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ra, species diversity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024초

길상산 (강화도)의 관속식물상 (The Vascular Plants in Mt. Gilsangsan (Ganghwa-Isl.), Korea)

  • 김중현;김선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80-304
    • /
    • 2013
  • 본 연구는 길상산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을 조사하였다. 2012년 3월부터 11월까지 총 14회에 걸쳐 수행되었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122과 359속 529종 7아종 51변종 2품종 3교잡종으로 총 59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길상산은 식물구계학상 온대중부지역에 속하고 낙엽활엽수와 침엽수의 혼합림으로 산지의 대부분은 소나무-참나무류림이 우점하며 2차림으로 구성된다. 종 다양성이 높은 과는 국화과(11.0%), 화본과(10.7%), 사초과(6.38%), 콩과(3.86%), 장미과(3.52%)였다. 한국 고유종은 각시족도리풀, 외대으아리, 고광나무, 개나리, 늦둥굴레 등 1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IUCN 평가기준에 따른 적색목록의 관속식물은 위기종(EN)인 구상나무, 준위협종(NT)은 산닥나무, 흑삼릉, 관심대상종(LC)에 측백나무, 개쓴풀, 금붓꽃, 미평가종(NE)으로 늦둥굴레가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V등급, VI등급이 각각 2분류군, III등급 9분류군, II등급 3분류군, I등급 29분류군 등 45분류군이 발견되었다. 귀화식물은 64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10.7%로 나타났다. 생태계교란 야생식물에는 애기수영, 가시박, 도깨비가지, 돼지풀, 단풍돼지풀, 미국쑥부쟁이, 서양금혼초, 가시상추 등 8분류군이었다. 또한 생활형조성은 일년생식물(26.5%), 반지중식물(26.0%), 지중식물(14.0%) 등이 높게 나타났다.

침입종 미국실새삼(Cuscuta pentagona Engelm.)의 기주식물 선호도, 기생부위 및 위해가능성 (Host plant preference, parasitic site and risk possibility of Cuscuta pentagona Engelm, invasive plant in Korea)

  • 정영호;이재근;이수인;이승연;장래하;이승혁;조규태;유영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87-296
    • /
    • 2017
  • 이 연구는 완전 기생성 침입종인 미국실새삼(Cuscuta pentagona)의 기주선호도와 기생부위를 야외현장과 기생유도 실험 통하여 확인하여 이들 식물의 기주다양성을 알아보고 잠재적인 위해성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미국실새삼의 기생은 구상나무와 신갈나무와 같은 목본성 식물종(12.1%)의 목질화가 되지 않은 소지나 잎에서도 관찰되었다. 미국실새삼의 기주식물종은 국화과에 속하는 종이 가장 많았고, 과내 차지하는 기주식물종의 비율은 사초과, 마디풀과 그리고 콩과 등의 것에서 높았다. 기생 유도 실험을 통해 미국실새삼은 1종을 제외한 모든 식물에 기생할 수 있음이 확인됨으로써 이 침입식물의 분포의 제한 요인은 분산과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주식물의 감염된 부위는 줄기와 잎 두 곳에서 대부분 나타났고, 드물게 잎이나 줄기에만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 연구로 12개 과의 기숙식물 45종(12개 과의 초본식물 33종과 목본식물 12종)을 새롭게 추가하였다. 그 중에는 조와 같은 농작물뿐만 아니라 멸종위기야생식물 6종에도 기생하였고, 특히 후자의 경우에는 미국실새삼의 기생으로 식물체가 고사까지 당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는 미국실새삼이 잠재적으로 야생식물에게도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라북도 임실군 병아리꽃나무 자생지의 생태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Rhodotypos scandens Habitat in Imsil-gun, Jeollabuk-do, Korea)

