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control time

검색결과 356건 처리시간 0.028초

Task-specific Noise Exposure Assessment of Firefighters

  • Kang, Taesun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569-576
    • /
    • 2019
  • Objectiv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firefighters' daily personal noise exposure and explore noise levels related to specific tasks and their contributions to total noise exposure using 24-hour full-shift noise exposure measurements with task-based data. Methods: Noise exposure was assessed for eight firefighters (two rescuers, two drivers, and four suppressors) using time-activity diaries. We collected a total of 24 full-shift personal noise sample sets (three samples per a firefighter). The 24-hour shift-adjusted daily personal noise exposure level (Lep,d), eight weekly personal noise exposures (Leq,w), and 40 task-specific Leq values (Leq activity) were calculated via the ISO/NIOSH method. Results: The firefighter noise-sample datasets showed that most firefighters are exposed to noise levels above EU recommended levels at a low-action value. The highest noise exposure was for rescuers, followed by drivers and suppressors. Noise measurements with time-at-task information revealed that 82.3% of noise exposure occurred when checking equipment and responding to fire or emergency calls. Conclus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firefighters are at risk of noise-induced hearing loss. Therefore, efforts at noise-control are necessary for their protection. This task-specific noise exposure assessment also shows that protective measures should be focused on certain tasks, such as checking and testing equipment.

비상구 불법행위 신고포상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 of the Report and Reward System on an Illegal Behavior of the Emergency Exit)

  • 김명식;이태식;조원철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49-59
    • /
    • 2012
  • 비상구의 안전관리는 유사시 인명피해와 직결되는 것으로 소방관서의 일방적인 단속위주의 업무처리에는 그 한계가 있고, 시민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 속에서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비상구 불법행위 신고포상 제도가 2010년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나, 포상금 지급에 따른 전문신고자의 집중적인 활동으로 제도의 목표와 방향에 부적합한 운영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0년~2011년 동안 전국 16개 시도와 서울특별시의 운영결과 분석을 통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신고대상을 다중이용업소와 일정규모이상의 대형다중이용시설로 조정하고, 경미한 위반사항의 경우 동일인의 신고 건수를 연 5회 이내로 제한하고, 과태료 수입을 비상구관련 재해예방활동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신고인의 신고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신고 전에 위법여부의 확인이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고, 신고인을 대상으로 안전교육실시와 시기별 취약 업종에 대한 안내로 사전예찰활동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셋째, 피 신고시설에 대한 지원방안을 강구하여 동일 대상에 반복적 신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신고활동을 자원봉사시스템과 연계하여 봉사시간으로 인정하여 신고자가 방재자원봉사자로 활동할 수 있도록 한다.

배 화상병 종합적 방제를 위한 Maryblyt 활용 방안 연구 (A Maryblyt Study to Apply Integrated Control of Fire Blight of Pears in Korea)

  • 남궁경봉;윤성철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05-317
    • /
    • 2022
  • 배 화상병의 성공적 방제를 위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우리나라 중부지방의 주요 발병지와 남부지방의 미발병 주산지 주요지점 25곳에 대한 Maryblyt를 구동하여 꽃감염 위험도를 조사하였다. 최근 5년 중 2019년과 2022년 개화기간 중 꽃감염 위험도가 가장 높았다. 한편, 개화기간 중 최적의 꽃감염 방제 처리는 High 경보 다음날에 방제하고, 강우예보를 발령한 전날 방제하는 처리가 배 꽃감염을 낮추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월동 궤양으로부터 활성화된 궤양이 병징을 보일 것으로 Maryblyt가 예측한 날은 대략 중부지방 기준 5월 중순이었는데 이때부터 현장에서 궤양 모니터링을 개시하도록 권장하였다. 천안, 이천, 상주, 나주 등 4곳의 배 과수원에 설치한 영상자료로부터 배 개화기간을 이론적으로 계산한 값과 실제 관측한 값의 차이점을 비교한 결과 남부지방은 이론치나 실측치보다 늘 빠르게 개화를 예측하므로 재조정이 필요하였다. 향후 현장 관리자와 농민들로부터 과원에서 관측한 기상, 기주인 과수, 병징 출현일 등의 정보들이 축적된다면 발병 예측 모델은 현재보다 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물 석고를 이용한 산불피해 지역 토양유실 방지 (Effect of By-product Gypsum on Soil Erosion at Burned Forest Land)

