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ral color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1초

인터플로라 세계월드컵대회의 웨딩부케 색채이미지 분석 (Analysis of Color Image Wedding Bouquet in the Interflora World Cup Competition)

  • 여화선;김신원;박시현
    • 화훼연구
    • /
    • 제18권4호
    • /
    • pp.308-314
    • /
    • 2010
  • 화훼디자인 분야에 있어서 색채의 중요성이 부각된 것은 오래 되었지만 전문적인 교육과 표준화 작업은 미흡한 실정이며, 화훼디자인 분야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웨딩부케도 이러한 문제점을 직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터플로라 세계월드컵대회의 출품작 중 웨딩부케의 색채이미지 분석을 통해 화훼디자인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명도와 채도가 높은 색채를 선호하였고, 난색과 한색의 고른 분포가 나타났다. 반면 파란색(Blue)의 사용은 없는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어, 화색(花色) 중 파란색(Blue)을 띠는 식물의 희소성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판단되었다. 색채 배색의 분석 결과 대륙별로 차이점을 보이고 있었다. 유럽의 웨딩부케는 한가지 색에 치중하지 않고 다양한 색채 배색이 나타난 반면, 아시아의 웨딩부케는 빨간색(Red)계열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결과 웨딩부케의 색채이미지스케일은 12개의 대표이미지 중 8개의 이미지에 분포하였고, '맑은, 우아한, 점잖은, 모던한'의 4개의 이미지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영국 화훼 디자이너, 쉐인 코널리와 폴라 프라이크의 색채 분석 (Color Analysis of Floral Designs of Shane Connolly and Paula Pryke, Floral Designers from UK)

  • 임지숙;왕경희;김정민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2호
    • /
    • pp.117-132
    • /
    • 2020
  • 본 연구는 영국 화훼디자이너 Shane Connolly와 Paula Pryke의 작품 60개의 색채 이미지를 분석하여 화훼 공간 연출 장식의 색채 배색의 기초자료가 되어 국내 화훼디자이너들에게 도움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작품의 색채를 가지고 빈도분석, 좌표분석, 이미지분석을 실시한 결과, Shane Connolly는 GY>Y>RP>YR>R>P>G>PB색상순의 빈도로 색채를 사용하며, Paula Pryke는 GY>RP>R>P>YR,Y>G>PB색상순의 빈도로 색채를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색상, 명도, 채도를 좌표 분석 한 결과, Shane Connolly의 작품에서는 Y~GY색상, 명도는 중·고명도 영역에, 채도는 중·고채도 영역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 Paula Pryke의 작품에서는 GY색상과 P~RP색상, 명도는 3.8~9단계에서 폭넓게 보였으며, 채도는 중·고채도 영역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 형용사 이미지스케일의 분포도 분석 결과, Shane Connolly의 작품은 부드러운(soft), 정적인(static) 사이의 형용사영역에, Paula Pryke의 작품은 부드러운(soft), 동적인(active) 사이의 형용사영역에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화예디자인과 색채의 융복합 교육 강의모델 연구 및 개발제안 (Suggestion of Study and Development of Model of Convergent Education Lecture Model of Floral Design and Color)

  • 김유선;김샛별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0호
    • /
    • pp.63-7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융합 및 융합예술교육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융복합교육 강의모델을 연구 및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학 분야인 색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예술 분야인 화예디자인에 접목시켜 실제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융복합 교과과정을 운영하기 위하여 강의모델을 구성하였다. 학습자는 두 분야(화예디자인, 색채)가 융복합된 강의 구성과 이론과 실습을 진행하는 방식에 대해서 만족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 과목을 통하여 다양한 영역을 접할 수 있음에 타 수업과 차별된 강의 구성이라고 느꼈는데 이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학습자 스스로 인지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반면 전공자와 비전공자간의 배경지식, 수준차이가 있어 학습자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지속적인 피드백과 실습난이도의 조정은 계속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화예디자인분야의 발전을 위해서 다양한 학문간의 융합을 통한 교육과정 개발과 교육모델이 구축되어야 한다. 본 연구가 향후 화예디자인교육과정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화병 재료와 절화보존제 처리가 절화 장미와 거베라의 화색, 엽색 화경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se Materials and Floral Preservative on Flower Color and Diameter in Cut Rose and Gerbera)

