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ber type composition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34초

Association Analysis of Myosin Heavy-chain Genes mRNA Transcription with the Corresponding Proteins Expression of Longissimus Muscle in Growing Pigs

  • Men, X.M.;Deng, B.;Tao, X.;Qi, K.K.;Xu, Zi We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4호
    • /
    • pp.457-463
    • /
    • 2016
  • The goal of this work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between MyHC mRNA transcription and their corresponding protein expressions in porcine longissimus muscle (LM) during postnatal growth of pigs. Five DLY ($Duroc{\times}Landrace{\times}Yorkshire$) crossbred pigs were selected, slaughtered and sampled at postnatal 7, 30, 60, 120, and 180 days, respectively. Each muscle was subjected to quantity MyHCs protein contents through an indirect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to quantity myosin heavy-chains (MyHCs) mRNA abundances using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We calculated the proportion (%) of each MyHC to total of four MyHC for two levels, respectively. Moreover, the activities of several key energy metabolism enzymes were determined in LM. The result showed that mRNA transcription and protein expression of MyHC I, IIa, IIx and IIb in LM all presented some obvious changes with postnatal aging of pigs, especially at the early stage after birth, and their mRNA transcriptions were easy to be influenced than their protein expressions. The relative proportion of each MyHC mRNA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that of its corresponding protein (p<0.01), and MyHC I mRNA propor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reatine kinase (CK), succinate dehydrogenase (SDH), malate dehydrogenase (MDH) activities (p<0.05). These data suggested that MyHC mRNA transcription can be used to reflect MyHC expression, metabolism property and adaptive plasticity of porcine skeletal muscles, and MyHC mRNA composition could be a molecular index reflecting muscle fiber type characteristics.

상온보존팩과 냉장보존팩의 배합비율에 따른 재활용 특성 평가 (Evaluation of Recyclability at Varied Blending Ratios of Gable Top and Aseptic Brick Carton)

  • 서진호;이태주;이동진;이명구;류정용
    • 펄프종이기술
    • /
    • 제47권6호
    • /
    • pp.123-129
    • /
    • 2015
  • There are two kinds of cartons for beverage packaging, one is aseptic brick (AB) type and the other is gable top (GT). In this study, AB and GT were used as a raw material of recycled paper to investigate the recyclability at their varied blending ratios. Fiber consistency at pulping decreased as the blending ratio of AB increased. As a result, a lot of fines were generated from AB and flakes from GT increased because shear force in pulper decreased. Bulk of handsheets was more than $2.0cm^3/g$, and ISO brightness decreased as the blending ratio of AB increased. The best condition to recycle beverage cartons is to discriminate each cartons separately because of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However, there are problems such as the limit of the collection system and social costs.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the blending ratios of AB should be adjusted at less than 20% for effective recycling of beverage cartons.

폐자동차 차피파쇄잔류물의 組咸에 대한 分析評價硏究 (Evaluation and Analysis of Composition of Shredder Residue from End-of-life Vehicle)

  • 오종기;이화영;김성규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0권4호
    • /
    • pp.34-41
    • /
    • 2001
  • 현재 전량매립 처분되고 있는 차피파쇄잔류물(shredder residue)의 연료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분석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차피파쇄잔류물을 입도별 및 재질별 선별작업을 통해 분류하고 이들 시료에 대한 Cl, S, 회분 및 발열량에 대한 화학분석을 실시하였다. 플라스틱에 함유된 PVC의 영향으로 대상시료 3종류 중 1 종류만을 제외하고는 시료의 평균 Cl 함량은 모두 4wt%를 상회하였다 반면, S 함량은 0.25∼0.39wt%로써 비교적 낮았다. 발열량의 경우 플라스틱이 10,000kcal/kg 이상으로 가장 높았으며, 나무/종이 및 섬유류가 4,000 kcal/kg 정도로써 가장 낮게 나타났다. 차피파쇄잔류물 중의 금속성분은 Fe 가 6∼8.5 wt%인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미량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유독성 중금속인 Hg와 Cr(VI)은 검출이 되지 않았고, Cd은 0.0004∼0.0009wt%로 극미량이 검출되었다.