  • 김계훈;정창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52-59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effect of by-product gypsum on reducing soil erosion at the sloping burned area at Sampo-ri, Gosung-gun in Kangwon-province during the period between June 28 and Sept. 30, 2000. Four experimental plots ($1.2m{\times}10m$) were prepared at the study area with slopes $15^{\circ}{\sim}18^{\circ}$ where forest fire took place twice during last 4 years. Phosphogypsum (PG) was applied to the soils of the 4 plots at the rates of 0 (control), 5, 7.5, and 10 ton/ha, respectively. Amount of rainfall, runoff, and soil loss were measured 7 times during the study. In the beginning, the amounts of runoff and soil loss from the PG treated plots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from the control plot due to steepness of the plots.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amount of runoff and soil loss from the PG treated plots and those from the control became apparent over time. The effect of PG treatment lasted until at least 870 mm of rainfall. Compared to the cumulative runoff from the control plot, the cumulative runoff from the plots treated with 5, 7.5, and 10 ton/ha PG decreased 7%, 31 %, and 35%, respectively. The cumulative soil loss from the plots treated with 5, 7.5, and 10 ton/ha PG decreased 44%, 53%, and 77% compared to that from the control plot. Strong acidity of PG (pH 2.0~2.5) did not affect the acidity of the soil and runoff.

  • PDF

방염제의 도포량과 침지시간 차이에 따른 목재제품의 방염성능 (Flame Retardancy of Wood Products by Spreading Concentration and Impregnation Time of Flame Retardant)

  • PARK, Sohyun;HAN, Yeonjung;SON, Dong Wo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4호
    • /
    • pp.417-430
    • /
    • 2020
  • 4종의 판상형 목재제품의 방염제 도포량과 침지시간에 따른 방염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소방청의 방염성능기준에 따라 목재제품의 탄화길이와 탄화면적을 측정하였다. 잣나무 합판, 낙엽송 합판, 편백 판재, 타공처리된 자작나무 합판에 자체 개발된 방염제를 각각 300, 500 g/㎡씩 도포하고 방염처리되지 않은 시험편과 비교하였다. 일반적으로 방염제의 도포량이 증가함에 따라 탄화길이와 탄화면적이 감소하여 방염성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낙엽송 합판을 제외하고 탄화길이와 탄화면적의 감소량이 크지 않았다. 타공처리된 자작나무 합판의 침지시간에 따른 방염성능은 60분의 침지시간까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그 이후 점차 완만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방염제의 도포량과 침지시간에 따른 목재제품의 방염성능은 추후 방염성능 기준에 맞는 불연·준불연 목재의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터널굴착에서 다단식 발파기에 의한 전단면 발파의 적용성 연구 (Application of Full-Face Round by Sequential Blasting Machine in Tunnel Excavation)

  • 조영동;이상은;임한욱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4권2호
    • /
    • pp.132-143
    • /
    • 1994
  • Many methods and techniques to reduce ground vibrations are well known. Some of them are to adopt electric millisecond detonators with a sequential blasting machine or an initiating system with an adequate number of delay intervals. The types of electric detonators manufactured in korea include instantaneous, decisecond and millisecond delays but numbers of delay intervals are only limited from No.1 to No.20 respectively. It is not sufficient to control accurately millisecond time with these detonators in tunnel excavation. Sequential fire time refers to adding an external time delay to a detonators norminal firing time to obtain sequential initiation and it is determined by sequential timer setting. To reduce the vibration level, sequential blasting machine(S.B.M) with decisecond detonators was adopted. A total of 134 blasts was recorede at various sites. Blast-to-structure distances ranged from 20.3 to 42.0 meter, where charge weight varied from 0.24 to 0.75 kg per dela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1. The effects of sequential blasting machine on the vibration level are discussed. The vibration level by S.B.M are decreased approximately 14.38~18.05% compare to level of conventional blasting and cycle time per round can be saved. 2. The empirical equations of particle velocity were obtained in S.B.M and conventional blasting. V=K(D/W1/3)-n, where the values for n and k are estimated to be 1.665 to 1.710 and 93.59 to 137 respectively. 3. The growth of cracks due to vibrations are found but the level fall to within allowable value.

  • PDF

엘리베이터 승강로 형식별 압력변동에 관한 실험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ressure Change in the Type of Elevator Hoistways)

  • 김학중;김범규;박용환;임채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139-144
    • /
    • 2010
  • 최근 건축물이 대형화, 복잡화되면서 건축물내 거주자의 피난안전성이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주상복합건물을 비롯하여 다양한 초고층 건물이 건설되고 있거나 건설예정이다. 초고층건물의 경우 화재 발생 시 계단을 통한 피난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특히, 장애인의 경우 계단을 통한 피난 자체가 불가능할 수 있다. 이에 거주자의 피난에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엘리베이터를 피난에 이용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가 연기에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엘리베이터 승강로 형식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 시 승강로 내의 압력변동을 실험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엘리베이터 피스톤 효과에 대한 연구의 기초 데이터로 활용 가능하다. 실험은 4가지 형태의 엘리베이터 승강로에서 수행하였으며 엘리베이터 승강로 형식별로 압력변동폭이 크게 차이가 났다. 실험 결과 1개의 승강로에 1대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운행되는 형태의 승강로에서의 압력변동이 가장 크고 1개의 승강로에 다수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운행되는 형태의 승강로에서의 압력변동은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나타내었다.

