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minist film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2초

포스트페미니즘 시대의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감독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Feminist Documentary in a Postfeminist Era: Perceptions of the Feminist Filmmakers)

  • 김지아;박지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04-114
    • /
    • 2015
  • 본 연구는 여성이라는 범주가 파편화되고 여성주의의 유효성이 의심받는 포스트페미니즘 시대로 평가되는 현 한국사회에서 여성주의 다큐멘터리가 어떠한 지형과 의미 생성해내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감독들은 여성주의를 어떻게 정의하고 있으며 이들이 가지고 있는 주된 문제의식은 무엇인지,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감독들이 추구하는 재현의 방식은 무엇이며 이는 어떠한 의도를 가지고 있는지 논의한다.

Language of the Gothic Woman:Jane Campion's The Piano

  • Choi, Eun-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7권3호
    • /
    • pp.60-64
    • /
    • 2011
  • Jane Campion's is a well-known film for a number of reasons, such as for being an Oscar winner, for having been helmed by an emerging director from New Zealand, and for having the reputation of being a feminist film. In this paper, the first scene of was chosen to examine the heroine Ada's language in terms of the gothic genre. Ada is a dumb woman who lives in the era of man's language. She represents the women's social position in the Victorian era but has her own and unique language for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world. The first scene of introduces Ada's own language, using her fingers. Her fingers speak for her all the time instead of her mouth, and there is someone who can understand what she wants to say when all others cannot. How the film depicts Ada's language and how the first scene well summarizes the film's core are examined herein.

멀비의 페미니즘 영화 이론으로 읽는 브라우닝의 극적 독백 (Browning's Dramatic Monologue and Mulvey's Feminist Film Theory)

  • 선희정
    • 영미문화
    • /
    • 제17권2호
    • /
    • pp.1-27
    • /
    • 2017
  • My aim in this paper is to provide a clear view of Victorian gender ideology and highlight the role played by Browning's dramatic monologues in the challenge against the strict patriarchal codes of the era. Laura Mulvey's Male Gaze theory in cinema is especially useful for understanding Browning's most well-known dramatic monologues, "Porphyria's Lover," and "My Last Duchess," because these poems are structured by polarities of looking and being looked at, the active and the passive. In her 1975 essay "Visual Pleasure and Narrative Cinema", Mulvey introduced the second-wave feminist concept of "male gaze" as a feature of gender power asymmetry in film. To gaze implies more than to look at – it signifies a psychological relationship of power, in which the gazer is superior to the object of the gaze. She declares that in patriarchal society pleasure in looking has been split between active/male and passive/female. Browning's women are subject to the male gaze, but they refuse to become the objects of a scopophilic pleasure-in-looking. Porphyria and the Duchess don't exist in order to satisfy the desires and pleasures of men. They reveal themselves as an autonomous being - reserved in Victorian gender dynamics for men. Mulvey advocates 'an alternative cinema' which can challenges the male-dominated Hollywood ideology. It is possible to say that Browning's dramatic monologues correspond to Mulvey's 'alternative cinema' because they show a counterview in terms of the representation of woman against the Victorian patriarchal ideology.

현대 상업영화의 페미니즘 표현분석연구 (영화 "소공녀(2017)"을 중심으로) (Feminist Expression Analysis of Modern Commercial Movies (Focusing on "Micro-habitat(2017)"))

  • 이태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439-446
    • /
    • 2019
  • 한국 문화 전반에 성 평등을 주제로 한 페미니즘이 중요한 이슈로 연구 대상적 가치가 급상승하였다. 페미니즘 영화란 단지 여성의 권익을 주장하거나 옹호하는 차원의 수준이 아닌 과거 남성들이 창조한 스토리 속에서 대상화되거나 타자화 된 인물로 왜곡, 인위적으로 묘사되던 그릇된 여성의 모습이 아닌 시선과 사고의 본질적 주체로서 사회 속 개인의 삶의 문제를 근원적으로 탐구하는 영화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전고운 감독의 영화 '소공녀(2018)'를 분석하였으며 영화 속에는 남성 편향적 고정관념과 불평등적 사회구조에도 주인공의 꿋꿋한 자기 선택과 초월적 사고를 보여주는 페미니즘 적인 주제를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중영화가 세상에 대한 넓은 식견을 키우는 교육 계몽적 성격을 견지하고 성숙한 사회문화를 선도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이와 같은 사회에 대한 전지적 통찰과 이상적 인간관에 대한 제고 등을 다룬 영화는 사회를 긍정적이고 이상적으로 바꾸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Ambivalent Reading on the Story of the Colonialism in The Piano

