63명 중 음주를 하는 학생이 52명 82.5%이었으며, 11명 17.5%만은 흡연만 하여 본 연구결과에서 보면, 흡연을 하는 경우 음주를 동시에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55.6%의 남자 중 고생은 중학교 때 흡연을 시작하였으며, 흡연 동기는 38.1%가 호기심으로 시작했다고 답하였다. 특히 배고플 때 흡연욕구를 강하게 느꼈으며, 흡연 장소로는 화장실이라고 답하였다. 흡연기간은 6개월에서 1년 사이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하루 흡연량은 하루에 $5{\sim}10$개피를 핀다고 답한 비율이 가장 많이 차지하였다. 금연을 하기 위해 시도했던 방법으로는 그냥 참은 경우가 69.0%였으며, 금연에 실패한 이유로는 의지부족이 44.4%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금연의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전체 조사대상자의 87.1%가 금연을 하고 싶다고 답하였으나, 금연 프로그램을 실시하면 참여하겠느냐는 질문에는 단지 56.7%만이 참여하길 원하였다. 흡연 음주군에서 음주 시작 시기는 50.0%가 고등학교 때 시작하였으며, 사교적 필요성에 의해서 음주를 시작하였다고 답하였다. 음주는 주로 지정된 장소에서 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반 이상의 남자 중 고생이 한 번에 마시는 술의 양은 소주 한 병이하라고 답하였다. 음주의 욕구를 강하게 느낄 때는 친구가 술을 먹을 때라고 답하였으며, 금주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단지 40.4%만이 금주를 하겠다고 답하였다. 34.4%의 아동이 매일 아침식사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아침식사를 전혀 하지 않는 결식률도 16.4%나 되었다. 아침식사를 거르는 이유로는 47.0%가 '아침시간이 바빠 시간이 없어서'라고 답하였으며, 건강상의 문제를 고려해 볼 때 결식의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고 사료된다. 과식을 하는 이유로는 전체 조사대상자의 52.5%가 좋아하는 음식이 많아서 과식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흡연 음주군에서 과식을 자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간식의 경우 하루에 $1{\sim}2$회 한다는 전체 청소년의 비율이 72.6%를 차지하였으며, 간식으로 섭취하는 식품으로는 비흡연군에서는 빵류 및 감자 40.2%, 패스트푸드 및 튀김식품을 30.7%로 많이 섭취하고 있었으며(p<0.05), 흡연군에서는 탄산음료 및 빙과류를 간식으로 섭취하는 비율이 36.4%나 되었고, 흡연 음주군에서는 과일류(38.5%)와 패스트푸드 및 튀김식품(26.9%)을 간식으로 가장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남자 중 고생이 주식으로 섭취하는 탄수화물 식품의 섭취비율 중 비흡연군에서는 다른 군에 비해 잡곡과 현미를 각각 45.7%와 36.2%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흡연 음주군에서는 과일을 자주 섭취하는 비율이 9.6%로 매우 낮았으며(p<0.05), 50.0%가 패스트푸드를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생활 평가에서는 흡연군에서 삼겹살, 갈비 등 지방이 많은 육류를 주 2회 이상 먹는 비율이 높았으며, 아이스크림이나 과자, 탄산음료를 주 2회 이상 간식으로 자주 먹는 비율도 54.3%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전체적인 영양소 섭취상태는 $15{\sim}19$세 청소년의 영양섭취기준에 제시한 기준치에 비해 현저히 높았으며, 열량 섭취의 경우 비흡연군에 비해 흡연군과 음주 흡연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특히 흡연 음주군에서는 다른 군에 비해 인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p<0.05), 콜레스테롤(p<0.05)과 소디움(p<0.05) 섭취량은 흡연군에서 가장 높았다. 본 연구결과 청소년들이 흡연과 음주를 하게 되는 가장 큰 이유가 친구나 학교 선 후배 등 또래 집단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충동적인 호기심에 의해 시작하는 경우가 많아 흡연과 음주가 건강에 미치는 유해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다. 또한 흡연을 하는 경우 음주를 동시에 하는 남자 중 고생이 82%가 넘는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들의 흡연과 음주 실태는 심각한 사회 문제라 할 수 있으며, 식생활 습관도 음주 흡연군에서는 과일 섭취가 낮은 반면 고열량 식품 선호 및 과식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흡연군에서는 육류 및 가공식품등의 섭취가 높았다. 따라서 선행연구(6)에서도 지적했듯이 친구들의 흡연과 음주의 권유를 단호하게 거절할 수 있는 대처방법을 습득시키거나 흡연과 음주의 욕구를 느낄 때의 실질적인 대처 수단 및 금연을 하는 구체적인 방법 등의 현실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흡연과 음주로 인해 발생되는 편식이나 과식 등의 잘못된 식습관을 바로 잡아 청소년의 성장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균형적인 영양섭취가 중요하며, 영양적인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교육도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청소년 시기에 먹거리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건강에 유익하고, 안전한 식품을 선택할 수 있는 감각을 습득시키는 것도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우리나라 성인의 영양소 섭취와 고감도 C-반응단백과의 연관성 연구 : 2015년 국민 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Association between nutrient intake and serum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level in Korean adults: Using the data from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윤주경;송수진;조진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6호
    • /
    • pp.565-577
    • /
    • 2017
  • 본 연구는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건강한 한국 성인 2,624명을 대상으로 염증 지표인 CRP의 분포를 파악하고 성별, 연령 (50세 기준), 비만여부 ($25kg/m^2$ 기준)로 구분하여 CRP 그룹 (1 mg/L 기준)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지표, 생활습관 특성, 영양소 섭취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건강한 성인에 해당하는 대상자들의 평균 CRP는 $0.95{\pm}0.03mg/L$으로, 국외에서 조사된 타 인종의 수치보다 낮은 수준에 해당한다. 남성, 50세 이상, 비만인 경우 평균 CRP가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 LCRPG과 HCRPG을 비교한 결과, 대상자의 분류에 따라 다른 특징을 보였고 대상자의 분류에 관계 없이 비만 여부, 허리둘레, 공복혈당의 경우 HCRPG이 더 높으며 HDL콜레스테롤의 경우 LCRPG에서 더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식사 변수 외에 흡연자와 비만에 해당하는 대상자는 HCRPG에 더 많고 신체활동을 실천하는 대상자는 LCRPG에 더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생활습관이 CRP 수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교란인자의 보정 후 여성에서 HCRPG의 식이섬유 섭취량이 LCRPG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50세 이상의 대상자에서 LCRPG 보다 HCRPG의 오메가3 지방산의 섭취량은 적었으며, 콜레스테롤 섭취량은 높았다. 또한 비만에 해당하는 대상자 중 HCRPG에서 지방의 에너지 기여율이 높고 지방과 포화 지방산의 섭취량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흡연, 신체활동과 같은 생활 습관뿐 아니라 식이섬유, 지방의 섭취량, 열량 에너지 섭취의 구성 또한 CRP 수준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시사하며, 이는 식사와 만성염증과의 관련성을 제안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