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mea

검색결과 307건 처리시간 0.026초

ISO14971 기반 FMEA를 이용한 중환자실내 인공호흡기 신뢰성 관리 (Reliability Management of Mechanical Ventilator in Intensive Care Unit Using FMEA Based on ISO14971)

  • 김현준;김원규;김태종;서지영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9-24
    • /
    • 2023
  •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many patients with severe respiratory diseases have occurred worldwide, and accordingly, the use of mechanical ventilators has exploded. However, hospitals do not have systematic risk management, and the Medical Device Regulation also provides medical device risk management standards for manufacturers, but does not apply to devices in use. In this paper, we applied the Failure Mode Effects Analysis (FMEA) risk analysis technique based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 ISO 14971 (Medical Devices-Application of risk management to medical devices) for 85 mechanical ventilators of a specific model in use in hospitals. Failure modes and effects of each parts were investigated, and risk priority was derived through multiplication of each score by preparing criteria for severity, occurrence, and detection for each failure mod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microprocessor-based Patient Unit/Monitoring board in charge of monitoring scored the highest score with 36 points, and that reliability management is possible through systematic risk management according to priority.

FMEA를 이용한 LPG 기화기의 재제조 표준공정 설계 (Standard Process Design of Remanufacturing of LPG Vaporizer by using FMEA)

  • 목학수;송현수;김덕중;홍진의;이승민;안정태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3권6호
    • /
    • pp.54-6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LPG기화기의 재제조 공정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초기 고장에 대한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LPG 기화기의 동작 특성을 파악하고, 고장 분류를 통해 고장 현상에 따른 원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LPG 기화기의 재제조 단위 공정 및 부품에 대한 FMEA를 작성하였다. 각각의 단위 공정 및 부품에 대한 잠재적 고장 원인 및 고장 유형에 대한 심각도, 검출도, 발생도를 결정하고, R.P.N을 확인 후, 기준을 초과하는 공정 또는 부품에 대한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공정별 많은 누적빈도를 보이는 재제조 공정을 결정하고, 포괄적 개선안을 제시함으로써, LPG기화기의 표준공정을 설계하기 위한 개선안을 제안한다.

퍼지기반 해양 미생물 이용 수소 제조 공정의 고장유형 및 영향분석 (Fuzzy Based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FMEA) of Hydrogen Production Process Using the Thermococcus Onnurineus NA1)

  • 박성호;안준건;김수현;유영돈;장대준;강성균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9권4호
    • /
    • pp.307-316
    • /
    • 2018
  • In this study, the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FMEA) of hydrogen production process by using the Thermococcus onnurineus NA1 was conducted and advanced methodology to compensate the weakness of previous FMEA methodology was applied. To bring out more quantitative and precise FMEA result for bio-hydrogen production process, fuzzy logic and potential loss cost estimated from ASPEN Capital Cost Estimator (ACCE) was introduced. Consequently, risk for releasing the flammable gases via internal leakage of steam tube which to control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main reactor was caution status in FMEA result without applying the fuzzification and ACCE. Moreover, probability of the steam tube plugging caused by solid property like medium was still caution status. As to apply the fuzzy logic and potential loss cost estimated from ACCE, a couple of caution status was unexpectedly upgraded to high dangerous status since the potential loss cost of steam tube for main reactor and decrease in product gases are higher than expected.

