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breadth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15초

Mathematical Constants for Non-Destructive Rapid Method of Leaf Area Determination in Mulberry (Morus spp.)

  • Singhal, B.K.;Dhar, Anil;Sharma, Aradhana;Jand, Seema;Bindroo, B.B.;Saxena, N.N.;Khan, M.A.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6권2호
    • /
    • pp.139-143
    • /
    • 2003
  • Mathematical constants for multiplication with leaf length (I) or breadth (b) or l ${\times}$ b have been worked out for determining leaf area in promising mulberry genotypes viz., Chinese White, S-146, Chak Majra and Sujanpur Local of sub-tropical India. When pooled, the mathematical constants worked out were 8.1132, 10.1019 and 0.5992 for multiplication with leaf length, breadth and l ${\times}$ b, respectively, for genotypes bearing un-lobbed leaves and 6.9447, 8.2761 and 0.5009 for multiplication with leaf length, breadth and l ${\times}$ b, respectively for genotypes bearing lobbed leaves. Leaf area can be worked out by using any constant by multiplying either with leaf length or breadth or both (l ${\times}$ b). Estimated leaf areas worked out were found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tual leaf area (r=999$^{**}$). The suggested present non-destructive method by using mathematical constants is very quick and alternative to electronic leaf area meter for spot leaf area determination in mulberry which is the only food source for mulberry silkworm in sericulture industry.

비메트릭 다변량 척도법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멸종위기 국내 담수어류 20종의 먹이원 분석 (Analysis of Food Resources of 20 Endangered Fishes in Freshwater Ecosystems of South Korea using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Network Analysis)

  • 지창우;이대성;이다영;박영석;곽인실
    • 생태와환경
    • /
    • 제54권2호
    • /
    • pp.130-141
    • /
    • 2021
  • 국내 멸종위기 어류 25종의 먹이원을 문헌 조사한 결과, 먹이원은 20문, 31강, 58목, 116과, 154속으로 나타났다. 먹이원 중 가장 많은 어류가 섭식한 먹이원은 분류군에 따라 절지동물문, 곤충강, 파리목, 깔따구과로 조사되었으며, 식물류 먹이원은 돌말문, 윷돌말강, 반달돌말목, 반달돌말과로 조사되었다. 계층적 군집분석과 NMDS를 이용하여 멸종위기 어류 20종의 먹이원 유형화 결과, 어류를 주로 포식하는 충식성 어류와 식물플랑크톤을 섭식하는 어류 2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 분석의 허브 점수가 높은 먹이원은 파리목, 하루살이목, 날도래목, 강도래목, 딱정벌래목으로 나타났으며 식물류 먹이원 중 허브 점수가 높은 쪽배돌말목과 반달돌말목, 김발돌말목으로 조사되었다. 먹이원 폭이 큰 어류는 연준모치(PP)와 열목어, 좀수수치, 가는돌고기, 꼬치동자개, 퉁사리, 묵잡자루, 미호종개로 Bi 지수 값이 0.3 이상으로 조사되어 다양한 먹이를 먹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금강모치, 부안종개, 감돌고기, 흰수마자, 다묵장어, 돌상어, 얼룩새코미꾸리, 북방종개는 Bi 지수 값이 0.1 이하로 조사되어 먹이원 다양성이 낮게 조사되었다.

전남 서남부 농촌지역에 분포하는 나비군집의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Pattern of Change of the Local Butterfly Community in a Rural Area of Southwestern Part of Korea)

  • 최세웅;안정섭
    • 환경생물
    • /
    • 제33권1호
    • /
    • pp.53-62
    • /
    • 2015
  • 농촌 논과 밭 경작지 및 야산지역에 분포하는 나비군집 변화가 지난 10년 동안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2001년부터 2002년에 이루어진 자료와 2014년 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나비 조사는 선 조사법을 통하여 동일한 지점에서 이루어졌다. 조사 결과 나비의 종 수와 개체수는 10년 전과 비교하였을 때 줄어드는 양상을 나타내었는데 2001년과 2002년에 비하여 2014년에는 종 수와 개체수 모두 감소하였다. 조사지역의 출현 종 수가 그들의 생태학적 특성인 서식지, 서식지 범위, 먹이식물, 먹이식물 범위, 세대수 및 겨울나기 유형 등에 변화가 있는 가를 조사한 결과 종 수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개체수에서는 겨울나기 유형을 제외하고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지난 10년간 지역적으로 나비 군집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주 원인은 조사지역의 서식지 변화가 주요 요인이었을 것으로 추측한다. 조사 지역에서 나비 군집의 변화를 일으키는 원인을 알기 위해서는 앞으로 지역적 수준에서 종 변화 및 이 변화의 원인을 알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강화산 칠게의 여름철 성장 및 갑폭과 중장의 비 (The Summer Growth and the Ratios of the Breadth to the Length of the Carapace of the Crab, Macrophthalmus (Mareotis) japonicus De Hann)

