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eminist Documentary in a Postfeminist Era: Perceptions of the Feminist Filmmakers

포스트페미니즘 시대의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감독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김지아 (고려대학교 대학원 언론학과) ;
  • 박지훈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 Received : 2015.03.06
  • Accepted : 2015.04.22
  • Published : 2015.06.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landscape and significance of Korean feminist documentaries produced in the postfeminist era when the categorization of women is fragmented and the effectiveness of feminism is suspected. We discussed how Korean feminist documentary directors define the concept of feminism, and the main motives underlying their films. We also explored the representation strategies that the filmmakers adopt and what they intend to accomplish.

본 연구는 여성이라는 범주가 파편화되고 여성주의의 유효성이 의심받는 포스트페미니즘 시대로 평가되는 현 한국사회에서 여성주의 다큐멘터리가 어떠한 지형과 의미 생성해내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감독들은 여성주의를 어떻게 정의하고 있으며 이들이 가지고 있는 주된 문제의식은 무엇인지,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감독들이 추구하는 재현의 방식은 무엇이며 이는 어떠한 의도를 가지고 있는지 논의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안채원, "페미니즘, 여성뿐 아니라 세상의 모든 약자를 위한 것", 숙대신보, 2012.09.17.
  2. 이내찬, "여성이 행복한 세상", 보건사회연구, 제 33권, 제3호, pp.413-441, 2013.
  3. R. Tong, Feminist Thought: A More Comprehensive Introduction, Boulder, CO: Perseus Books, 1999.
  4. G. C. Spivak, Can the Subaltern Speak?, 태혜숙 역,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 서울: 그린비, 2013.
  5. A. Ahmad, In Theory: Classes, Nations, Literature, Lodon: Routledge, 1992.
  6. C. Levi-Strauss, The Raw and the Cooked, New York: Harper & Row, 1969.
  7. L. Nicholson, Feminism/Postfeminism, Lodon: Routledge, 1990.
  8. H. Cixous, "The Laugh of the Medusa," Signs, Vol.1, No.4, pp.875-893, 1976. https://doi.org/10.1086/493306
  9. L. Mulvey, "Visual Pleasure and Narrative Xinema," Screen, Vol.16, No.3, pp.6-18, 1975. https://doi.org/10.1093/screen/16.3.6
  10. D. Waldman and J. Walker, Feminism and Documentary,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9.
  11. T. Waugh, "Show Us Life": Toward a History and Aesthetics of the Committed Documentary, London: The Scarecrow Press, 1984.
  12. J. Spence, "Collecting Women's Lives: The Challenge of Feminism in UK Youth Work in the 1970s and 80s," Women's History Review, Vol.19, No.1, pp.159-176, 2010. https://doi.org/10.1080/09612020903444734
  13. M. Sinha, "Witness to Violence: Documentary Cinema and the Women's Movement in India," Indian Journal of Gender Studies, Vol.17, No.3, pp.365-373, 2010. https://doi.org/10.1177/097152151001700303
  14. C. Greene, Women On-Lookers: Transnational Feminist Documentaries and the New Women's Diaspora(Ph.D. Dissertation), 2006.
  15. 남태제, 이진필, "격동의 현실 속에서 피어난 독립 다큐멘터리: 1980-90년대 초반의 영상운동과 다큐멘터리", 독립 다큐멘터리 연구모임, 한국독립다큐멘터리: 역사와 진실, 그 어제와 오늘의 기록, 서울: 예담, pp.16-59, 2003.
  16. 남인영, 이안숙, 김진열, "여성영화, 그 연대의 역사를 찾아서: 여성주의 비디오 액티비즘의 역사와 현재", 독립 다큐멘터리 연구모임, 한국 독립 다큐멘터리: 역사와 진실, 그 어제와 오늘의 기록, 서울: 예담, pp.181-211, 2003.
  17. L. Alcoff, "Cultural Feminism Versus Post- Structuralism: The Identity Crisis in Feminism Theory," Signs, Vol.13, No.2, pp.405-436, 1988. https://doi.org/10.1086/494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