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ggestion of Study and Development of Model of Convergent Education Lecture Model of Floral Design and Color

화예디자인과 색채의 융복합 교육 강의모델 연구 및 개발제안

  • Kim, Yoo Sun (Dept. of Environmental Design and Horticulture, Sahmyook Univ.) ;
  • Kim, Saet Byul (Environmental Green Design Research Institute, Sahmyook Univ.)
  • 김유선 (삼육대학교 환경디자인원예학과) ;
  • 김샛별 (삼육대학교 환경그린디자인)
  • Received : 2019.01.24
  • Accepted : 2019.02.15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In this study, convergence art education which Based on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color, which is a field of science, the lecture model was constructed in order to operate a fusion curriculum which can be practically expressed by applying it to the artistic field of floral design. The learner was satisfied with the composition of the two lectures (floral design, color) and the way of conducting theory and practice. In addition, they felt that was able to access various areas through one subject. This indicates that learners themselves perceive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On the other hand, it is pointed out that the background knowledge level between the majors and the non - majors is different. therefore Continuous feedback and adjustment of the degree of difficulty of the training seems to be necessary to enhance the learner's understanding. In order to develop the floral design,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education model should be built through convergence of various scienc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for the artistic design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융합 및 융합예술교육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융복합교육 강의모델을 연구 및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학 분야인 색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예술 분야인 화예디자인에 접목시켜 실제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융복합 교과과정을 운영하기 위하여 강의모델을 구성하였다. 학습자는 두 분야(화예디자인, 색채)가 융복합된 강의 구성과 이론과 실습을 진행하는 방식에 대해서 만족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 과목을 통하여 다양한 영역을 접할 수 있음에 타 수업과 차별된 강의 구성이라고 느꼈는데 이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학습자 스스로 인지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반면 전공자와 비전공자간의 배경지식, 수준차이가 있어 학습자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지속적인 피드백과 실습난이도의 조정은 계속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화예디자인분야의 발전을 위해서 다양한 학문간의 융합을 통한 교육과정 개발과 교육모델이 구축되어야 한다. 본 연구가 향후 화예디자인교육과정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