  • 박경욱;변무섭;오현경;유주한
    • 환경영향평가
    • /
    • 제24권4호
    • /
    • pp.352-366
    • /
    • 2015
  • 본 연구는 병아리꽃나무 자생지의 식물상, 식생구조 및 토양과 같은 생태적 특성을 조사 및 분석하여 자생지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식물상은 57과 99속 107종 1아종 17변종 6품종 등 총 131분류군이며, 생활형은 교목(MM) 21분류군, 아교목(M) 24분류군, 관목(N) 30분류군, 지표식물(Ch) 6분류군, 반지중식물(H) 20분류군, 지중식물(G) 17분류군, 일년생식물(Th) 12분류군, 수생식물(HH) 1분류군이었다. 군락유형은 느티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참느릅나무군락, 까마귀베개군락, 밤나무군락, 자귀나무군락, 팽나무군락, 아까시나무군락 등 8개이다. 층위별 우점종의 경우 교목층은 느티나무, 갈참나무, 참느릅나무, 밤나무, 자귀나무, 팽나무, 아까시나무, 아교목층은 까마귀베개, 갈참나무, 느티나무, 자귀나무, 참느릅나무, 닥나무, 관목층은 병아리꽃나무로 나타났다. 종다양도 분석 결과, 종다양성지수는 1.691~2.610, 최대종다양성지수는 2.197~3.466, 균재도는 0.646~0.903, 우점도는 0.097~0.354로 나타났다. 토양 분석 결과, 평균 산도는 5.6, 평균 전기전도도 0.5ds/m, 평균 유효인산 59.1mg/kg, 평균 유기물함량 49.7%, 평균 치환성칼륨 $0.4cmol^+/kg$, 평균 치환성칼슘 $13.5cmol^+/kg$, 평균 치환성마그네슘 $3.3cmol^+/kg$으로 분석되었다.

마룡산(406.7m, 울진군)과 대소산(286m, 영덕군) 일원의 관속식물 (Floristic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in the Maryong-san(Mt. 406.7m) and Daeso-san(Mt. 286m) Area)

  • 김영철;채현희;박유철;이선미;남기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38-479
    • /
    • 2021
  • 지역적인 규모에서 식물다양성의 보전을 위해서는 기초적인 정보가 바탕이 된다. 조사의 결과로 나타나는 식물의 종수는 조사의 면적과 조사지역 내에 분포하는 다양한 생육지의 수와 밀접하게 연관된다. 경상북도 울진군의 마룡산과 대소산 일원에서 각각 9회와 6회에 걸쳐 식물자원을 조사하였다. 조사경로에 다양한 생육지가 포함되도록 계획하였다. 조사의 결과로 마룡산 일원에서는 112과 349속 548종 10아종 34변종 2품종 594분류군이 대소산 일원에서는 89과 270속 400종 9아종 25변종 434분류군이 조사되었다. 21개의 생육지로 구분하여 관찰된 식물을 정리하면 계곡주변의 전이대에 분포하는 식물과 건조한 초원에 분포하는 식물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해안에 위치한 전통적인 묘지는 식물의 주요한 분포지로 기능하였다. 2개 지역에서 한국고유종은 19분류군이 조사되었다. 2개 지역에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V등급이 1분류군, IV등급이 11분류군, III등급이 24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총 77분류군이 조사되었고 그중 생태계교란외래식물은 4 분류군이 분포하였다. 마룡산 일원과 대소산 일원에 분포하는 식물에서 나타나는 차이는 먼저 조사지역 내에 분포하는 각각의 생육지 크기 차이에 따른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대소산 일원이 주변의 산지와 연결되어 있지 않고 주거지와 경작지에 둘러싸인 고립된 공간에 해당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Macrofungal Survey of the Tian Shan Mountains, Kyrgyzstan

  • Cho, Sung Eun;Jo, Jong Won;Kim, Nam Kyu;Kwag, Young-Nam;Han, Sang-Kuk;Chang, Kae Sun;Oh, Seung Hwan;Kim, Chang Sun
    • Mycobiology
    • /
    • 제47권4호
    • /
    • pp.378-390
    • /
    • 2019
  • The Tian Shan mountain system is one of the large mountain ranges located in Central Asia. This region is globally recognized as mountain ranges, offering inestimable wealth in fauna and flora with significant biodiversity values. We surveyed macrofungal diversity of Tian Shan in Kyrgyzstan from 2016 to 2018. A collection of macrofungi was made, and these were subjected to sequence comparisons and phylogenetic analysis to ensure the identity of the collected macrofungi. Of those collected, 95 out of 100 specimens were successfully sequenc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related species retrieved from GenBank. The sequenced specimens were classified into 2 phyla, 8 orders, 24 families, 47 genera, and 57 species, based on current taxonomic concepts (combining morphology and phylogeny).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study provides the first well-documented checklist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macrofungi recovered from the Tian Shan mountains in Kyrgyzstan.