  • PDF

젊은 성인층의 단독가구와 다인가구에서 고령호발질환유발 위험요인 비교 연구 - 2016~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활용 - (Comparison of Risk Factors for Inducing Aging-Related Diseases according to Single and Multi-Person Households among Young Adults using the 2016-201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 박은빈;이주연;김명철;박항식;백진경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72-380
    • /
    • 2021
  • In this study, data from the 7th (2016~2018) and 8th (201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were used, which included 5,325 subjects. Health behavior, dietary and nutrient intake status, physical measurement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for elderly related chronic disease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changing composition of single households and other households in the current society. As a result, the ratio of current smokers and drinkers in young adult single households, walking less than 30 minutes per day,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poor, breakfast rate less than three times per week, eating out frequency more than once a day, lipid intake ratio to total calories, saturation fatty acid intak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ddition, waist circumference,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significantly higher. However, dietary fiber intake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The results for hypertension, which is the representative chronic disease that causes old age-related chronic diseas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ingle households (ORs=1.400 (95% CI: 1.095, 1.791), p=0.007). Although young adults may not have showed particularly serious health problems yet, education is believed as important to recognize and prevent age-related disease risk factors.

Ginsenoside Rg1 augments oxidative metabolism and anabolic response of skeletal muscle in mice

  • Jeong, Hyeon-Ju;So, Hyun-Kyung;Jo, Ayoung;Kim, Hye-Been;Lee, Sang-Jin;Bae, Gyu-Un;Kang, Jong-Su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3권3호
    • /
    • pp.475-481
    • /
    • 2019
  • Background: The ginsenoside Rg1 has been shown to exert various pharmacological activities with health benefits. Previously, we have reported that Rg1 promoted myogenic differentiation and myotube growth in C2C12 myoblasts. In this study, the in vivo effect of Rg1 on fiber-type composition and oxidative metabolism in skeletal muscle was examined. Methods: To examine the effect of Rg1 on skeletal muscle, 3-month-old mice were treated with Rg1 for 5 weeks. To assess muscle strength, grip strength tests were performed, and the lower hind limb muscles were harvested, followed by various detailed analysis, such as histological staining, immunoblotting, immunostaining, and real-time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In addition, to verify the in vivo data, primary myoblasts isolated from mice were treated with Rg1, and the Rg1 effect on myotube growth was examined by immunoblotting and immunostaining analysis. Results: Rg1 treatment increased the expression of myosin heavy chain isoforms characteristic for both oxidative and glycolytic muscle fibers; increased myofiber sizes were accompanied by enhanced muscle strength. Rg1 treatment also enhanced oxidative muscle metabolism with elevated oxidative phosphorylation proteins. Furthermore, Rg1-treated muscles exhibited increased levels of anabolic S6 kinase signaling. Conclusion: Rg1 improves muscle functionality via enhancing muscle gene expression and oxidative muscle metabolism in mic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intake, body measurements, and urinary bone resorption markers in young adults with osteopenia and osteoporosis: a cross-sectional study

  • Mi-Hyun Kim;Mi-Kyeong Choi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82-292
    • /
    • 2023
  • Objectives: Bone health in early adulthood, as individuals approach peak bone mass, plays a critical role in preventing osteoporosis later in lif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between lifestyle and dietary factor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urinary bone resorption markers in young adults.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with 100 healthy Korean adults (50 men and 50 women) in their 20s and early 30s. Bone mineral density (BM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dietary intake (24-hour recall), and urinary bone resorption indicators (deoxypyridinoline and N-terminal telopeptide of type I collagen) were analyzed. Variables were compared between the osteopenia and osteoporosis groups (OSTEO group: 30% men and 60% women) and the healthy control group. Results: Men in the OSTEO group were significantly tall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P < 0.05). Women in the OSTEO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body weight and body composition (muscle and body fat)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P < 0.01). Men in the OSTEO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intake of animal calcium (Ca)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P < 0.05). Women in the OSTEO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dietary fiber, vitamin A, Ca, plant Ca, and potassium intake than did those in the normal group (P < 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ffeinated beverage consumption, eating habits, or urinary bone resorption indicators between the OSTEO and control groups of either sex. Conclusions: In our study of young South Korean adults, we observed low bone density levels, with particularly low BMD in taller men and underweight women. We found a higher nutrient intake in the OSTEO group, indicating the possibility of reverse causality, a phenomenon often found in cross-sectional studie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further elucidate dietary factors related to osteoporosis in young adults through prospective cohort studies involving a larger population.

