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w experience

검색결과 664건 처리시간 0.02초

모바일 콘텐츠 FLOW경험이 재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Flow Experience of Mobile Contents on Repurchase Intention)

  • 선창훈;문태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4호
    • /
    • pp.131-141
    • /
    • 2011
  • 본 연구는 모바일 콘텐츠 서비스의 활성화 및 사용자 수용을 보고자 기술수용 모델을 기본으로 Flow경험 변수를 추가해 사용자의 재 구매 의도를 연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360명의 모바일 사용자를 대상으로 변수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자 실증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모바일 콘텐츠의 애플리케이션 시장에 대한 전략적 접근을 용이하게 해줄 것으로 기대하며 모바일콘텐츠의 고객수용과 행위에 대한 통찰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KMS 활용을 통한 지식창조 기제 연구 : 몰입의 관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Knowledge Creation with KMS Usage : Focusing on the Flow Theory)

  • 이지면;박기우;문준서;김종현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8권1호
    • /
    • pp.75-100
    • /
    • 2011
  • For decades, thousands of corporation introduced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to respond knowledge-based society. However, it seems that the systems merely focusing on knowledge accumulation and its sharing have been bounded by many restrictions in terms of new knowledge creation based on the life cycle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Moreover, recently, a variety of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regarding organization, systems, and process is emphasized as a strategic asset for a corporation to create core knowledge. Therefore, this study adopted the Csikszentmihalyi's flow theory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knowledge creation and the success factors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in virtual space. Prior studies argued that flow experience should be a prerequisite for creative knowledge creation. In that vein, this research revealed the causal relationships for flow experience between the determinants of clear goal, immediate feedback, congruence of challenge and skill. Additionally, it empirically examined how flow experience affected the exploratory behavior of knowledge creation.

태권도 경기에서 전자호구 시스템의 사용자 경험, 몰입 및 만족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User Experience, Flow and Satisfaction of Electronic Hogu System in the Taekwondo Game)

  • 김봉경;백우열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4권2호
    • /
    • pp.299-312
    • /
    • 2015
  • 이 연구는 태권도 경기에서 전자호구 시스템을 사용하는 선수들의 관점에서 사용자 경험과 몰입 및 만족의 관계를 파악하는 연구를 통해서 선수들의 경기력을 강화하고 전자호구 시스템을 개발하는 기업의 경영전략 개발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2014년 7월~10월 중 태권도 경기에 참여한 선수들에게 총 750부의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 중 652명의 유효표본을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Ver. 18.0)을 활용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Cronbach's α 계수, 상관분석을 하였고, AMOS 7.0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사용자 경험 중 감각적, 감성적, 인지적, 행동적, 관계적 경험은 인지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용자 경험 중 감각적, 감성적, 관계적 경험은 행위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용자 경험 중 인지적, 행동적 경험은 행위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지적, 행위적 몰입은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국내와 국외 태권도 선수 간 각 요인별 관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스마트폰 기반 증강현실 특성이 프레즌스, 플로우 및 관계지속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ugmented Reality Traits on Presence, Flow, and Relational Continuance Behavior with Smart-Phones)

  • 전태유;박노현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5호
    • /
    • pp.45-52
    • /
    • 2015
  • Purpose - Augmented reality (AR) content used in mobile media today can accommodate a wide variety of contextual information. This indicates that making people experience a sense of presence and flow is a very significant factor in augmented reality content. Flow represents a rich immersion potential as representing the progress of emotion and the means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smart phone. Therefore, users will have friendly relational continuance behavior with products and brands that supply this experience. Based on th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smart phone AR application traits, presence, flow experience, and relational continuance behavior. First, AR application traits are defined as three categories sensory immersion, navigation, and manipulation, based on preceding studies. This study then examines the influence of AR application traits on the presence and flow experience and looks into the relation among presence, flow experience, and relational continuance behavior. This analysis suggests more detailed and concentrated strategic implication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A research model is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 among AR application traits, presence, flow experience, and relational continued behavior. For data collection,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mposed of multi-items for each component and the direct interview method was used for the interviews. To collect the data, after running the smart phone AR applications, the consumer behaviors of the respondents were generally determined. The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for one month, October 2014.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with 278 questionnaires used for analysis, excluding the unanswered and insincere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20.0 and LISREL ver. 8.51. Results - The following results are found: First, AR application traits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presence with sensory immersion, navigation, and manipulation all having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Second, sensory immersion and manipulation among the AR application traits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flow. However, navig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flow. Third, presence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flow and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relational continuance behavior. Moreover, flow also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relational continuance behavior. This behavior tends to be formed since brands want to encourage relational continuance behavior and positive emotions with the brands being used. Relational continuance behavior accompanies repeat purchasing, positive word-of-mouth and recommendation activities, and forms of trust with the brand. Conclusions -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smart phone AR traits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presence, flow, and relational continuance behavior. Based on this, smart phone AR application providers should establish an aggressive marketing strategy to accommodate more realistic problems in order to positively influence user behavior. Additionally, the marketers should make efforts to provide fun or convenience in the AR application operation process of the user.

노인간호 가상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몰입경험, 학습역량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low Experience and Learning Competency on Learning Satisfaction in Gerontological Nursing Virtual Simulation Education)

  • 권영숙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82-192
    • /
    • 2022
  • 본 연구는 가상 시뮬레이션기반 노인간호 실습교육 실시 후 간호대학생의 몰입경험과 학습역량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간호대학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은 2021년 4월 2일부터 5월 7일까지 온라인 설문을 통해 수행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4.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가상 시뮬레이션 교육 후 간호대학생의 학습만족도는 몰입경험(r=.656, p<.001), 학습역량(r=.672, p<.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학습만족도에 가장 영향력이 있는 요인은 학습역량(𝛽=.459, p<.001), 몰입경험(𝛽=.413, p<.001)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60.9%이었다. 그러므로 가상 시뮬레이션 교육 후 학습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실습에 대한 몰입을 촉진하고 개개인의 학습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들을 개발할 것을 제언한다.