고체 로켓 추진 기관의 신뢰성 분석을 위한 준-정량적 FMECA (Semiquantitative Failure Mode, Effect and Criticality Analysis for Reliability Analysis of Solid Rocket Propulsion System)

  • 문근환;김진곤;최주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9권6호
    • /
    • pp.631-63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고체 로켓 추진 기관의 신뢰성 분석을 위해 준-정량적 FMECA를 수행하였다. 준-정량적 FMECA는 고장모드 및 영향 분석(FMEA)과 치명도 분석(CA)를 포함하는 분석 기법으로서, FMECA 수행을 위해서 FMEA는 고체 로켓 추진 기관을 43개의 부품으로 나누어 각 부품에 대하여 도출된 총 137개의 고장모드에 대해 수행하였다. 또한 일부 고장모드의 고장률 데이터를 이용하여 치명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준-정량적 FMECA 수행을 통하여 고체 로켓 추진 기관의 각 부품에서 발생 할 수 있는 잠재적 고장모드와 고장원인 및 영향을 분석, 정리할 수 있었으며, 우선적인 개선 조치가 필요한 중요 고장모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자동차 안전성 설계에서 설계 추적성을 활용한 고장형태 영향분석에 관한 연구 (On the Development of an FMEA Method for Automotive Safety Utilizing Design Traceability)

  • 임관택;이재천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19
    • /
    • 2013
  • In modern systems design and development, one of the key issues is considered to be related with how to reflect faithfully the stakeholder requirements including customer requirements therein, thereby successfully implementing the system functions derived from the requirements. On the other hand, the issue of safety management is also becoming greatly important these days, particularly in the operational phase of the systems under development. An approach to safety management can be based on the use of the failure mode effect and analysis (FMEA), which has been a core method adopted in automotive industry to reduce the potential failure. The fact that a successful development of cars needs to consider both the complexity and failure throughout the whole life cycle calls for the necessity of applying the systems engineering (SE) process. To meet such a need, in this paper a method of FMEA is developed based on the SE concept. To do so, a process model is derived first in order to identify the required activities that must be satisfied in automotive design while reducing the possibility of failure. Specifically, the stakeholder requirements were analyzed first to derive a set of functions, which subsequentially leads to the task of identifying necessary HW/SW components. Then the derived functions were allocated to appropriate HW/SW components. During this design process, the traceability between the functions and HW/SW components were generated. The traceability can play a key role when FMEA is performed to predict the potential failure that can be described with the routes from the components through the linked functions. As a case study, the developed process model has been applied in a project carried out in practice. The results turned out to demonstrate the usefulness of the approach.

스마트 폰의 소프트웨어 보안성 분석을 위한 FTA와 FMEA의 통합적 방법 (An Integrative Method of FTA and FMEA for Software Security Analysis of a Smart Phone)

  • 김명희;;박만곤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2권12호
    • /
    • pp.541-552
    • /
    • 2013
  • 최근 우리 생활에 스마트 기술의 빠른 전파 때문에 정보 과학 및 기술 분야에 있어서는 스마트 폰의 소프트웨어 보안성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보안성 중요 시스템인 스마트 폰은 은행 서비스, 유비쿼터스 홈 관리, 항공 고객의 검색 등의 서비스 시스템에 이용되기 때문에 비용의 리스크, 손실의 리스크, 이용가능 리스크, 그리고 사용상의 리스크에 관련 되어 있다. 스마트 폰의 보안성 이슈는 이들의 관찰된 고장들을 사용하여 소프트웨어 장애 분석을 하는 것이 핵심 접근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손으로 조작하는 디바이스들의 수렴하는 보안성과 신뢰성 분석 기법을 얻기 위해서 결함 트리 분석 (FTA)와 고장 모드 효과 분석(FMEA)을 사용하여 스마트 폰의 소프트웨어 보안성 분석을 위한 하나의 유효한 통합적 프레임 워크를 제안한다. 그리고 만약 하나의 고장 모드 효과 분석이 더욱 더 간단해지면 스마트 디바이스들의 보안성 개선뿐만 아니라 고장효과 의 감소를 위해서 제안된 통합적인 프레임 워크는 핵심 해법이 됨을 논의한다.