  • 임영희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1호
    • /
    • pp.59-66
    • /
    • 2011
  • 본 연구는 화병의 재질과 절화보존제 처리 여부가 절화의 화색, 엽색, 그리고 화경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조사하였다. 절화 장미 (Rosa hybrida) 'Aqua'와 'Corvernet' 및 거베라 (Gebera jamesonii) 'Honeymoon'과 'Golden Time'을 수돗물 또는 절화보존제 용액이 들어있는 유리, 자기 및 옹기 화병에 꽂고 화색, 엽색, 최대화경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처리 8일 후 화색에 있어서 장미 'Aqua'의 ${\Delta}E$값은 옹기와 자기화병의 보존제 처리에서 작게 나타났다. 장미 'Covernet'은 옹기화병의 보존제 처리에서 ${\Delta}E$값이 가장 작았고, L값도 처리 직전의 꽃잎 (대조구)과 가장 근접하였다. 거베라 'Honeymoon'의 경우 절화보존제 처리와 옹기화병에 의해 ${\Delta}E$값이 가장 작게 나타났고, a와 b값도 58.81, 34.29로 대조구와 가장 유사하였기 때문에 옹기화병에 꽂은 절화의 화색이 처리 직전의 화색과 유사하였다. 거베라 'Golden Time'의 ${\Delta}E$값은 옹기화병이 자기나 유리화병보다 크게 작았는데, a값은 옹기화병의 보존제 처리에서 -7.81로 가장 근접하였고, b값 역시 옹기화병에서 높게 나타났다. 장미의 엽색에 있어서는 옹기화병의 보존제 처리에서 L, a, b값이 처리 직전의 잎과 가까웠고 ${\Delta}E$값은 옹기화병에서 3.25로 나타나 자기나 유리에 비해 작았다. 화경은 장미 'Covernet'과 거베라 'Golden Time' 모두 옹기의 보존제 처리에서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존용액에 절화보존제를 첨가함으로써 미생물 번식을 감소시켜 절화수명이 연장되어 장미와 거베라의 품질 및 신선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다공질의 옹기 화병을 사용하여 통기성을 증가시키면 화색과 엽색을 좀 더 좋게 하고, 화경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 genetic approach to comprehend the complex and dynamic event of floral development: a review

  • Jatindra Nath Mohanty;Swayamprabha Sahoo;Puspanjali Mishra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20권4호
    • /
    • pp.40.1-40.8
    • /
    • 2022
  • The concepts of phylogeny and floral genetics play a crucial role in understanding the origin and diversification of flowers in angiosperms. Angiosperms evolved a great diversity of ways to display their flowers for reproductive success with variations in floral color, size, shape, scent, arrangements, and flowering time. The various innovations in floral forms and the aggregation of flowers into different kinds of inflorescences have driven new ecological adaptations, speciation, and angiosperm diversification. Evolutionary developmental biology seeks to uncover the developmental and genetic basis underlying morphological diversification. Advances in the developmental genetics of floral display have provided a foundation for insights into the genetic basis of floral and inflorescence evolution. A number of regulatory genes controlling floral and inflorescence development have been identified in model plants such as Arabidopsis thaliana and Antirrhinum majus using forward genetics, and conserved functions of many of these genes across diverse non-model species have been revealed by reverse genetics. Transcription factors are vital elements in systems that play crucial roles in linked gene expression in the evolution and development of flowers. Therefore, we review the sex-linked genes, mostly transcription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omplex and dynamic event of floral development and briefly discuss the sex-linked genes that have been characterized through next-generation sequencing.

천연 잉크로 DTP한 half-linen의 색상 효과 - 한국 고유식물을 모티프로 한 텍스타일 디자인 적용 - (The Color Effect of Half-linen by DTP with Natural Ink - Apply Floral Textile Design with Motif of Korean Endemic Plants -)

  • 심주연;박영미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20-229
    • /
    • 2021
  • This study is aimed to a textile design with a motif of korean endemic plants and a method for printing it in an eco-friendly manner. The floral pattern with the motif of korean endemic plants was designed using Illustrator and Photoshop program. CMYK color, which is the basic color of Digital Textile Printing (DTP), is based on natural dyes, and various colors, achromatic colors and pastel tones are applied. As a result, half-linen and cotton were suitable as a result of designing and applying a floral pattern of a korean special plants. Also,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inting effect by colorway and DTP for each material, it was printed uniformly and the washing fastness was good. However, fastness of color change showed low, indicating that a follow-up study was needed. This study contributes to environmental conservation through eco-friendly printing and the korean endemic plants will be interested in people around the world beyond korea.

Floral Image Make-up에 관한 연구 - 조지아 오키프(Georgia O'Keeffe)의 작품을 중심으로 - (Floral Image Make-up - Centered on Georgia O'Keeffe's Paintings -)

  • 김효숙;강인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97-107
    • /
    • 2005
  • Ed- the file appears to be corrupted, and in many sections (these are highlighted) I cannot read it. I presume it has been copied from another format, maybe Hangul 200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 method of make-up image extraction from specific paintings and also to create cyber make-up models according to the images. For this study, Georgia O'Keeffee's floral paintings were analyzed and their colors were compiled to make color palettes. This study attempted to approach floral image make-up which applies specific paintings through the digital mode in the manner of computer graph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e found romantic images, including feminine, lovely and soft images by Y, GY and RP group colors, in 'Two Calla Lillies on Pink'. Second, we found modem images, including urban, up-to-date and cool images by G, GY and B group colors, in 'Blue and Green Music'. Third, we found sexy images, including brilliant, tempting and daring by R, B and G group colors, in 'Music-Pink and Blue'. To summarize, the images of the painting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make-up models.