The Role of Aesthetic Experience in Fashion Brands' SNS Accounts: Focusing on the Interaction of Narrative Images and Product Placement

  • Min-Sook Park;Yunji Moon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31권4호
    • /
    • pp.448-471
    • /
    • 2021
  • Compared to consumers' focus, in the past, on the functional aspect of fashion products, consumers recently tend to place more importance on their impressive and memorable experiences in purchasing process. As consumer's interest changes from functional aspects to individual experience in purchasing process, fashion brands try to convey the identity of the brand through creating favourable consumers' experiences.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individuals' aesthetic experiences with fashion brands' SNS accounts on their attitudes. More specifically, the study evaluates whether consumers enjoy the flow of fashion brands' SNS accounts and form purchase intentions through their aesthetic experiences and product placement. Through a survey, empirical testing was don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esthetic experience on of flow and purchase intentions. The current study tests the interaction effect among perceived aesthetic experience, narrative images, and product placement employing 2×2×2 MANOVA. The findings herein reveal that the aesthetic experience affects flow and purchase intention, and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aesthetic experience, narrative images, and product placement.

모바일 캐주얼 게임 몰입이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Characteristics of mobile casual games and their effects on flow experience and customer satisfaction, loyalty)

  • 백영석;이호;이동현
    • 지식경영연구
    • /
    • 제16권4호
    • /
    • pp.17-34
    • /
    • 2015
  • 본 연구는 모바일 캐주얼 게임의 이용자가 모바일 캐주얼 게임에 몰입할 때 주로 어떠한 특성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파악하고, 그 결과 이용자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재미, 기술 숙련도, 이용 용이성, 즉시접속성, 도전감을 몰입의 중요 특성으로 선정하였으며, 몰입이 이용자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재미, 이용 용이성, 도전감이 몰입에 영향을 미쳤고, 몰입은 만족도에만 영향을 미쳤으며, 만족도는 충성도에 영향을 미쳤다.

운동몰입의 경험과 내적동기 저하에 관한 고찰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of Flow Experience and Intrinsic Motivation Decrease)

  • 손정민;하민성;이민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1001-1009
    • /
    • 2023
  • 몰입은 내적동기와 관련성이 큰 개념으로 스포츠심리학에서 스포츠 수행에 있어 긍정적인 요소로 여겨진다. 몰입과 중독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들이 선행되었지만, Flow와 Commitment의 개념이 혼동돼 사용되었다. 또한 몰입이 장기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을 통해 몰입의 중독성을 확인하였으며, 기존의 연구들과 다르게 장기적으로 몰입이 내적동기를 저하시킬 수 있다는 새로운 가설을 제시하고자 한다. 적응수준 이론과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의 관점에서는 몰입을 통해 얻는 만족감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어느 시점에서 이러한 개인의 발전은 한계를 느끼게 되며, 몰입을 경험하지 못하는 시점에 도달하게 된다. 하지만 개인은 몰입을 다시 경험하고자 하는 욕구가 존재하므로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다. 그러나 몰입 경험의 실패로 이어질 때 반복적인 실패는 슬픔으로 작용하여 내적동기를 약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몰입의 부정적인 요소와 장기적인 관점에서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들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수상인명구조 교육 참여 대학생들의 목표지향, 몰입경험 및 자아성취감에 관계된 요인 (Relationship of Goal Orientation, Flow Experience and Self-Accomplishment among College Students Receiving Lifeguard Education)

  • 김윤원;문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214-2221
    • /
    • 2011
  • 본 연구는 수상인명구조원 교육 참여 대학생들의 목표지향, 몰입경험 및 자아성취감에 관계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첫째, 수상인명구조원 교육 참여 대학생들의 목표지향 중 과제관여는 인지몰입과 행동몰입에 자아관여는 인지몰입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수상인명구조원 교육 참여 대학생들의 목표지향의 하위변인인 과제관여는 자아성취감의 자아실현, 능력발휘, 능력개발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아관여는 자아실현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수상인명구조원 교육 참여 대학생들의 몰입경험의 하위변인인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은 자아성취감의 자아실현, 능력발휘, 능력개발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수상인명구조원 교육 참여 대학생들의 목표지향은 몰입경험과 자아성취감에는 직접적인 관계, 몰입경험을 매개로 자아성취감에 간접적인 인과적 관계가 있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수상인명구조원 교육을 주관하는 단체에서는 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자발적으로 교육에 참여하는 교육생들에게 양질의 체계적인 실무 훈련 교육을 통해 인명구조에 대한 자신감 및 교육의 효과를 얻을 것으로 사료된다.

수학교육에서 몰입(flow)에 대한 가능성의 탐색 (Understanding Flow in Terms of Perspectives of Mathematics Education)

  • 고상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1-11
    • /
    • 2008
  • 요즘 사회 현상학에선 몰입(flow)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몰입이란 쉽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아주 버겁지도 않은 과제를 극복할 때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황홀한 상태라고 한다. 누구나 몰입경험으로 인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면 여러 교과분야에서도 학생들이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돕고 안내하는 것은 미래에 더욱 능력 있는 문제해결자가 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 될 것이므로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수학교육입장에서 몰입을 이해하고 이를 해석해보아 그 유용성을 인식하고, 또한, 앞으로의 몰입을 구체화할 수 있는 연구의 선행연구로써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