가열처리(加熱處理)에 따른 구기자(枸杞子) 추출물(抽出物)의 성분변화(成分變化) (Changes of chemical constituents in extract of Lycii fructus by various heat treatment)

  • 이상덕;이미현;손현주;복진영;성창근;김찬조;오만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4호
    • /
    • pp.268-273
    • /
    • 1996
  • 구기자 음료의 풍미 개선을 위하여 구기자를 가열 및 볶음 처리하여 추출물을 제조하고, 추출물의 성분, 색도, 향기성분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건조구기자의 성분은 수분 21.8%, 전당 27.6%, 환원당 15.2% 조단백질 14.3% 조지방 5.7%, 조섬유 7.5%, 회분 8.0% 이었다. 2. 추출물의 고형물을 기준으로 추출수율은 건조 구기자와 용매비를 높임에 따라 증가하였다. 3. 건조구기자 추출물 제조에 있어 고형물은 물추출이 가장 높았고, ethanol의 농도를 높임에 따라 감소하였다. 4. 구기자는 $140^{\circ}C$에서 8분간 볶음처리하고 $120^{\circ}C$에서 1시간 가열 처리 하였을 때 수율, 색도 등에 있어서 가장 양호 하였다. 5. 생구기자의 향기성분은 hexadecanoic acid, methyl linoleate, benzyl alcohol, dimethal benzene 이었으며 가열 및 볶음처리에 의하여 2-methyl-2-butenal, 1.4-dimethyl-benzene, benzyl alcohol 등은 감소 하였고 methyl thiopropanol, benzene acetaldehyde, ethyl linoleate는 증가 하였다.

  • PDF

제주지역 표고 200 m에서 혼합조합별 초지 생산성 및 식생구성 (Effect of Pasture Mixtures on Forage Yields and Botanical Composition in Jeju at Altitude of 200 m)

  • 채현석;김남영;우제훈;박설화;손준규;백광수;이왕식;김시현;황경준;김영진;박남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25-332
    • /
    • 2016
  • 본 연구는 말 방목용으로 적합한 남방형 및 북방형목초를 선발하기 위하여 북방형과 남방형목초를 혼합하거나 북방형목초만을 파종하였고 또한 말의 목초 섭취 특성을 고려하여 북방형목초는 상번초와 하번초로 구별하여 처리를 나누었다. 북방형목초는 하번초인 캔터기블루그라스(Kentucky bluegrass)와 레드톱(redtop), 상번초인 오차드그라스(orchard grass), 톨 페스큐 (tall fescue)를 공시하였다. 남방형목초로는 하번초인 버뮤다그라스를 공시하였다. 남방형 및 북방형 혼합 파종으로 처리 1에서는 하번초위로 구성하여 버뮤다그라스에 캔터키부루그라스 + 레드톱을 혼파하였고, 처리 2는 버뮤다그라스에 상번초인 톨 페스큐+ 오차드그라스를 혼파하였다. 처리 3은 하번초 위주의 북방형목초 캔터키부루그라스+ 레드톱을 혼합 파종하였다. 처리 4는 상번초인톨 페스큐와 오차드그라스를 혼합 파종하였다. 표고 200 m에서는 한해와 도복 피해는 없었다. 초장은 평균적으로는 처리 1이 53.9 cm, 처리 2가 58.2 cm, 처리 3이 57.5 cm, 처리 4가 78.1 cm으로 남방형 및 북방형목초 혼합구 보다는 북방형목초구에서 초장이 더 컸으며 특히 북방형목초 중상번초로 구성된 처리 4의 초장이 가장 컸다. 건물 수량은 처리 1이 12,412 kg, 처리 2가 12,077 kg, 처리 3이 14,884 kg, 처리 4가 16,496 kg으로 남방형 및 북방형목초 혼합구보다는 북방형목초구에서 더 높은 수량을 나타내었고 특히 상번초인 처리 4가 가장 많았다. 식생분포는 1차 조사에서 는 처리 1과 처리 2에서 버뮤다그라스가 70%, 66.7%으로 버뮤다그라스가 우점이 되어 켄터키 블루그라스, 레드톱, 톨 페스큐, 오차드그라스의 생육이 전체적으로 저조하였다. 2차 조사에서는 처리 1에서 버뮤다그라스가 80.0%으로 버뮤다그라스 우점 현상이 더욱 심하여졌다. 조단백질과, NDF, ADF, TDN을 고려했을 때 켄터키블루그라스와 레드톱이 들어간 처리구가 사료가치가 우수하였고 톨 페스큐와 오차드그라스가 들어간 처리구가 상대적으로 좋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난방형목초인 버뮤다그라스를 혼합하였을 때는 중간 정도의 성적을 나타내었다. 이상을 종합해볼 때 말 방목에 적합한 방법은 남방형목초와 북방형목초를 혼파하였을 때는 남방형목초가 우점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북방형목초의 생육을 방해하므로 남방형 및 북방형목초의 혼파를 피하고 서로 포장을 분리해서 한쪽은 남방형목초를 파종하고 다른쪽은 북방형목초를 파종해서 말을 윤환방목 시키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남녀 대학생의 영양소 섭취 상태와 체성분 조성의 상관관계 (A Study on Correlations between Dietary Nutrients and Body Composition of College Students)

