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presentation of Migrant Families in TV Reality Shows from a Familialism Viewpoint - Focusing on Male Participants in KBS

가족주의 관점에서 본 KBS<이웃집 찰스>의 이주민 가족 재현 연구 - 이주 남성 가족을 중심으로

  • 박미경 (수원대학교 산학협력단) ;
  • 이헌율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 Received : 2016.12.27
  • Accepted : 2017.02.14
  • Published : 2017.04.28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the representation of migrants in television with the example of KBS's My Neighbor, Charles. This primetime TV show with consistent popularity has showcased different types of migrants from other Korean television shows in terms of gender and race, and, partly the difference brought popularity to it. This study finds the major reason of the difference from changed migration patterns in Korea. Until recently, the main population of immigrants in Korea was composed of female brides and workers, but it became diversified to include male and the West migrants. This triggered the changes in media representation, but not thoroughly. Though the faces of migrant protagonists have been diversified, the remaining ideology of nation-centric that has been the main frame to regard migrants as someone to be integrated through traditional values persists. This study finds a few conflicts between the traditional and the change. For example, represented realities of migrants are extends to include their activities in public domain, disputes of multicultural society such as social differentiation and bias, and the criticism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In a gender perspective, while all the marriages represented showed different kinds of vulnerability, discourses of traditional familialism were also clearly presented through different tools of representation. This study aims at contributing existing studies of media representations of migrants with a more complicated pictures in the context of social changes and migration population changes.

