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male mice

검색결과 655건 처리시간 0.022초

SPF ICR 마우스에 있어서 1:1 상시동거 교배에 의한 번식성숙 (Reproductive Performance of SPF ICR Mice under Single Paired Mating)

  • 송창우;이상준;김정란;한상섭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61-267
    • /
    • 1992
  •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SPF ICR mice under single paired mating were examined to get reproductive background data and to establish single paired rotational mating system.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average litter size was 15.4$\pm$2.0 heads ; average weaning rate was 95.7$\pm$4.9% ; sex ratio(male/female) was 1.09$\pm$0.26 ; aveage delivery interval was 23.0$\pm$2.4 days. It was given the largest litter size at the age of 121~150 days and in 2nd~4th parities, but at the age of under 90 days and in 1st parity weaning rate and delivery interval were higher and shorter than those of the other ages and parities, respectively. In sex ratio, the number of male litters was slightly increased from that of female litters. The weaning rate of litters from dams which nuresed 12 litters was the highest among those of different litter sizes, and it was decreased dependent upon increment of litter size. There were no difference among 4 groups for reproductive performance, therefore the present study could have important sources for animal breeders who produce mice using the single paired rotational mating system.

  • PDF

발효 육미지황탕 추출물의 급성독성 실험 (Acute Toxicity Study on Fermented Yukmijihwangtang Extract in Mice)

  • 박화용;이지혜;조장원;마진열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93-98
    • /
    • 2009
  • In this research, the acute toxicity of fermented Yukmijihwangtang extract was examined using male and female ICR mice, To evaluate the acute toxity and safety, 0(control group), 1250, 2500 and 5000 mg/kg of fermented Yukmijihwangtang extract were orally administered to male and female ICR mice. After single administration, we observed survival rates, general toxicity, changes of body weight for the 14 days and autopsy at 1 day following the administration according to the Regulation of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e could not find any toxic alteration in all treated groups (1250, 2500 and 5000 mg/kg). $LD_{50}$ of fermented Yukmijihwangtang extract might be over 5000 mg/kg and it is very safe to ICR mice.

  • PDF

감마선 조사 오렌지의 급성 및 아만성 독성 평가 (Acute and Subchronic Toxicity of Gamma-Irradiated Orange)

  • 정다운;황옥화;최근표;강일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9호
    • /
    • pp.1286-129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조사식품의 규정을 확립하고 안전성을 입증하기 위해 1 kGy 감마선 조사 오렌지를 ICR 마우스에 투여 또는 섭취시켜 급성 및 아만성 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급성독성의 경우 시험물질을 0, 1,000, 2,000 mg/kg의 용량으로 설정하여 단회 투여한 후 14일간 사망동물, 일반 증상, 체중 변화, 부검소견, 혈액학적 및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수행한 결과 어떠한 이상도 관찰되지 않았으며, 통계학적으로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1 kGy 감마선 조사 오렌지의 대략의 치사량(approximate lethal dose)은 암수 ICR 마우스 모두 2,000 mg/kg을 상회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아만성독성은 시험물질을 식이에 함유하도록 하여 3개월간 섭취시킨 후 사망동물, 일반증상, 체중 변화, 사료 섭취량, 장기 무게, 조직학적 검사, 혈액학적 및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수행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암수 ICR 마우스 모두에서 사망동물이나 이상증상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체중 변화, 사료 섭취량 및 장기 무게에서도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액학적 및 혈액생화학적 검사에서도 암수 ICR 마우스 모두 정상적인 수치를 나타냈다. 또한 조직학적 검사에서 간, 신장 조직은 모두 정상적인 구조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염증, 괴사 등의 유의할만한 병적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1 kGy 감마선 조사 오렌지를 ICR 마우스에 3개월간 섭취시켜도 본 시험조건에서는 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골다공증 모델동물, SAMP6의 특성 연구 (Studies of SAMP6 as an Animal Model for Human Osteoporosis)