  • 정희정;장경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1378-1384
    • /
    • 2006
  • 영양소 섭취와 체성분 조성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식이섭취 설문조사와 신체계측 및 체성분 조성을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 중 남대생의 73.3%는 $23\sim26$세이었고, 여대생의 82.7%는 22세 이하를 나타내었다. 거주의 형태는 전체 학생들 중에서 혼자 사는 비율이 26.5%에 비해 73.5%의 학생들은 가족이나 친척 또는 기숙이나 하숙의 형태로 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스로 판단하는 건강상태에서 전 대상자 중 91.8%가 건강정도를 보통이상으로 생각하였고, 76.7%의 학생들이 건강 보조제에 의존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의 73.3%가 시간제 일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평균 에너지는 남대생이 2,516 kcal(97%), 여대생이 1,878 kcal(89%)이었고, 탄수화물의 섭취량은 남녀 각각 104 g(18%)과 75g(16%)이었고, 지방의 섭취량은 남학생이 90.8 g(34%), 여학생이 62.2 g(30%)이었으며, 단백질섭취량은 남대생이 287.7 g(48%), 여대생이 251.8 g(54%)이었다 섬유소섭취량은 남대생이 6.44g(21%), 여대생이 5.65 g(24%)을 섭취하였고, 칼슘섭취량은 남대생이 583.9 mg(83%), 여대생이 541.7 mg(77%)이었으며, 나트륨은 남대생이 4.73 g(315%), 여대생이 4.02 g(268%)을 섭취하였다. 체성분 조성에 대한 결과는 신장에서 남대생은 67.1%가 $168\sim178cm$, 여대생은 55%가 $155\sim165$의 표준범위에 있었고, 체중에서 남대생의 35.7%가 $65.8\sim75.8kg$, 38.5%가 75.9 kg 이상에 분포하였고, 여대생은 72.8%가 $51.3\sim61.3kg$에, 23%가 61.4 kg 이상에 속하였다. 체단백질량은 남대생 94.6%가 12.5 kg 이상이었는데, 여대생은 61.6%가 표준범위 $9.0\sim10.4kg$이었고, 10.5 kg 이상이 24.7%이었으며, 체무기질량은 남대생이 3.49 kg 이하가 86.4%를 나타내었고, 여대생은 74.2%가 $2.15\sim2.4kg$이었다. 허리와 엉덩이 둘레의 비에 대하여 남대생의 66.5%가 $0.75\sim0.85$이었고, 0.86 이상이 32.1%이었으며, 여대생의 56.5%가 $0.7\sim0.8$이었고, 0.81 이상이 43.5%에 분포되었다. BMI에서 남대생은 63.3%가 $18.5\sim25$이었고, 25.1 이상도 34.8%를 나타내었으며, 여대생은 81.7%가 $18.5\sim25$에 9.4%를 나타내었다. 신체발달점수에서 남대생은 68.3%가 $75\sim85$이었고, 86 이상이 25.3%로 나타난 반면, 여대생은 표준범위가 63.6%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여대생의 나트륨 섭취는 연령과 0.082의 유의성을 나타내었고, 남대생의 복부 지방률은 연령과 0.011의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여대생의 체단백질랑은 나트륨섭취와 -0.276의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조사에 의하면 탄수화물:단백질:지방 비율이 $46\sim54:16\sim17:30$ 이상의 수준이었고, 섬유소는 권장량의 20%, 칼슘은 권장량의 $77\sim83%$, 나트륨은 권장량의 $2\sim3$배를 섭취하였는데, 이러한 섭취경향은 체성분에서 특히 남대생 94%가 체단백질량이 표준이상인 반면 남대생 86.4%가 체무기질량이 표준이하를 나타내었으며, 복부지방에서 남녀 30% 이상이 표준이상을 나타내었다.