색상과 톤에 의한 향 연상 강도 평가 (Degree-of-Association Judgments of Fragrances with Color Hues and Tones)

  • 김유진
    • 감성과학
    • /
    • 제13권3호
    • /
    • pp.559-572
    • /
    • 2010
  • 색은 중요한 시각적 자극 요인으로서 향 연상과 식별에 있어 교차-양상적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는 향의 연상이 색상과 톤에 의해 체계적으로 변화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색과 향의 교차-양상 연상 측면을 좀더 심층적으로 조사하고자 한다. 67명의 피실험자들은 33가지의 색채 자극(10가지 색상, 3가지 톤, 3가지 무채색)에 대한 4가지 전형적인 향수 유형(프레쉬, 플로럴, 오리엔탈, 우디)의 연상 정도를 각각 7점 척도로 평가 하였다. 통계 분석을 통해 4가지 향수의 연상 정도가 색채 자극의 10가지 색상에 따라 차별화된 패턴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오리엔탈 유형을 제외한 나머지 세 가지 향에 있어서, 톤(특히, 밝기)과 향간의 교차-양상 연상관계가 체계적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예를 들어, 플러럴 향과 색의 밝기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임). 밝은 난색일수록 강한 플러럴향이 연상되는 반면, 우디향의 연상 정도는 낮게 나타났다. 선명하거나 밝은 한색일수록 프레쉬향이 강하게 연상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향수제품에 있어 시각과 후각간의 체계적인 공감각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자생식물의 국내 유통 현황 및 화훼 장식 활용 실태 분석 (Analyze the Status of Native Plants in Korea Flower Market and Uses of Floral Decoration)

  • 정유경;김윤진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0호
    • /
    • pp.77-96
    • /
    • 2019
  • 본 연구는 자생식물의 화훼시장 유통 현황 및 화훼 장식에서의 활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화훼시장(2017.01-2017.12)에 판매되는 자생식물 및 월별 판매 현황을 조사했다. 또한, 화훼 잡지 'Fleur'와 'The Flower'에 수록된 작품의 자생식물 사용 현황, 형태별 분류에 따른 활용 빈도, 색채 분석을 수행했다. 화훼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절화 172종 가운데 자생식물은 24종(14.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형태별로는 필러 플라워가 15종으로 다른 형태에 비해 많은 수가 유통되고 있었다. 화훼 잡지 'Fleur'와'The Flower'에 사용된 자생식물은 각각 14종(10.2%)과 17종(9.6%)으로 외래식물에 비해 자생식물의 쓰임이 적음을 알 수 있었다. 형태별로는 두 잡지 모두 필러 플라워의 수가 가장 많았으나 'Fleur'에서는 폼 플라워(299작품), 'The Flower'에서는 매스 플라워(571작품)가 많은 활용 빈도를 나타냈다. 화훼 장식에 사용된 자생식물의 색채 분석 결과 P(보라), PB(남색), RP(자주) 계열이 전체의 57%로 나타났다. 따라서 활용도가 높은 형태인 폼·매스 플라워와 사람들의 선호가 높은 색상의 자생식물을 개발한다면 선호 및 소비 증대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Taxonomic implications of floral morphology in the subfamily Asclepiadoideae (Apocynaceae s.l.) in Korea

  • NAM, Bo-Mi;CHUNG, Gyu Young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72-184
    • /
    • 2018
  • We examined the floral morphology of 15 taxa of five genera (Cynanchum, Marsdenia, Metaplexis, Tylophora, and Vincetoxicum) in Korean Asclepiadoideae using a stereoscopic and scanning electronic microscope to clarify and describe the floral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the corolla and corona types, the types of corona lobes, appendages on the corona lobes, and the apex shape of the style head are considered as diagnostic characteristics at the generic level. The genus Vincetoxicum, which is treated as a synonym of the genus Cynanchum in Korea, is distinguished from Cynanchum by the interstaminal part on the corona, fleshy and mainly triangular or ellipsoid corona lobes, and various corolla colors. In Cynanchum, various corona types have been observed, while Vincetoxicum have similar corona types among the taxa. In addition, the main floral characteristics at the species level were as follows: flowering time, inflorescence, corolla color, trichomes on the corolla surfaces, apex shape of the corona lobe, and trichomes on the ovary. This study presents the taxonomic importance of floral morphology by providing descriptions and diagnostic characteristics among the genera and species investig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