  • 김은주;김양범;송창우;한상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82-193
    • /
    • 1999
  • SAMP6의 성별 및 가령에 따른 생물학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3, 5, 18개월령의 SAMP6 암컷, 수컷의 체중, 장기중량, 혈액학적 및 혈액생화학적 수치, 골의 무게, 비중, 두께 및 골의 화학적 분석을 위해 인과 칼슘을 측정하였다. 1. 체중은 수컷에서 7개월령부터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암컷은 18개월령부터 체중이 감소되기 시작했다. 장기중량을 보면, 간, 신장, 폐의 중량은 수컷이 암컷보다 무거웠으며, 흉선은 암컷이 수컷보다 무겁게 나타났다. 2. 혈액학적 및 혈액생화학적 검사결과 백혈구수가 수컷이 암컷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적혈구수는 암컷이 높게 나타났다. GOT는 5, 7개월령에, BUN은 전체개월령에서 수컷이 암컷보다 높게 나타났다.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은 3개월령과 비교하여, 전체 개월령에서 유의성있는 감소가 관찰되었다. 3. 골두께를 측정한 결과 대퇴골에서 암수 모두 7개월령 부터 골두께의 급격한 감소가 나타났다. Cortical thickness index를 측정한 결과 대퇴골에서 암수 모두 5개월령에서 최고치에 다다랐으며, 이후 계속 감소하였다. 4. 골의 칼슘량을 정한 결과, 대퇴골에서 암수 모두 5개월령에 칼슘량이 최고치에 달했으며, 이후 계속 감소하였고, 인량은 수컷에서 5개월령, 암컷에서는 7개월령에 최고치에 달하였고, 이후 계속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에서 사용한 골다공증 모델동물인 SAMP6의 특성발현은 5개월 이후 동물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따라서 이들 동물을 골다공증 약물 개발을 위한 약효검색에 이용할 때에는 5개월령 이후 7개월령의 동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험에서 유의성 있는 특성발현이 나타난 골 두께 및 골의 칼슘과 인량, alkaline phosphatase 활성 측정등을 약효 검색에 사용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 PDF

Single Oral Dose Toxicity Test of Persicae Semen Aqueous Extracts in Mice

  • Cho, Hun-Bum;Park, Ji-Ha;Seo, Bu-Il;Cho, Su-Yeon;Park, Kyu-Ryul;Choi, Seung-Hoon;Han, Chang-Kyun;Song, Chang-Hyun;Park, Soo-Jin;Ku, Sae-Kwang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7-24
    • /
    • 2013
  •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ingle dose toxicity of Persicae Semen (PS) in ICR mice. Methods : Aqueous extracts of PS (Yield = 18.60%) were administered as an oral dose of 2,000, 1,000 and 500 mg/kg (body weight)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 of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guidelines (2009-116, 2009). Animals were monitored for the mortality and changes in body weight, clinical signs and gross observation during 14 days after dosing, upon necropsy; organ weight and histopathology of 12 principle organs were examined. Results : Amygdalin contents in PS aqueous extracts were detected as $32.50{\pm}5.96{\mu}g/ml$. We could not find any PS extracts treatment related mortalities, clinical signs, changes on the body and organ weights, gross and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s up to 2,000 mg/kg in both female and male mice, except for transient and slight loss of locomotion detected in female and male mice treated with 2,000 mg/kg. In addition, pharmacological immunomodulatory effects related findings were also demonstrated in 2,000mg/kg treated female and male mice as hypertrophy and hyperplasia of lymphoid cells in the submandibular lymph nodes. Conclusions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the approximate lethal dose (ALD) of PS extracts after single oral treatment in female and male mice were considered above 2,000 mg/kg, respectively. It should be carefully used in clinics because the possibilities of respiratory or neurological disorders were observed when administered over 2,000 mg/kg of PS extract related to amygdalin.