FMEA기법을 이용한 화학제품의 PL 대응체계 연구 (A Study on Product Liability Response System of Chemical Products by Using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 고재욱;유진환;김대흠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0-35
    • /
    • 2003
  • 제조물책임(Product Liability : PL)이란 제조물의 결함으로 인하여 소비자 또는 제3자의 생명, 신체, 재산 등에 손해가 발생했을 경우 그 제조물의 제조자 또는 판매자 등에게 손해배상 책임을 부과시키는 법으로 국내에서는 제조물책임법은 2002년 7월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FMEA를 이용한 화학제품의 제조물책임 대응체계를 구성하였으며, 깍N-Dimethyethylamine을 사례로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화학제품의 취급설명서 역할을 하는 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를 통해 제품의 정보를 파악하고, 제품의 결함으로 인한 영향을 분석하는 FMEA기법을 적용하여 결함의 심각도, 결함의 발생빈도 및 검출도의 곱으로 정의된 RPN(Risk Priority Number)에 의하여 위험성을 정량적으로 제시하였다.

  • PDF

고압 수소설비용 비금속부품 소재의 FMEA 평가를 통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MEA Evaluation of Non-metallic Materials in High-Pressure Hydrogen Facility)

  • 안정진;김완진;김래현
    • 에너지공학
    • /
    • 제28권3호
    • /
    • pp.10-17
    • /
    • 2019
  • 국내 친환경 수소차 보급 정책에 따라 수소차와 수소충전소 인프라 개발에 대한 관련 업계의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반면에 수소차와 수소충전소의 내구성 및 신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기밀용 비금속 소재(라이너, 씰, 개스킷 등)의 위험성 평가 및 재료에 관한 실증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FMEA를 활용하여 고압 수소 설비에 사용되는 비금속 부품의 라이너와 씰에 대한 위험요소를 도출한 후 심각도, 발생빈도, 검출도 등급을 점수로 환산하여 RPN값을 산정하였다. RPN의 최대값 600, 최소값 63, 평균값이 278.5로 산출되었으며, 라이너와 씰에 대한 주기적인 관리가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비금속 고무제품에 대한 수소침지와 산소노화시험을 통해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한 물리적 실험값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고장나무를 이용한 양방향 컨버터의 신뢰성 분석 (Fault-tree based reliability analysis for bidirectional converter)

  • 허대호;강필순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254-260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양방향 dc-to-dc 컨버터의 고장원인, 고장영향, 고장 결과를 파악하기 위한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FMEA)와 양방향 컨버터의 위험도를 고려한 fault-tree analysis(FTA)를 통해 고장률을 예측한다. 전기차의 구동전압을 효율적으로 상승시키기 위해 인버터 앞단에 부착되는 양방향 컨버터는 배터리 전력을 dc-link 커패시터로 방전시키는 승압모드와 회생전력을 배터리로 충전시키는 강압모드를 가진다. 양방향 컨버터의 동작 특성을 고려한 FMEA 결과를 바탕으로 컨버터의 위험도를 고려한 고장나무를 설계한다. 전기차 MCU용에 맞는 설계 파라메타를 설정하고 출력전압 리플과 인덕터 전류 리플에 따른 커패시터와 인덕터의 부품 고장률을 분석한다. 또한 동작 온도에 따른 주요부품의 고장률을 MIL-HDBK-217F를 이용하여 구한다. 마지막으로 부품 고장률을 고장나무의 기본 사상의 고장률로 반영하여 컨버터 고장률과 평균고장시간을 예측한다.

FMEA 기법을 이용한 설계시공일괄방식 주요 클레임 요인 도출 (Identification of Claim Elements for Design Build Projects using FMEA Method)

  • 윤석민;현창택;한상원;차용운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26-33
    • /
    • 2015
  • Design-build projects were devised to enhance the design technologies of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 efficiency of public works, contributing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technologies. However, as various stages of the process, such as formulation of basic plans and design documents, and deliberations proceed, claims, including changes in the requirements of clients, and design changes occur. These claims result in the delay in construction and an increase in construction costs. In this regard,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main claims that delay construction and increase the costs of design-build projects, prevent claims in the future,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project implem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