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male migrants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19초

가족주의 관점에서 본 KBS<이웃집 찰스>의 이주민 가족 재현 연구 - 이주 남성 가족을 중심으로 (Representation of Migrant Families in TV Reality Shows from a Familialism Viewpoint - Focusing on Male Participants in KBS )

  • 박미경;이헌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2-24
    • /
    • 2017
  • 본 연구는 이주민의 미디어 재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KBS <이웃집 찰스>에 나타난 새로운 이주민의 재현을 내용분석하였다. <이웃집 찰스>는 지상파 프라임타임 시간대에 편성되어, 안정된 시청률을 보이면서 방송되고 있다. 기존 이주민 프로그램과 비교, <이웃집 찰스>가 재현에서 보이는 차이점은 크게 인구사회학적으로 다양한 속성의 이주민 출연과 결혼이주남성의 주인공 등장을 들 수가 있다. 차이의 원인을 보면, 최근 이주의 형태가 동남아 결혼여성과 노동자 중심에서 지역적으로 서구 사회를 포함하고 결혼남성이 증가하는 형태로 다양화하고 있다. 이런 변화가 미디어 재현을 부분적으로 견인하고 있다고 본 연구는 발견하였다. <이웃집 찰스>에서 이주민 재현 대상자는 다양해졌지만, 이주민을 한국 전통 문화에 통합되어야 하는 대상으로 간주했던 민족주의적인 특징도 잔존했다. 이주민의 활동을 공적 영역으로 확장시키고, 사회적 차이와 편견에 대한 의견 개진, 한국 전통문화에 대한 비판 등은 이주민의 재현을 긍정적으로 확장시킨다. 동시에, 젠더적인 관점에서 보면, 이주민 가족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형태의 문제들이 재현되었지만, 전통적인 가족주의 담론이 문제 해결 수단으로 제시되었다. 정리하면, 본 연구는 이주민과 관련한 사회적 변화와 함께 나타나는 이주민 재현 변화를 분석, 기존 이주민 연구를 보강하고자 한다.

한국의 도시인구 집중도에 관한 연구 -센서스 자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rban Population Concentration in Korea -Based on the data of Population Census-)

  • 박주문;이시백
    • 한국인구학
    • /
    • 제9권1호
    • /
    • pp.69-88
    • /
    • 1986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find out and analyze the degree of population concentration of 10 selected cities. The data used for the present study were derived from the Government publications including th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Reports from 1966 through 1980 and the Korea Urbanic Yearbooks from 1969 through 1981.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data revealed that changes of population size were more rapidly proceeded in Seoul than any other city and regarding to population composition, these selected cities had more male population than female population. The proportion of the productive age group of these selected cities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whole country each year, especially the proportion 20∼24 aged group was higher in 1980 than any other year. The number of net migrants in these cities during last 20 years, 1960∼80 was 910, 656 as Seoul obtained the largest net migrants and among the selected cities, Seoul, Busan, Daegu, Incheon, Daejeon and Jeonju had a big change in volume of net migration population, especially in 30∼39 aged group in 1980. According to Gini Concentration Ratio and Index of Concentration, the population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1980 and the population concentration was intensively accelerated during 1966∼ 1970.

  • PDF

Psychosocial Factor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Southeastern Asian Female Workers Living in Korea

  • Lee, Hyeon-Kyeong;Ahn, Hyun-Mi;Park, Chang-Gi;Kim, Sun-Jung;Moon, Sun-Hye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2권2호
    • /
    • pp.183-193
    • /
    • 2011
  • Objectives: A rapid increase in the population of migrant workers in Korea has brought new challenges regarding the possible effects of acculturation on heal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cculturation- and work-related psychosocial factors o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migrant female workers living in Korea.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used. A translated,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administrated to 156 southeastern Asian female full-time workers living in Korea. Results: About 35%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some type(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hich were more prevalent in Vietnamese women than in Thai and Filipino women. Women who preferred to maintain their own heritage and to reject the host country heritage were at risk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Conclusion: Acculturation strategy and nationalit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Health professionals need to accommodate acculturation contexts into risk assessment and intervention development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separately for different nationalities.