  • Park, Seung Hyun;Nam, Jae Il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9권4호
    • /
    • pp.86-91
    • /
    • 2013
  • The Piano, directed by Jane Campion in 1993, became a sensational movie with a special theme focusing on gender and sexual identity, when it won Palme d'Or in the Cannes Film Festival at the same year. Most of the critics discuss the representation of Victorian sexual repression in the colonial setting. But the critical acclaim tends to view the existence of the Maori people and the colonial setting as the backdrop of the narrative, although this colonial background is constructed as a medium to accelerate the release of the repressed passion. Regarding the race issue as a compelling discourse that gets left out of "feminist" accounts, this paper analyzes The Piano, focusing on both how the story of colonialism is constituted in the film and how the film represents ambivalent images of the Maori people, the native of New Zealand.

영화<죽은 시인의 사회> 다시 읽기 (Re-reading the film of Dead Poets Society)

  • 양현미
    • 영미문화
    • /
    • 제9권1호
    • /
    • pp.297-32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read the film of Dead Poets Society, specially focused on a feminist view. The film hides the strategy of recovering the traditional Patriarchal Society. At the beginning, the film resists the values of traditional society through John Keating. His unorthodox methods of teaching literature smack against the traditions of Welton Academy. Furthermore, he stresses on "Carpe Diem"—Seize the Day, the romantic values of free thinking, creativity, and individuality. The forces opposing Keating's philosophy are personified by Welton's rigid, old headmaster, Mr. Nolan, and the cruel, stubborn parent, Mr. Perry. Keating's romantic values are failed by their powerful, dominating attitudes. Effected by Keating's philosophy, Neil decides to pursue acting rather than medicine. He conflicts with his strict father. Finally frustrated by his authority, Neil commits suicide. And Keating is accused of inciting the boys to restart the Dead Poets Society, and at last he is fired. Keating and Neil are victimized by the Patriarchal society. Even though the film concentrates male characters at the all boys' school, it reveals the male angle of binary oppositions between men and women, subject and object, activity and passivity, presence and absence. In the film's dramatic conclusion, English class is now being temporarily taught by Nolan, who has the boys read from the very Pritchard essay they had ripped out at the start of the film. It symbolizes the triumph of the traditional logocentric society. However, influenced by Keating's unconventional attitudes, ultimately Welton Academy will be changed as it is embodied in its closing scene.

영화의상에 나타난 사치성에 관한 연구 - 할리우드 황금기 영화의상을 중심으로 - (Luxury Expressed in Movie Costumes - Focused on Hollywood Golden Age Movie Costumes -)

  • 양숙희;한수연
    • 복식
    • /
    • 제57권4호
    • /
    • pp.81-94
    • /
    • 2007
  • Luxury, an expression of richness and expensiveness which can be achieved after putting in extensive an elaborate handworks, has been expressed in Hollywood movie costume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movie costumes of Hollywood studio designers, and to contemplate luxury expressed in movie costumes for such purposes, this thesis first provides the study on the luxury in movie costumes which has been reflected in fashion history, film studies and feminist theories, and to conduct a case study by analyzing photographic materials. The luxury expressed in movie costumes could be identified as expensiveness, exclusiveness, excess, and indulgence. In the movie costumes, expensive materials such as furs, jewelry, and decorations were used. Couture and custom-made costumes were the expressions of exclusivity. Also, the excessive luxury were the expression of bigness, scalelessness or extreme abundance. Indulgence in luxury is shown in use of uncommon characteristics, especially in gangster movie costumes.

영화 <벌새>의 여성 성장 서사 연구 (A Study on the Narrative of Female Growth in the Film House of Hummingbird)