Hairless Mice를 이용한 광노화 모델에서 APB-01의 경구반복투여에 의한 피부주름개선 효과 시험 (Effect of APB-01 on the Ultraviolet-Induced Photoaging and Wrinkle Formation in the Hairless Mice)

  • 이지해;이병석;변범선;김완기;이상준;심영철;김배환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9권4호
    • /
    • pp.303-310
    • /
    • 2003
  • Ultraviolet (UV) is thought to induce erythema, sun-burn, photo-toxicity, photo-allergy, photo-aging and sometimes skin tumor. To investigate the photo-protective effects of APB-01 (Amore-Pacific Beauty-01, the mixture of Jaummi-dan and Fujiflavone P10) on UV-induced skin damage, forty of SKH hairless female mice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APB-01 or saline fifth a week, and irradiated with UV third a week for up to ten weeks.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ble changes and skin damage in the dermis and epidermis. In the APB-01 treated group, a better skin and less wrinkles formation were observed when compared to the UV control group. This results demonstrated that oral administration of APB-01 seems to have photo-protective effects on UV-induced skin damage of hairless mice due to an inhibitory effect on collagen breakdown, and the model using hairless mice is very useful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functional beauty foods.

김치로부터 분리한 Exopolysaccharide생성 유산균 Leuconostoc kimchii GJ2의 마우스에 대한 급성독성 (Acute Toxicity of Leuconostoc kimchii GJ2, An Exopolysaccharide-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in Mice)

  • 이재준;이유미;장해춘;이명렬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61-567
    • /
    • 2007
  • 본 연구는 김치로부터 분리한 EPS생성 유산균 Leu. kimchii GJ2에 대한 급성독성시험을 위하여 복강 및 경구로 1회 시료물질을 최고 용량(복강: 2,500 mg/kg, 경구: 5,000 mg/kg)으로, 10마리 ICR계통 암수 마우스에게 투여한 후 14일간의 일반증상, 사망률, 체중, 임상증상 및 육안적 소견을 관찰하였다. 복강 및 경구투여한 후 24시간 이내에 일부 시료투여군에서 부분적으로 사망례가 관찰되었으나 나머지 시험동물은 계속 생존하여 평균치사량을 산출할 수 없었다. 복강 혹은 경구투여한 후 마우스의 체중변화에 있어서도 암수 모두 대조군과 시료물질 투여군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생존동물의 부검결과에서도 내부장기의 육안적 이상 소견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시험물질인 Leu. kimchii GJ2는 복강 및 경구투여 시 마우스에서 독성학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LD_{50}$은 복강투여가 2,500 mg/kg, 경구투여가 5,000 mg/kg 이상인 저독성의 안전한 물질로 사료된다.

김치로부터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AF1의 마우스에 대한 급성독성 (Acute Toxic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AF1 Isolated from Kimchi in Mice)

  • 이환;이재준;장해춘;이명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15-321
    • /
    • 2012
  • 본 연구는 김치에서 분리한 항진균 및 항세균 활성을 나타내는 $Lb.$ $plantarum$ AF1을 분리하여 이 균의 천연 식품보존제 및 사료보존제로서 사용 적합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단회 급성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급성독성시험을 위하여 경구 혹은 복강으로 1회 시험물질을 최고 용량(경구: 5,000 mg/kg, 복강: 2,500 mg/kg)으로 하여 ICR계통 암 수 마우스에게 용량별 각 군당 10마리씩 투여한 후 14일간의 일반증상, 사망률, 체중, 임상증상 및 육안적 소견을 관찰하였다. 단회 경구투여 혹은 복강주사한 후 모든 시험군에서 사망례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시험동물은 시험 종료 시까지 계속 생존하여 평균치사량을 산출할 수 없었다. 복강 혹은 경구투여한 후 마우스의 체중변화에 있어서도 암 수 모두 대조군과 시료물질 투여군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용량 의존적인 차이도 볼 수 없었다. 경구구투여 혹은 복강주사 단회 투여한 후 시험 종료한 다음 생존동물 모두를 부검하여 주요 장기의 육안적 소견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과 시료투여군 모두에서 외관상이나 내부장기에 어떠한 이상소견이나 병변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시험물질인 $Lb.$ $plantarum$ AF1는 경구투여 혹은 복강주사 시 ICR계통 암 수 마우스에서 독성학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LD_{50}$은 복강주사가 2,500 mg/kg, 경구투여가 5,000 mg/kg 이상인 저독성의 안전한 물질로 사료된다.