우리나라 노인인구의 지역간 이동 특성 - 16개 특.광역시도별 $2000{\sim}2006$년 비교를 중심으로 - (Migration patterns of old population in Korea)

  • 윤순덕;김은자;강방훈;김상범;윤희정;정일영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93-204
    • /
    • 2009
  • Although the majority of elderly are residentially stable, many western studies have recently reported that there has been a gradual growth of retirement migration.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at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trend and nature of elderly migration. For this purpose, inter- and intra-province migration among the aged 65 and over were analyzed, using the migration data of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compiled from the 2000 and 2006 resident registration recor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n increase of elderly migrants to 531 thousand persons in 2006 from 383 thousand persons in 2000. Secondly, the migration rate of elderly has steadily grown with a 11.7% in 2000 and 12% in 2006. Also, the move of female among old population was active but this trend tended to decrease in 2006. Thirdly, the number of provinces which showed a positive net inter-province migration of old population increased from 7 provinces in 2000 to 8 provinces in 2006. Fourthly, we found that the destinations of elderly migrants were mostly neighboring province except the Chungnam, Jeonbuk, and Jeju.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elderly migration would be expected to increase gradually and be important in the future of Korea.

  • PDF

중앙아시아에서 연해주 정착촌으로 재이주한 재소한인 가족의 주거생활 사례연구 (Case Study of Yunhaju Settlement for Korye Saram Migrated from Middle Asian Countries)

  • 조재순;이영심;이정규;이선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1권3호
    • /
    • pp.101-10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push and pull factors of migrants from middle Asian countries to Yunhaju, Russia, and housing situations in settlements as well as housing intentions to behave. Four female Korye Saram in Cremobo settlement and Woojung village and 10 male and female elderly in ordinary residences were interviewed during April 22-25, 2003. Changes in national formal language from Russian to lout languages was played the most prominent push role, while availability of settlement and agricultural land and emotional attachment as the second hometown pulled them to migrate into Yunhaju. The housing situation in Cremobo settlement was very poor and almost settlers had already left. The rest settlers wanted to move into Woojung village. The resident in Woojung village hoped to get the formal contract to rent the dwelling and agricultural land. Family adaptations were progressed to solve the housing deficits among settlers both of Cremobo settlement and Woojung village. This research explored a part of the 140 years residential history of Korye Saram.

다문화경계인으로서 이주여성들의 위치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 '경계지대,' 억압의 '교차성,' '변위' 개념에 대한 검토 및 적용 (Theoretical Exploration of Migrant Women's Location as Multicultural Borderers: Conceptual Application of Borderlands, Intersectionality, and Transposition to the Feminist Migration Study)

  • 정현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89-303
    • /
    • 2015
  • 본 논문은 지구화와 이주의 여성화 시대에 이주여성들의 위치성을 이론화하기 위한 시론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세 가지 이론적 자원을 검토하고 이를 페미니스트 이주연구 및 한국사례에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한다. 이주란 국경을 비롯한 다양한 경계를 넘나들며 새로운 상황과 관계 속에서 자신의 사회적, 물리적 위치를 끊임없이 협상해 나가는 과정이다. 특히 여성 이주자들은 남성 이주자들에 비해 더욱 다면적인 억압과 정체성 변환의 요구에 직면하며 따라서 그 누구보다 위치의 정치학을 체현하는 존재들이다. 본 논문에서 검토하고자 하는 이론적 자원은 이러한 주변화된 존재들이 다양한 정체성 협상을 통해 페미니즘적 주체로서 거듭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유용한 인식론적 통찰과 개념 및 언어적 도구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최근 페미니즘 연구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는 이론들이다. 그것은 글로리아 안잘두아 등이 제안한 경계지대와 메스티자 주체론, 억압의 교차성 이론, 들뢰즈와 과타리의 이론을 페미니즘적으로 전유한 로지 브라이도티의 변위와 유목적 주체론이다. 권력의 교차와 주체의 변화를 공간적 은유로 개념화한 이들 이론의 검토를 통해 상호 맞물려 있는 공간과 젠더, 이주에 대한 인식론적 통찰은 물론 한국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분석적 도구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 PDF

베트남 국제결혼 여성의 혼인이주 원인 및 의사결정과정 (Main Reasons and Decision-Making Process for Marriage Migration of Vietnamese Women)

  • 송유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81-595
    • /
    • 2008
  •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the main reasons and decision-making processes for marriage migration from a Vietnamese'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Vietnam. Interviewees are those who got married to foreigners but are waiting for visas and parents whose daughters are marriage migrants. According to 23 interviewees, the main reasons of marriage migration are as follows: individual aspiration, sacrifice for others, and the circumstantial effects or love. Individual aspiration, in particular, leads to an active pursuit of international marriage. Parental involvement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is rarely found. Decision seems to be wholly made by the female migrant herself based on an individualistic orientation.