표고 400m 제주 중산간 지역에서 혼합조합별 초지 생산성 및 식생구성 (Effect of Seed Mixture on Forage Yields and Botanical Composition at an Altitude of 400 m in Jeju island)

  • 채현석;김남영;우제훈;신문철;손준규;성필남;이왕식;김시현;황경준;김영진;박남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9-27
    • /
    • 2017
  •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표고 400 m에서 말 방목용으로 적합한 남방형 및 북방형 목초를 활용하여 북방형과 남방형 목초를 혼합하거나 북방형 목초 만을 파종하였고 또한 말의 방목 시 섭취 특성을 고려하여 북방형 목초는 상번초와 하번초로 구별하여 처리를 나누었다. 북방형 목초는 하번초인 캔터기블루그라스(Kentucky bluegrass)와 레드톱(redtop), 상번초인 오차드그라스(orchard grass), 톨페스큐(tall fescue)를 공시하였다. 남방형 및 북방형 혼합 형태에서 처리 1은 하번초 위주로 구성하여 버뮤다그라스에 캔터키부루그라스+레드톱을 혼합하였고, 처리 2는 버뮤다그라스에 상번초인 톨페스큐+오차드그라스를 혼합하였다. 북방형 목초 만으로 혼합한 형태인 처리 3은 하번초 위주인 캔터키부루그라스+레드톱을 혼합하였고 처리 4는 상번초인 톨페스큐와 오차드그라스를 혼합하였다. 제주지역의 표고 400 m에서는 남방형 목초인 버뮤다그라스가 한해 피해를 입어 생육이 저조하였다. 초장은 평균적으로 남방형 및 북방형 목초 혼합구 보다는 북방형 목초 만혼합한 처리구에서 더 크게 자랐으며 특히 상번초인 톨페스큐+오차드그라스를 혼합한 처리구에서 가장 크게 성장하였다. 건물 수량은 남방형 및 북방형 목초 혼합구 보다는 북방형 목초구에서 더 많은 수량을 나타내었고 특히 하번초인 켄터기블루그라스+레드톱 혼합 처리구가 가장 높은 수량은 나타내었다. 식생분포에서는 1차 조사의 경우 처리 1과 처리 2에서 버뮤다그라스가 11.7%, 13.3%으로 저조한 생육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겨울철 버뮤다그라스가 한해 피해를 받아 생육이 저조하였고 반면에 켄터키블루그라스, 레드톱, 톨페스큐, 오차드그라스의 생육은 양호 하였다. 2차 조사에서는 처리 1과 처리 2에서 버뮤다그라스가 5.0%, 11.7%으로 1차 조사 때 보다 더욱 생육이 위축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단백질과 NDF, ADF의 소화율에서는 남방형 및 북방형 목초를 혼합한 처리구에서 더 우수한 목초의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상번초 보다는 하번초 혼합 처리구에서 좋은 값을 나타 내었다. 무기물에서는 남방형 목초인 버뮤다그라스와 북방형 하번초가 혼합한 처리 1의 경우는 P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Ca, Mg, Mn 함량이 낮게 나타났으며, 남방형 목초와 북방형 상번초인 처리 2는 Ca, K, Mg, Na, Cu, Zn, Fe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북방형 하번초로 구성된 처리 3은 K, Mg, Na, Cu, Zn, Fe의 함량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제주지역 표고 400 m에서 말 방목에 적합한 방법은 남방형 목초는 겨울철 한해 피해로 생육이 저조하여 북방형 하번초위주로 혼합하여 파종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