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nthion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초

권연벌레와 어리쌀바구미에 대한 26종 살충제의 접촉독성 및 잔효성 (Contact and Residual Toxicities of 26 Insecticides Against the Cigarette Beetle, Lasioderma serricorne and the Maize Weevil, Sitophilus zeamais)

  • 조선란;신윤호;윤창만;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10-316
    • /
    • 2011
  • 시판되고 있는 26종의 살충제를 이용하여 권연벌레(Lasioderma serricorne)와 어리쌀바구미(Sitophilus zeamais) 성충에 접촉독성 방법인 약제감수성 잔효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권연벌레 성충에 100%의 살충율을 보인 약제는 chlorpyrifos, chlorpyrifos-methyl, fenitrothion, fenthion, phenthoate, cypermethrin, ${\alpha}$-cyhalothrin등 7종이었으며, 어리쌀바구미 성충에 대해 살충율을 보인 약제는 chlorpyrifos, chlorpyrifos-methyl, fenitrothion, fenthion, phenthoate등 5종이었다. 이들 약제의 반수치사농도($LC_{50}$ ppm)를 구한 결과, 권연벌레는 ${\alpha}$-cyhalothrin이 1.46, 어리쌀바구미는 chlorpyrifos-methyl이 0.64로 가장 낮아 독성이 높았다. 잔효성은 권연벌레 성충에 대해서는 chlorpyrifos-methyl이 처리 후 90일, ${\alpha}$-cyhalothrin이 처리 후 9일 경과까지 100% 살충효과를 나타내었다. 어리쌀바구미 성충에 대해서는 chlorpyrifos-methyl이 처리 후 90일, phenthoate가 27일까지 100%의 살충효과를 나타내었다.

뽕잎중(中) 유기인계농약(有燐燐系農藥)의 잔류성(殘留性)과 잠독성(蠶毒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Persistence of Organophosphorus Insecticides in/on Mulberry Leaves with Reference to Silkworm Mortality)

  • 오병렬;김영구;박영선;이병무;백현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6-21
    • /
    • 1984
  • 기린계(有機燐系) 살충제(殺蟲劑)인 dichlorvos 유제(乳劑)(50%), fenthion 유제(乳劑)(50%), fenitrothion 유제(乳劑)(50%) 및 phenthoate 유제(乳劑)(47.5%)의 뽕잎중(中) 잔류성(殘留性)과 이들 잔류수준(殘留水準)이 누에에 대한 사충률(死蟲率) 및 수견양(收絹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무강우조건하(無降雨條件下)에서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Fenitrothion, fenthion, phenthoate의 뽕잎중(中) 반감기(半減期)는 $2{\sim}3$일(日)의 범위(範圍)이었고 dichlorvos는 8시간(時間) 내외(內外)이었다. 뽕나무의 재배시기별(栽培時期別) 뽕잎중(中) 농약잔류기간(農藥殘留期間)은 봄재배(栽培)의 경우(境遇)가 가을재배(栽培)보다 길었다. 누에에 안전(安全)한 적엽전(摘葉前) 농약철포(農藥撤布) 완료일(完了日) 은 dichlorvos유제(乳劑)는 3일(日), fenitrothion유제(乳劑)는 20일(日), fenthion유제(乳劑)와 phenthoate유제(乳劑)는 15일(日)이었다. 뽕잎중(中) 농약잔류수준(農藥殘留水準)으로부터 누에의 사충률(死蟲率)을 예측(豫測)할 수 있는 각약제(各藥劑)의 관계식(關係式)과 누에에 안전(安全)한 뽕잎중(中) 농약(農藥)의 최대(最大) 잔유허용량(殘留許容量)을 설정(設定)하였다.

  • PDF

애반딧불이(Luciola lateralis)에 대한 살충제와 비료의 독성평가 (Toxicity of Firefly, Luciola lateralis(Coleoptera: Lampyridae) to Commercially Registered Insecticides and Fertilizers)

  • 이기열;김영호;이재웅;송명규;남상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65-272
    • /
    • 2008
  • 시판되는 살충제 10종과 비료 6종에 대하여 애반딧불이 각 태별(유충, 성충, 알) 독성평가를 실내실험을 수행하였다. 3령유충에 대한 독성은 MEP, PAP, Assit, Fenthion, Diazinon, Burofezin fenobucarb, Cartap Buprofezin, Thiamethoxam, Fipronil은 80.0%이상 사망율률 보인 반면, IGR(곤충성장 저해제)계통인 Tebufenozide은 33,3%의 낮은 사망률을 보였다. 공시약제인 Assit, Cartap Buprofezin, Fenthion, PAP에 대한 3령 유충의 $LC_{50}$값(반수치사량)은 각각 1.03 ppm, 1.90 ppm, 10.26 ppm, 0.98 ppm이었다. 알에 대한 영향은 매우 높은 독성을 보였다. 반면에 Tebufenozide은 100%의 부화율을 보였다. 공시비료인 요소, 유안, 염화가리, 용성인비, 복합비료(17-21-17), 규산질비료에 유충을 72시간 노출시켰을 경우 각각 27.3%, 56.7%, 73.3%, 0.0%, 0.0%, 0.0%의 독성을 보였다.