  • 김훈수;곽희상;권도헌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nspc2호
    • /
    • pp.233-241
    • /
    • 1988
  • 강화도 동남단 초지진 조간대 개펼에서 1983년 6, 7, 9, 11월 에 각각 무작위 채집한 칠게 (Macrophthalmus (Mareotis) japonicus De Haan 1835) 의 갑핍, 갑장, 체고를 각각 측정하여 이들의 빈도분포와 확률도를 비교분석하여 성장을 분석하고 이들 각 부위간의 상관성도 분석하였다. 철게의 성장은 가을철보다 여름철에 우세하였으며 6월에 여러 무리의 크기가 출현하였으나 가을에는 이들이 크기로는 한 무리로 나타났으며 여름의 성장도는 갑핍이 10%를 웃돌았다. 그리고 성장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는 갑핍의 측정이 가장 유용하다. 그리고 칠게가 성장함에 따라 갑장에 대한 갑핍의 비율이 커지며, 갑핍을 독립변수로 할 때 갑장과의 상관관계식의 기울기는 개체가 성장함에 따라 작아진다. 여름에 칠게의 성장이 가을보다 빠른 것은 중역도지방생물의 계절적 주기에서 생리현상이 활성화되는 시기인데다가 동시에 수반되는 영양상태의 호조건이 부합된 때문이다. 가을이 되면 이 활성이 점차 감소되기도 하고 칠게 개체가 성장한계에 다다르기도 하여 성장이 둔화된다. 그리고 칠게가 성장함에 따라 갑장보다는 갑핍의 성장0이 빠른 것도 하나의 형태적 특정일 수 있겠다.

  • PDF

피조개의 먹이와 성장 (THE FOOD AND GROWTH OF THE LARVAE OF THE ARK SHELL ANADARA BROUGHTONI SCHRENCK)

  • 유성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47-154
    • /
    • 1969
  • 1968년 8월초순부터 1968년 9월중순까지의 사이에 일본 굴연구소에서 피조개의 유생을 사육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것을 밝혔다. 1) 피조개의 알의 크기는 $54.9(53.8\~57.0)\mu $ 내외이고, 수정후 8일경까지 즉 유생의 크기는 각장 $110.8\mu$ 각고 $83.9\mu$ 각폭 $58.2\mu$ 내외가 될 때까지는 먹이를 주지 않더라도 생장하지만, 수정후 2일 즉 D상자패로 되면 곧 투여하는 것이 좋다. 2) 유생이 먹는 먹이의 수는 유생의 크기에 따라 많은 차가 있으나 대체로 각정팽출기인 변태기전후부터 급격히 증가한다. 이것을 식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Y=0.0025161X^{2.76459}$ 3) 먹이를 원심분리한 것과 하지 않은 것을 사용했을때 피조개 유생의 성장이 다른데 각회귀직선의 경사를 검정 한 결과는 유생의 크기가 작은 경우 $99\%$ 신뢰성으로 유의의 차가 있고, 유생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95\%$ 신뢰성으로서 유의의 차가 있다. 즉 원심분리한 먹이를 줬을 때가 그렇지 않은 먹이를 줬을 때보다 언제나 유생의 성장이 좋지만 이차는 유생의 크기가 작은 것에서 더욱 현저하다. 4) 피조개의 유생이 부착생활로 들어가는 것은 수정후 28일경인데 이때 유생의 크기는 각장 $261.7\~289.6\mu$, 각고 $191.2\~221.7\mu$, 각폭 $147.6\~170.8\mu$ 내외이다. 5) 피조개 유생의 성장식은 각장 $94.3\mu$부터 $133.9\mu$까지는 Y=85.22857+3.35000X 각장 $141.6\mu$부터 $269.3\mu$까지는 Y=10.83036X-36.05357 각장 $296.8\mu$부터 $373.2\mu$까지는 Y=19.10000X-279.30000 각고 $72.7\mu$부터 $98.7\mu$까지는 Y=67.l1429+2.15714X 각고 $108.4\mu$부터 $206.4\mu$까지는 Y=8.31607X-27.45357 각고 $228.6\mu$부터 $282.1\mu$까지는 Y=173.46700+13.37500X 각폭 $45.3\mu$부터 $77.8\mu$까지는 Y=38.08570+2.73570X 각폭 $87.4\mu$부터 $157.7\mu$까지는 Y=5.77320X-5.99640 각폭 $175.4\mu$부터 $214.0\mu$ 까지는 Y=9.65000X-114.13300등과 같은 회귀직선 또는 각장 $94.3\mu$부터 $373.2\mu$까지는 Y=72.45 $e^{0.04697x}$ 각고 $72.7\mu$부터 $282.1\mu$까지는 Y=54,96 $e^{0.04720x}$ 각폭 $45.3\mu$부터 $214.0\mu$까지는 Y=39.82 $e^{0.04927x}$ 등과 같은 지수곡선으로서도 표시할 수 있다. 6) 상대성장식은 각장 $94.3\mu$ 각고 $72.7\mu$(수정후 2일)부터 각장 $133.9\mu$ 각고 $98.7\mu$(수정후 14일)까지는 Y=12.87780 +0.63817X 각장 $141.6\mu$, 각고 $108.4\mu$(수정후 1난일부터 각장 $269.3\mu$, 각고 $206.4\mu$(수정후 28일)까지는 Y= 0.90220+0.76450X 각장 $296.3\mu$ 각고 $228.6\mu$(수정후 30일)부터 각장 $373.2\mu$, 각고 $282.1\mu$(수정후 34일)까지는 Y= 25.02630+0.69156였고, 한편 각장 $94.3\mu$, 각폭 $45.3\mu$(수정후 2일)부터 곡장 $133.9\mu$, 각폭 $77.8\mu$(수정후 14일)까지는 Y= 0.81373X-31.18914 각장 $141.6\mu$, 곡폭 $87.4\mu$(수정후 16일)부터 각장 $269.3\mu$ 각폭 $157.7\mu$(수정후 28일)까지는 Y= 13.37549+0.53230X 각장 $296.8\mu$, 각폭 $175.4\mu$(수정후 30일)부터 각장 $373.2\mu$ 각폭 $214.0\mu$(수정후 34일)까지는 Y=30.24328+0.49545X 등과 같은 회귀직선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