소양댐 상류 유역 내 어류상의 시⋅공간 분포와 부유성 퇴적물 영향 (Spatio-temporal Distribution and Suspended Sediment Effects on Fish Flora in the Upper Basin of Soyang-Dam)

  • 유은진;안종호;이문환;전동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29-342
    • /
    • 2023
  • Turbid water and suspended sediment (SS) load are having negative consequences such as water quality degradation and ecological damage, thus necessitating the establishment of management guidelines to reduce their impact. The present work investigates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fish species and the effects of turbid water from 2011-2016 in the upper reaches of Soyang-Dam. The family Cyprinidae is the largest population in the study area, among which Zacco platypus and Zacco koreanus are the dominant species. The diversity of species is relatively abundant in the upper watershed, while the seasonal effect on the population distribution remains unclear. Using two main common components of the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EOF) analysis,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27 species at five survey sites are revealed. Zacco koreanus is found to be predominant at the upstream A-Naerincheon, while Zacco platypus and Rhinogobius brunneus are found to be predominant at the upstream B-Bukcheon. Disturbance of an aquatic ecosystem has a relatively greater impact in the downstream, as-compared to the upper area-the high proportion of forest area is decreased whereas that of agricultural and urbanized areas is increased. The patterns of representative species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mid- to long-term effects of turbid water and SS. Accordingly,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S load and fish distribution EOF analysis indicates that it should be considered as a potential alternative that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impact assessment on turbid water to the Fish Assessment Index (FAI). A comprehensive study examining the long-term effects of SS load to the fish ecosystems with a systematic statistical analysis of sufficiently accumulated data at the national level is needed as future research.

함평만 갯벌 저서규조류의 다양성과 생물량 (Diversity and Biomass of Benthic Diatoms in Hampyeong Bay Tidal Flats)

  • 이학영
    • 환경생물
    • /
    • 제31권4호
    • /
    • pp.295-301
    • /
    • 2013
  • 함평만 갯벌에서 2005년부터 2013년까지의 조사를 통해 동정된 저서규조류 중 가장 우점도가 높은 종은 Paralia sulcata였으며 연간 40종에서 77종의 범위로 동정되었다. 조사가 이루어진 8년 동안 출현종의 분석에서 완만하지만 지속적으로 다양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조사시기에 따른 출현종 분포에서는 전 지점에서 5월과 7월에 비교적 다양했고 3월에 종조성이 가장 단순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층 퇴적물의 연 평균 엽록소 a 농도는 21~65 mg $m^{-2}$이었으며 2006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다가 2011년에는 세 지점 모두에서 일시 증가한 후 다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 분포에서는 봄철에 가장 높고 여름에서 가을로 접어드는 시점에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면적당 출현 개체수도 세 지점 모두에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생물량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온도에 따른 저서규조류 출현종수 $Y=-0.0208X^2+0.5264X+19.529(r^2=0.0269)$의 식으로 표현되어 최고의 종 다양도는 $15^{\circ}C$에서 23.1종인 것으로 나타났고, 저서규조류 생물량 $Y=-0.9181X^2+27.011X+310.07(r^2=0.0797)$의 식으로 표현되어 최고의 생물량은 $15^{\circ}C$에서 502.38 ${\mu}m^3cm^{-2}$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포늪 물억새 (Miscanthus sacchariflorus) 군락에서 생장초기에 잘라주기와 태워주기에 따른 성장변화 (The Evaluation of Early Growth Pattern of Miscanthus sacchariflorus after Cutting and Burning in the Woopo Wetland)