항콜린에스테라제 약물의 소화관 운동성에 대한 영향 (The Effects of Anticholinesterase Drugs on Gastric Motility)

  • 최형철;김종호;하정희;이광윤;김원준;곽동석;김성희;송필현;여지현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318-325
    • /
    • 1999
  • 항콜린에스테라제 약물은 AChE를 억제하여 ACh을 콜린성 수용체에 축적시켜 지속적인 ACh 자극을 유도하는 약물이다. 이러한 특성이 적출한 위장의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과 콜린에스테라제 활성화 약물의 영향을 조사하고, 에탄올이 AChE의 활성도를 감소시키는 보고를 바탕으로 항콜린에스테라제와 에탄올의 동시 투여시 나타나는 위장관의 수축운동의 변화를 규명하고자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흰쥐의 위장을 적출하여 $2{\times}10mm$ 환상근 절편을 만들어 적출근편 실험조에 고정하고 등척성 장력측정기를 이용하여 약물 처치에 따른 위장 절편의 수축 변화를 측정하였다. 비가역성 항콜린에스테라제인 fenthion은 ACh 유발 위장 절편의 수축을 증가시켰으며 콜린에스테라제 활성화 약물인 PAM은 이 작용을 길항하였다. 가역성 항콜린에스테라제인 physostigmine은 그 자체로 인해 위장 절편의 수축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비극성을 나타내어 위장 절편 조직으로의 흡수가 빠르기 때문이라고 생각되고, ACh에 의한 반응성 또한 현저히 증가하였다. PAM에 의한 반응성 감소효과도 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최근 평활근 이완을 유도한다고 알려진 에탄올은 fenthion 처치에 의한 수축운동 증가를 억제하였고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항콜린에스테라제와 에탄올의 동시 투여시에는 콜린에스테라제 활성도 감소보다 에탄올에 의한 위장관 운동성 감소가 많이 작용함을 의미하였다. 이상의 결론은 가역성 및 비가역성 항콜린에스테라제에 의해서 위장관 운동성 항진이 나타나고 이는 콜린에스테라제의 활성화 약물로서 길항되었다. 그리고 에탄올과 항콜린에스테라제에 동시에 노출된 경우는 에탄올의 평활근 이완 효과에 의해 위장관 운동성 감소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PDF

콩나물 재배중 잔류농약 함량에 미치는 오존수 처리 효과 (Effect of Ozone Water on Pesticide-Residual Contents of Soybean Sprouts during Cultivation)

  • 김순동;김일두;박미자;이윤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77-283
    • /
    • 2000
  • 콩나물의 성장은 콩의 수침 및 주수시 용존오존농도 0.3 ppm으로 처리하였을때가 가장 양호하였다. 콩의 수침시 용존오존농도 0.3 ppm으로 30분간 처리하여 5일간 재배한 콩나물의 배축신장도는 무처리보다 19%가 높았으며 시루당의 총중량은 27%가 증가하였다. 반면에 뿌리의 중량은 27%가 감소하였다. 그러나, 수침시와 주수시 처리와 수침시 처리 사이의 성장도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Carbendazim, captan, diazinon, fenthion, dichlorvos 및 chlorpyrifos 등 6종의 농약을 $4.75{\sim}8.35\;ppm$으로 오염시킨 콩의 수침과정 및 5일간 재배중의 잔류농약의 자연분해율은 $85{\sim}99%$였으나 주수시 0.3 ppm의 오존수로 처리하였을 때는 $89{\sim}100%$, 수침시와 주수시에 처리하였을 때는 $94{\sim}100%$이였다. 또 농약별 오존수에 의한 분해율은 captan>dichlorvos>fenthion>carbendazim>diazinon>chlorpyrifos순이였다.

  • PDF

Effects of some organophosphate pesticides on the murine immune system following subchronic exposure 1

  • Moon, Chang-Kiu;Yun, Yeo-Pyo;Lee, Soo-Hwan;Lee, Young-So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9권3호
    • /
    • pp.175-181
    • /
    • 1986
  • Four technical grade organophosphate pesticides (Fenitrothion, Fenthion, Dizninon and EPN) were investigated for their effects on the murine immune function. Among the immunotoxicological assay parameters of NIEHS, humoral immune parameter and pathotoxicological indicator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Subchronic exposure of rodents to these pesticides resulted in marked suppression of humoral immune function and moderate histological changes of lymphoid organ any significant alterations of clinical status.