  • PDF

한국에 이주한 조선족 중년여성 근로자의 경험: 작업 관련성 근골격계질환 위험 요인을 중심으로 (Experiences of Middle-aged Korean-Chinese Female Migrant Workers in Korea: With Focus on Risk Factors i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s)

  • 이현경;채덕희;이경은;이민혜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85-194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to explore situations that might put the middle-aged Korean-Chinese female migrant workers at risk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s (WMSDs). At the development phase of a continuing health project, the study aimed to clarify health promotion program needs of the migrant population. Methods: A qualitative description research design was used with three focus groups of 23 Korean-Chinese female migrant workers. Each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for 70-minutes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 guidelin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irecte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echniques. Results: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were household workers and their work included heavy material handling, standing for a long time, and working in awkward postures. They experienced discrimination from employers, lack of control at work, limitations in open-communication, job insecurity, and acculturation. They had needs to have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preventing and managing chronic diseases, depression and menopause as well as WMSDs. Conclusion: The participants were situated in work environments with physical demanding tasks, acculturative and job-related stress and lack of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health promotion programs. It is suggested to develop a comprehensive program to better meet the needs of middle-aged Korean-Chinese female migrant workers rather than targeting the reduction of WMSDs.

이주여성의 생애사에 재현된 젠더의 구성과정 -재독한인여성의 생애사를 중심으로- (Construction Process of Gender in the Biographies of Migrant Women -Based on the Biographies of the Korean female Migrant Workers in Germany-)

  • 양영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2호
    • /
    • pp.325-354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이주여성의 생애사에서는 어떠한 젠더가 구성되고 있는 것으로 재현되고 있는지, 그 과정을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간호노동자로 이주한 10명의 재독한인여성들과 Schutze(1983)의 생애사적-내러티브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인터뷰 자료도 그의 분석방법에 의거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들의 생애사에 재현된 젠더는 결혼 이전까지는 동일한 양상을 보였으나, 결혼 이후에는 직업과 가정을 양립한 경우와 가정에만 전념한 경우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임을 포착할 수 있었다. 즉, 이주 이전의 여학생이나 노동여성으로서의 '인생진행 과정'에서는 두 경우 모두 성분리적 젠더를 부분적으로 '해체'했고, 이주 이후의 노동이주여성으로 전환된 인생진행 과정에서는 성중립적 젠더를 부분적으로 '행했는데', 결혼 이후의 인생진행 과정에서는 전자의 경우에는 노동이주여성과 결혼이주여성으로서의 이중적 위치에서 성중립적 젠더를 더욱 강화시키고 있었고 또 강화시키고 있는 것과는 달리, 후자의 경우에는 결혼이주여성으로 전환된 단일한 위치에서 성분리적 젠더를 다시 재구성하였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를 더욱 고착화시키고 있는 차이가 있음을 추적할 수 있었다. 이에,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해 이주여성의 생애사에 재현된 젠더를 이해한 사회복지실천에 시사하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 PDF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 적응 요인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Determinant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daptation to Their Communities)

  • 임석회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64-387
    • /
    • 2009
  • 1990년대 중반 이후 결혼이주여성의 증가는 이들의 한국사회 적응에 대하여 지대한 사회적, 정책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그동안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접근방법 등의 한계로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 적응 요인에 대한 충분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전국적으로 광범위한 결혼이주여성 대상의 설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이들의 지역사회 적응에 미치는 유효한 요인들을 단계적 다중회귀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이주여성의 연령과 본국에서의 직업 경력, 지역주민으로서의 정체성, 가정생활의 적응 정도, 배우자의 직업과 연령, 한국으로 결혼이주 전 한국에 대한 지식과 이미지, 국내의 한국인 및 출신국 친구, 주민모임에의 참여 여부 등이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 적응에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추출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한국어 구사능력은 유효하지 않았다. 또한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또는 본국인으로서의 정체성도 유효한 변수가 되지 못하였다. 전반적으로 이주 전 배경으로 보면, 한국에 대한 이미지와 지식 등이, 이주 후로 보면, 지역주민으로서의 정체성과 사회적 연결망이 지역사회 적응에 중요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