  • PD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Japonica Non-Waxy and Waxy Rice during Kernel Development

  • Kim, Sung-Kon;Jung, Sun-O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289-297
    • /
    • 2006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changes in weight and dimension, protein and amylose contents, and pasting properties of brown rice flour, as well as the gelatinization properties of starch, from two non-waxy japonica cultivars and one waxy japonica cultivar planted in an experimental field in 2002 under the same fertilizer conditions. The weight of both rough and brown rice increased consistently up to 42 days after flowering (DAF) for the non-waxy rice and to 35 DAF for the waxy rice. The changes in dimension of the brown rice kernel indicated that the length was maximized first, followed by breadth and then thickness. The protein content of the non-waxy rice remained fairly constant, but that of the waxy rice decreased by about 1% after 14 DAF. The amylose content of the non-waxy brown rice flour increased, but that of the waxy brown rice flour decreased during kernel development. As the kernel developed, the peak viscosity of the non-waxy rice flour increased up to 35 DAF, after which it decreased, whereas that of the waxy brown rice flour increased consistently. The gelatinization temperature of starch also increased in the waxy rice during kernel development up to 21 DAF. The gelatinization enthalpy of starch, however, increased in all rice cultivars throughout the kernel development.

전라남도 소재 한식 전문점 상차림 실태 조사 및 개선 방안 -서비스 방식, 배선 방법을 중심으로- (Survey on Table Sewing in Korean Food Restaurants Located in Jeollanamdo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 Focusing on the Manner of Sewing and Arrangement -)

  • 김수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55-667
    • /
    • 2010
  • In this study, problems with table serving of Korean Jeollanamdo food were investigated, and methods for improvement were suggested. The manner of food serving and arrangement on tables, as well as the serving space in each case, were investigated in representative restaurants serving Jeollanamdo food.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Jeollanamdo Korean food have a prototype of a flat serving sprea, wherein the main dish and side dishes are not clearly identified, the demarcation between shared space and personal space is insufficiently made for each serving on the table, and the table is full of side dishes, that are narrow, visually disordered and unhygienic, both in terms of the table setting and arrangement inside bowls. To provide sufficient eating space, elevate awareness of hygienic and clean serving, and identifying the main dish in the table setting, a serving method that is a compromise between the flat spread-out and time-series development was suggested, and an arrangement on the table was defined for the main dish and side dishes. The utilization of table space was also increased by reducing the number of dishes on the table at a given moment. In addition, the dish or bowl and arrangement inside the container were changed in order to distinguish the main dish and side dishes. It is suggested that some of tableware be linked with the special products of the locality so as to make a brand for them, and that a personal mat be used to arrange the tableware for each one, since there are many fermented food items (salted fish, kimchi, fermented paste and sauce, etc.) and boiled food items (stew, steamed dish, boiled dish in sauce, etc) that look dark and unfocused.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width and breadth of the dishes or bowls be set in an orderly manner. Considering the tables currently available at restaurants, personal space on a table and comfortable distance between eaters are suggested to be $400 mm{\times}250 mm$ and 300 mm, respectively.