  • PDF

과실 및 채소중 유기인계 잔류 농약에 관한 연구 (Organophosphorus Insecticide Residues in Fruits and Vegetables)

  • 최영진;김세원;고영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81-186
    • /
    • 1986
  • Organophosphorus insecticide residues were investigated in six kinds of fruits and five kinds of vegetables.The material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grape, musk melon, apple, peach, plum, apricot, lettuce, green pepper, cucumber, pumpkin and tomato which were collected from June to september 1986 in Seoul. Residual pesticides investigated were Diazinon, Parathion, MEP (Fenitrothion), Malathion, EPN, MPP (Fenthion), PAP (Phenthoate) and Dimethoate and all samples were analysed by gas chromatographic technique with NPD (Nitrogen Phosphorus Detector). No sample was found to approach proposed national maximum residue limits in Korea.

  • PDF

지역별 장미재배지에서 채집된 꽃노랑총채벌레의 살충제 감수성 (Insecticide susceptibilities of rose field-collected populations of western flower thrips, Frankliniella occidentalis in Korea)

  • 유정수;김주일;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0-86
    • /
    • 2002
  • 시판되고 있는 40종 살충제의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 성충에 대한 약제감수성을 검토한 결과 80%이상의 살충율을 보인 약제는 chlorfenapyr, chlorpyrifos-methyl, emamectin benzoate, fenthion, fipronil, phenthoate, spinosad, chlorpyrifos+diflubenzuron, furathiocarb+diflubenzuron이었다. 이들 약제에 대해 전국 5개 지역 장미재배지에서 채집한 지역집단의 약제감수성을 실험한 결과 고양과 김해집단이 임실, 진천, 강진집단보다 전반적으로 $LC_{50}$(ppm)값이 높았다. 그러나 emamectin benzoate, fipronil, spinosad는 모든 집단에서 $LC_{50}$이 1ppm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한국인에 의한 유기인계 농약의 식이섭취량 추정 (Estimation of the Dietary Intake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by the Korean Population in 1986-1990)

  • 이서래;이미경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6-75
    • /
    • 1994
  •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요 유기인계농약 11종에 대한 한국인의 식이섭취량을 농산물중 잔류량과 식품계수로 부터 산정한 결과 1인당 1일 $31\;{\mu}g$ 으로 나타났다. 식품군별 섭취량 비율은 곡류 56%, 채소 23%, 과일 14%, 두류 기타 7%이었다. ADI 값에 대한 식이섭취량 비율을 보면 diazinon 6.1%, fenthion 5.8%, fenitrothion 3.3%, EPN 1.5%로 나타났고 11종 농약의 성분별 평균은 1.7%에 불과하였으나 모든 성분에 대한 합계치는 18.7%에 이르렀다. 따라서 현재와 같은 유기인계의 농약의 사용실태 하에서는 농산물중의 농약잔류가 한국인의 국민건강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수준은 아니지만 체계적인 섭취량 평가에 착수해야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강원도산 농산물 중 잔류농약 실태조사 (Survey on the Contents of Residual Pesticide in the Agricultural Products on Kangweon-Do)

  • 심태흠;이태준;김기철;유미정;정의호;이해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49-156
    • /
    • 1992
  • '90년 '91년 2개년에 걸쳐 강원도내에서 생산 또는 유통되고 있는 농산물 35종에 대하여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국민보건위생의 위해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유기염소제 및 유기인제 등을 ECD와 NPD가 부착된 gas chromatograph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농산물 157건 중 농약이 검출된 농산물은 76건으로서 48.4%이었고, 이중 2종류 이상의 농약이 검출된 농산물은 24건으로서 15.3%를 점하고 있다. 특히 Captan은 대산 농산물 81건 중 43건에서 검출되어 검출률이 53.1%이었다. 2. Endrin , Captafol. Parathion , Fenitrothion , Fenthion 및 EPN은 전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3. 각 농약의 잔류량은 DDT가 ND-0.138 ppm, BHC가 ND-0.142 ppm, Aldrin 및 Dieldrin이 ND-0.010 ppm, CAptan이 ND-1.067 ppm, Diazinon이 ND-0.060 ppm, malathion이 ND-0.075 ppm, Phenthoate가 ND-0.009 ppm, DDVP가 ND-0.040 ppm이었다. 단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농산물은 1건도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