  • 권은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395-402
    • /
    • 2022
  • 영화 <벌새>는 십대 소녀의 시선을 통해서 한국 현대사와 개인의 역사를 교차시키며, 가부장제와 한국적 자본주의가 여성 주체의 성장과정에 어떤 방식으로 흔적과 내상을 남기는지를 면밀하게 탐색한다. 이 영화는 성장 서사에서 서술 주체를 소년에서 소녀로 전환시켰을 때, 그리고 여성주의적 관점을 기입하였을 때, 어떤 변화가 발생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유의미한 텍스트이다. <벌새>는 에피소드적 서사 구성 속에서 십대 소녀의 시선을 통해서 가부장제적 상징 질서의 취약함을 드러내기도 하며, 또한 그 틈새들 속에서 여성들 간의 긴밀한 관계성과 유대의 가능성을 발견한다. 특히 주인공 소녀 은희의 한문학원 강사인 영지라는 인물은 그동안 한국 청소년 영화에서 유례가 없었던 새로운 여성 인물로서 은희의 내면성의 발견과 사회화를 연결 짓고, 궁극적으로 영지의 성장을 이끄는 이상적 조력자이다. 결과적으로 동시대 남성 십대 주체들의 반-성장서사와는 달리, <벌새>에서 우리는 성장의 고통을 '그런대로 괜찮은' 상태로 협상하는 새로운 여성 주체를 만나게 된다.

영화 <파워 오브 도그>의 이차 프레임 연구 - 파노프스키 도상해석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econd Frame in Film <The Power of The Dog> -Focusing on Iconology by Panofsky)

  • 지아신위에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1호
    • /
    • pp.102-111
    • /
    • 2023
  • 이미지 기호는 영화의 시각언어에서 가장 직관적인 요소로서 관객들이 서사를 이해하고 감독의 의식을 연구하는 시작점이다. 이차 프레임은 하나의 이미지 기호로서 풍분한 상징적 은유를 갖고 있다. 과거의 연구에서 이차 프레임은 주로 문과 창문, 거울 등 물리적 형태로 나타났지만, <파워 오브 도그>에서는 다양한 형식의 이차 프레임을 보여주어 이차 프레임의 연구에게 더욱 많은 유형을 제공하였다. 서사 과정에서의 이차 프레임의 상징적 의미를 해석하여 영화가 전달하는 사회문화적 문제를 해석하기 위해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영화의 이미지 기호를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파노프스키의 도상해석학적 방법론은 하나의 미술사 연구 방법론이고, 이미지 기호를 연구하는 데 치밀한 삼단식 분석법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파노프스키의 도상해석학적 방법론을 통해 영화 <파워 오브 도그>에서 나타난 이차 프레임을 분석하여 영화 이미지 연구의 방법론을 확장하고, 과거 도상해석학을 통해 영화의 이미지를 분석할 때 항상 서사분석(도상학적 분석)에 머물러 있는 문제를 돌파하기 위한 것이다. 도상해석학적 연구방법은 시각형식에서 시작해 서사적 상징을 해석한 후 상징적 의미가 반영한 사회문화적 문제를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이차 프레임은 서사의 요구에 따라서 다양한 시각적 표현을 갖고 있다. 그리고 <파워 오브 도그>의 서사에서 전반적으로 억압적인 영화 분위기와 캐릭터 사이의 갈등관계를 상징하였다. 또한, 캠피온 감독이 이차 프레임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것은 여성문제가 호전된 영화계와 페미니즘 영화 창작의 주제가 이원대립적으로 여성을 표현하는 것에서 "탈주체화"적으로 다원적인 집단을 표현하는 것으로 변화되었다는 것이다.

현대 패션에 표현된 글래머 룩의 미적 가치 (A Study on the Aesthetic Value of Glamour Look Expressed in Fashion)

  • 양숙희;한수연
    • 복식문화연구
    • /
    • 제14권5호
    • /
    • pp.739-754
    • /
    • 2006
  • Glamour, which stands for attractive physical feature with certain mystique, has been recognized by its superficiality and ephemerality in recent postmodernist aesthe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omprehensive literature of glamour and to contemplate glamour look, thereby to establish the styles of glamour expressed in fashion. For such purposes, this thesis first provides the study on the glamour in design studies, film studies and feminist theories, and to inquire aesthetic values of glamour look, which has been reflected in fashion. The glamour expressed in the fashion design can b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six aesthetic values: luxury, excess, masquerade, appropriation, sensuality and decadence. (1) Luxury is an expression of expensiveness, ostentatiousness which can be achieved only after putting in extensive an elaborate handworks. (2) Excess is an expression of bigness, scalelessness or extreme abundance. (3) Masquerade, that is a technique of identity which deal with clothing as a metaphor, is an expression of mysterious attractiveness and theatricality. (4) Appropriation is an expression by way of taking something from different time and space. (5) Sensuality is an expression of indulgence of sexual pleasures. Lastly, (6) decadence implies eroticized violence and demoraliz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