  • 김구연;이찬우;주기재
    • 생태와환경
    • /
    • 제37권2호통권107호
    • /
    • pp.255-262
    • /
    • 2004
  • 물억새 (Miscanthus sacchariflorus)군락의 성장에서 잘라주기, 태워주기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우포늪에서 실험을 하였다. 2003년 4월에 반복구 (5 ${\times}$ 5 m)를 대조구, 태운지역, 자른지역에 설치하여 2003년 8월까지 성장을 조사하였다. 각 처리군내에서 식물의 종 수는 대조구 7과 8종, 잘라주기 6과 8종, 태워주기 14과 18종으로 태워주기를 한 군락에서 식물 종 다양성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7월 이후는 식물 종수가 급격히 줄어들어 비슷해졌다. 태워주기를 한 군락에서는 덩굴성 식물인 환삼덩굴이 우점하였다. 5월 초 식물체의 초기발아는 태워주기를 한 지역에서 평균 176 /$m^2$개체로 대조구와 잘라주기를 한 지역에 비해 2배 이상의 높은 밀도를 보였다. 생장이 거의 다 이루어진 8월에는 잘라주기 (170 ${\pm}\;7/m^2$)를 한 지역이 태워주기 (141 ${\pm}\;9/m^2$)를 한 지역보다 생장이 양호하였다. 최종 길이성장은 잘라주기 205 ${\pm}$ 15,태워주기 196 ${\pm}$ 17, 대조구 187 ${\pm}$ 6 cm순으로 나타났다. 물억새군락 지상부의 현존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잘라주기를 실시한 군락에서 약 1.6배, 태워주기 처리를 한 군락에서 약 1.4배로 지상부제거가 유의수준 5% 이내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기 생장기에 물억새를 태워주기보다는 잘라주었을 때 식물체의 발아와 초고, 지상부의 현존량이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덕세산(인제, 강원) 일대의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Deoksesan Mt. and its adjacent areas (Inje, Gangwon))

  • 김경아;고아름;이윤순;천경식;유기억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47-165
    • /
    • 2021
  • 강원도 인제군에 위치한 덕세산 일대의 관속식물상을 2018년 4월부터 2020년 7월까지 총 10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그 결과 확인된 관속식물은 90과 287속 404종 13아종 35변종 5품종의 총 457분류군이었다. 이 중 한국특산식물은 12종류였고, 희귀식물은 7분류군, 적색목록식물은 3분류군, 그리고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은 103분류군이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총 83종류로 IV등급 8분류군, III등급 26분류군, II등급 21분류군, 그리고 I등급에 28분류군이 포함되어 있었다.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은 14분류군이었고, 덕세산이 북방한계인 식물은 4분류군, 외래식물은 29분류군, 그리고 생태계교란야생종은 4종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보전이 필요한 주요 종들을 제시하였으며, 덕세산의 식물 다양성 및 분포 변화 연구 등의 자원 보존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Adding to the freshwater red algal diversity in North America: Lympha mucosa gen. et sp. nov. (Batrachospermales, Rhodophyta)

  • Evans, Joshua R.;Chapuis, Iara S.;Vis, Morgan L.
    • ALGAE
    • /
    • 제32권3호
    • /
    • pp.171-179
    • /
    • 2017
  • The strictly freshwater red algal order Batrachospermales has undergone numerous taxonomic rearrangements in the recent past to rectify the paraphyly of its largest genus Batrachospermum. These systematic investigations have led to the description of new genera and species as well as re-circumscription of some taxa. Specimens collected from two locations in the southeastern USA were initially identified as being allied to Batrachospermum sensu lato, but could not be assigned to any recognized species. Representative rbcL (plastid) and COI-5P (mitochondrion) sequences showed these specimens to be similar to each other and not closely matching the previously published sequence data for other Batrachospermum taxa. Comparison of sequence variation and morphology with a broader range of batrachospermalean taxa resulted in the proposal of a new monotypic genus Lympha mucosa gen. et sp. nov. to accommodate these specimens. Lympha mucosa is sister to members of a newly described genus Volatus, but the two genera are easily distinguished based on straight versus curved, twisted or spirally coiled carpogonial branch, respectively. This new taxon has morphological similarities to Batrachospermum sections Turfosa and Virescentia, but can be differentiated based on genetic divergence in rbcL and COI-5P as well as a combination of morphological characters: dense, compressed whorls, axial carposporophytes with a single type of gonimoblast filament; cortication of the main axis closely appressed; and short, straight carpogonial branch arising from the pericentral cell and carpogonia with unstalked, lanceolate trichogynes. This new taxon adds to the freshwater red algal diversity of the southeastern USA, a region already known for biodiversity and high endemism of the aquatic flora and fauna. It is also a relevant new addition to the taxonomic knowledge of the freshwater red algal Batrachosperma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