콘크리트 환경과 고온의 복합환경이 FRP 보강근의 계면전단성능에 미치는 영향 (The Combined Effect of Concrete Environment and High Temperature on Interlaminar Shear Strength of FRP Reinforcement)

  • 문도영;오홍섭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749-756
    • /
    • 2011
  • FRP 보강근의 화재 노출시 내구성능에 대한 연구들은 고온 노출이 인장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러나, 신설 구조물에 삽입된 FRP 보강근은 먼저 콘크리트 내에서 습윤환경 및 알칼리에 의한 성능저하가 발생하며, 이와 같은 FRP 보강 콘크리트 구조물에 화재가 발생하면, 보강근은 고온에 노출된다. 그러므로 화재에 의해 손상 받은 FRP 보강근의 평가시에는 콘크리트 환경과 고온에 의한 영향을 동시에 고려하여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장기간동안 용액에 노출된 FRP 보강근에 $60^{\circ}C$, $100^{\circ}C$, $150^{\circ}C$$300^{\circ}C$의 온도를 가하고, 계면전단강도를 측정, 비교 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환경과 고온의 복합영향이 FRP 보강근의 역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환경만의 영향 또는 고온만의 영향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 RISC 프로세서를 이용한 항공전자시스템컴퓨터 병렬처리기법 연구 (A study on the parallel processing of the avionic system computer using multi RISC processors)

  • 이재억;이성수;김영택;양승열;김봉규;황상현;박덕배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0권7호
    • /
    • pp.144-149
    • /
    • 2002
  • 본 논문은 항공전자 시스템 통제와 항법 및 사격통제, 커시브 및 라스터 그래픽 심볼 생성 둥의 기능이 통합된 항공전자시스템컴퓨터(ASC) 개발을 위한 실시간 다중 프로세서 병렬처리 기법을 제안한다. 4개의 32비트 RISC 프로세서간 논리적 계층구조는 마스터-슬레이브 다중 처리방식의 비대칭 구조를 가지며, Interaction 정도는 시분할 공통 시스템 버스와 공유 메모리 등을 활용한 밀 결합 방식을 채택하고, 효율적인 버스 중재방식을 고안하여 최적성능을 구현하였다. 일련의 비행시험을 통해 개발된 ASC를 검증하였으며, 전기적 시험과 환경 및 전자기 간섭 등 관련시험 또한 수행하였다.

Environment Adaptive Emergency Evacuation Route GUIDE through Digital Signage Systems

  • Lee, Dongwoo;Kim, Daehyun;Lee, Junghoon;Lee, Seungyoun;Hwang, Hyunsuk;Mariappan, Vinayagam;Lee, Minwoo;Cha, Jaes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5권1호
    • /
    • pp.90-97
    • /
    • 2017
  • Nowadays, the most of commercial buildings are build-out with complex architecture and decorated with more complicated interiors of buildings so establishing intelligible escape routes becomes an important case of fire or other emergency in a limited time. The commercial buildings are already equipped with multiple exit signs and these exit signs may create confusion and leads the people into different directions under emergency. This can jeopardize the emergency situation into a chaotic state, especially in a complex layout buildings. There are many research focused on implementing different approached to improve the exit sign system with better visual navigating effects, such as the use of laser beams, the combination of audio and video cues, etc. However the digital signage system based emergency exit sign management is one of the best solution to guide people under emergency situations to escape. This research paper, propose an intelligent evacuation route GUIDE that uses the combination centralized Wireless Sensor Networks (WSN) and digital signage for people safety and avoids dangers from emergency conditions. This proposed system applies WSN to detect the environment condition in the building and uses an evacuation algorithm to estimate the safe route to escape using the sensor information and then activates the signage system to display the safe evacuation route instruction GUIDE according to the location the signage system is installed. This paper presented the prototype of the proposed signage system and execution time to find the route with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e proposed system provides a natural intelligent evacuation route interface for self or remote operation in facility management to efficiently GUIDE people to the safe exit under emergency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