본 연구는 이주민의 미디어 재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KBS <이웃집 찰스>에 나타난 새로운 이주민의 재현을 내용분석하였다. <이웃집 찰스>는 지상파 프라임타임 시간대에 편성되어, 안정된 시청률을 보이면서 방송되고 있다. 기존 이주민 프로그램과 비교, <이웃집 찰스>가 재현에서 보이는 차이점은 크게 인구사회학적으로 다양한 속성의 이주민 출연과 결혼이주남성의 주인공 등장을 들 수가 있다. 차이의 원인을 보면, 최근 이주의 형태가 동남아 결혼여성과 노동자 중심에서 지역적으로 서구 사회를 포함하고 결혼남성이 증가하는 형태로 다양화하고 있다. 이런 변화가 미디어 재현을 부분적으로 견인하고 있다고 본 연구는 발견하였다. <이웃집 찰스>에서 이주민 재현 대상자는 다양해졌지만, 이주민을 한국 전통 문화에 통합되어야 하는 대상으로 간주했던 민족주의적인 특징도 잔존했다. 이주민의 활동을 공적 영역으로 확장시키고, 사회적 차이와 편견에 대한 의견 개진, 한국 전통문화에 대한 비판 등은 이주민의 재현을 긍정적으로 확장시킨다. 동시에, 젠더적인 관점에서 보면, 이주민 가족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형태의 문제들이 재현되었지만, 전통적인 가족주의 담론이 문제 해결 수단으로 제시되었다. 정리하면, 본 연구는 이주민과 관련한 사회적 변화와 함께 나타나는 이주민 재현 변화를 분석, 기존 이주민 연구를 보강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S. Castles and M. J. Miller, The age of Migration: International population movements in the modern world, Palgrave Macmillan, 2009.
  2.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7/05/2015070501097.html
  3. 이창호, 정의철, "다문화 사회 대중매체의 사회통합적 역할 탐구," 한국방송학보, 제24권, 제5호, pp.370-414, 2010.
  4. http://media.daum.net/culture/view.html?cateid=1067&newsid=20120124152915263&p=mkeconomy
  5. C. Taylor, Mluticulturalism examining and Politics of Educa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4.
  6. 조은,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가족 정치의 지형," 한국여성학, 제24권, 제2호, pp.5-37, 2008
  7. 통계청, "시도/외국인 아내의 국적별 혼인," "시도/외국인 남편의 국적별 혼인".
  8. 장경섭, "개발국가, 복지국가, 위험가족: 한국의 개발자유주의와 재생산 위기," 한국 사회정책, 제18권, 제3호, pp.63-90, 2011.
  9. 이승환, "한국'家族主義'의 의미와 기원, 그리고 변화가능성," 유교사상문화연구, 제20권, pp.45-66, 2004.
  10. 이명호, "가족관련 분석적 개념의 재구성, 가족주의에서 가족중심주의로," 사회사상과 문화, 제28집, pp.359-393, 2013.
  11. K. Gerson, The unfinished revolution: How a new generation is reshaping family, work, and gender in America,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12. 신경아, "신자유주의시대 남성 생계부양자의식의 균열과 젠더관계의 변화," 한국여성학, 제30권, 제4호, pp.153-187, 2014.
  13. 이수자, "이주여성 디아스포라: 국제성별분업, 문화혼종성, 타자화와 섹슈얼리티," 한국 사회학, 제38집, 제2호, pp.189-219, 2004.
  14. U. Beck and E. Beck-Gernsheim, 한상진, 심영 희 (편저), 위험에 처한 세계와 가족의 미래, 새물결, 2010.
  15. H. K. Bhabba, The location of culture, Lindon: Routledge, 1994.
  16. S. Hall, The cultural studies Reader, Routledge, 1997.
  17. J. Fiske and J. Hartley, Reading Television, Methuen, 1978.
  18. 정의철, "다문화 사회와 이주민 미디어," 한국언론과학연구, 제11권, 제4호, pp.489-526, 2011.
  19. 김경희, "텔레비전 뉴스 내러티브에 나타난 재한 이주민의 특성: 뉴스 초점 이주민과 주변 인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3권, 제3호, pp.7-46, 2009.
  20. 이상길, 안지현, "다문화주의와 미디어/문화연구: 국내 연구동향의 검토와 새로운 전망의 모색," 한국언론학보, 제51권, 제5호, pp.58-83, 2007.
  21. 이경숙, "혼종적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포섭된'이산인'의 정체성: <러브 人 아시아>의 텍스트 분석," 한국방송학보, 제20권, 제3호, pp.239-276, 2006.
  22. 권금상, "대중매체가 생산하는'이주여성'재현의 사회적 의미," 다문화사회연구, 제6권, 제2호, pp.39-81, 2013.
  23. 정선주, 최성보, "TV프로그램에 재현되는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특성: EBS<다문화고부열전>을 중심으로," 다문화교육연구, 제8권, 제2호, pp.97-122, 2015.
  24. 김수정, 김은희, "아시아여성의 국제결혼에 대한 미디어 담론," 한국언론정보학보, 제43호, pp.385-426, 2008.
  25. 김인영, 박관영, 이인희, "TV프로그램에 나타난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특수성에 관한 미디어 담론 : KBS <러브 인 아시아>와 <미녀들의 수다>를 중심으로," OUGHTOPIA, 제24권, 제2호, pp.69-95, 2009.
  26. 손희정, "우리시대의 이방인 재현과 자유주의적 호모내셔널리티," 문학과학, pp.364-386, 2015.
  27. 홍지아, "'젠더적 시각에서 바라본 한국 언론의 다문화 담론' 경향, 동아, 조선, 한겨레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10권, 제4호, pp.644-678, 2010.
  28. D. Bordwell and K. Thompson, Film art: An introduction (9thEd.), McGraw-Hill, 2010.
  29. 강현민, "다문화가정의 사소한 갈등: <다문화고부열전>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 15권, 제8호, pp.179-185,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8.179
  30. 안진, "나는 왜 백인 출연자를 선택하는가?," 미디어, 젠더 & 문화, 제30권, 제3호, pp.83-121, 2015.
  31. 정수영, "TV 영상자막의 특징 및 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3권, 제6호, pp.153-176, 2009.
  32. 조지영, 서정민, "누가 다문화 사회를 노래하는 가?: 신자유주의적 통치술로써의 한국 다문화 담론과 그 효과," 한국 사회학, 제47권, 제5호, pp.101-137, 2013.
  33. 전경옥, "젠더 관점에서 본 다문화 사회의 사회 통합," 아시아여성연구, 제46권, 제1호, pp.7-42, 2007.
  34. http://www.fnnews.com/news/201510041729305310
  35. 김미라, "TV매체에 재현된 새로운 남성성(masculinity)과 그 한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 pp.88-96,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1.0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