인삼이 장기의 Alkaline Phosphatase활성과 혈중 무기 인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orean Ginseng on the Visceral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nd Blood Inorganic Phosphorus Level)

  • 정노팔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7권1호
    • /
    • pp.1-11
    • /
    • 1973
  • 인삼이 생쥐의 장기 alkaline phosphat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아기 위하여 인삼의 알코올 추출물을 Tyrode solution에 희석하여 체중 10g당 0.1mg 또는 0.2mg 씩 매일 주사하여 7일간과 14일간 처리하였다. 공장, 신장, 간, 혈청등에서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sodium ${\beta}-glycerophophosphate$를 기질로 하여 각 장기의 homogenate 또는 혈청을 반응시켜 효소의 unit를 결정하였으며, 혈중 무기 인의 함량도 측정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숫생쥐의 7일간 처리에서 인삼추출물(0.1mg/10g) 처리군이 Tyrode solution 처리군보다 공장, 신장, 간, 혈청에서 각각 15.28%, 12.86%, 19.05%, 11.70%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증가를 나타내었다. 2. 암생쥐의 7일간 처리에서 인삼추출물(0.2mg/10g)은 공장, 신장, 간, 혈청에서 각각 3.46%, 6.94%, 20.37%, 4.03%의 활성증가를 나타내었다. 3. 숫생쥐의 14일간 처리에서 인삼추출물(0.1mg/10g)은 공장, 신장, 간, 혈청에서 각각 15.92%, 19.76%, 10.16%, -1.63%의 활성증가를 나타내었다. 4. 암생쥐의 14일간 처리에서 인삼추출물(0.2mg/10g)은 공장, 신장, 간, 혈청에서 각각 18.89%, 24.55%, 16.97%, 27.59%의 활성증가를 나타내었다. 5. 암수 다 같이 7일간 처리에서 간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증가현상은 14일 처리에서 약간 감소하는 반면 공장, 신장, 혈청의 효소활성증가 현상은 7일간 처리에서보다 14일간 처리에서 훨씬 촉진되었다. 6. 인삼추출물의 7일간, 14일간 처리는 수컷의 혈중 무기 인량을 각각 22.20%, 20.96% 증가시켰으며, 암컷에서는 각각 22.38%, 17.57% 증가시켰다.

  • PDF

Measurement of Hemoglobin Adducts in Female Mice Inhaled with 1,3-butadiene by Using GC/MS

  • Lee, Jin-Heon;Shin, Ho-Sang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01-307
    • /
    • 2004
  • 1,3-butadiene(DB) is a well-established rodent carcinogen, and a probable carcinogen to humans.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formation of hemoglobin adduct in ICR female mice inhaled with BD for 3 weeks (5 hr/day, 5 days/week). Body weights of mice were significantly low from onward day 4 or 9 of exposure comparing the control. Hemoglobin adducts formed by DB exposure were (N-2-hydroxy-3-butenyl) valine (HB Val adduct) and (N-2,3,4-trihydroxy-butyl)valine(THB Val adduct). The levels of HB Val adducts were 1.8, 3.7 and 6.2 pmol/mg globin for the 500 ppm BD inhalation group, and 5.7, 7.4 and 16.0 pmol/mg globin for the 1000 ppm BD inhalation group, when observed on the $1^{st},\;2^{nd},\;and\;3^{rd}$ week after inhalation exposure, respectively. The levels of THBVal adducts were 32.0, 42.0 and 55.0 pmol/mg globin for the 500 ppm DB inhalation group, and 67.8, 72.7 and 83.5 pmol/mg globin for the 1000 ppm BD inhalation group, when observed on the $1^{st},\;2^{nd},\;and\;3^{rd}$ week after inhalation exposure, respectively. Ratios of THBVal and HBVal adducts were higher at earlier exposure period and lower concentration. Ratios on the $1^{st},\;2^{nd},\;and\;3^{rd}$ week were 17.8, 11.4 and 8.87 for the 500 ppm BD inhalation group, and 11.9, 9.8 and 5.2 for the 1000 ppm BD inhalation group,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B Val and HB Val adducts were the important hemoglobin adducts in ICR female mice inhaled with BD, and the latter was more appropriate biomarker than the other for biological monitoring of BD expos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