농업생태계에 서식하는 나비 군집 다양성과 이들에 영향을 주는 지리적 위치 및 생태적 특징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butterfly community and geographic location and ecological traits inhabiting agroecosystems)

  • 이재영;최세웅
    • 환경생물
    • /
    • 제41권4호
    • /
    • pp.712-719
    • /
    • 2023
  • 농업생태계는 생태계서비스 측면에서 수분매개, 해충조절, 영양물질 순환, 토양 유지나 비옥도 유지 및 유전자원 공급원 등 다양한 생태계 기능을 제공하지만 서식지 파편화를 포함한 환경오염 등 생물다양성을 위협하기도 한다. 이 연구에서는 선 조사법을 통하여 농업생태계에 서식하는 나비 군집 다양성을 알아보고 이들이 위도와 경도에 따라 어떠한 양상을 띠고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또한 농업생태계에 서식하는 나비들의 서식지 선호성과 먹이식물 범위 등 생태학적 특성도 알아보았다. 이번 연구는 2019년부터 2022년까지 4년 동안 전국적으로 10지점을 선정하여 2주 간격으로 선 조사법을 실시하였으며 총 112종 21,901개체를 확인하였다. 권역별로 종과 개체수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군집 구성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농업생태계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로 확인된 종은 배추흰나비(Pieris rapae)였으며 네발나비(Polygonia c-aureum), 남방부전나비(Zizeeria maha), 노랑나비(Colias erate) 순이었다. 위도별, 경도별로도 종 수와 개체수 변화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아 반도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서식지 선호도는 초지와 숲 가장자리를 선호하는 나비가 숲 내부를 선호하는 종보다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먹이 범주는 협식성이 가장 많았고 단식성, 다식성 순서로 나타났다. 농업생태계에 서식하는 나비는 조사 지점의 환경이 비슷하여 위도 구배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초지나 숲 가장자리와 같은 개방된 공간이나 비교적 다양한 먹이를 선호하는 생태학적 특성을 지녔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기후변화에 따른 농촌 경관 변화가 나비류에 영향을 미치는지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꼼치 (Liparis tanakai) 유어의 식성 (Feeding Habits of Juvenile Liparis tanakai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곽석남;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72-377
    • /
    • 2003
  • Feeding habits of juvenile Liparis tanakai collected from the eelgrass bed in Kwangyang Bay were studied. L. tanakai (2.0-6.0 cm SL) was a carnivore which consumed mainly amphipods (caprellids and gammarids) and caridean shrimps. Its diets also included a large amount of copepods, polychaetes and small fishes. Three distinct ontogenetic feeding groups were noted: (1) the individuals of 2.0-2.5 cm SL preyed heavily on copepods, (2) individuals of 2.5-4.0 cm SL fed mainly on amphipods. (3) individuals over 4.0 cm SL preyed mainly on caridean shrimps and small fishes. The dietary breadth of each size class showed relatively low value, and this means that juvenile L. tanakai depends on only few kinds of food organisms.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문치가자미 (Limanda yokohamae)의 식성 (Feeding Habit of Limanda yokohamae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곽석남;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22-527
    • /
    • 2003
  • Feeding habits of Limanda yokohamae collected from the eelgrass bed in Kwangyang Bay were studied. L. yokohamae (1-16 cm SL) was a carnivore which consumed mainly polychaetes. Its diets included a significant quantity of amphipods (gammarids and caprellids) as well as small quantities of gastropods and ophiuroids. L. yokohamae showed ontogenetic changes in feeding habits. Small individuals less than 4 cm SL preyed mainly on amphipods. However, polychaetes were heavily selected with increasing fish size while the portion of the diet attributable to amphipods decreased sharply. Polychaetes were the major prey organisms for all seasons. Dietary breadth of each size class shows relatively low value, and this means that L. yokohamae depends on only few kinds of food organis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