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all precipitation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4초

동해시의 강수 분포 특성 (The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in Donghae-Shi)

  • 이장렬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5-52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동해시의 강수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자(1993~1997) 해안, 동해 레이더 기상대, 서부 산지의 고도 148m, 고도 320m, 고도 842m와 같은 고도의 경포해안, 설악산 관리사무소, 소금강 관리사무소의 AWS, 대관령 기상관측소 등의 일.월별 강수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동해시에서 1시간 최다 강수량은 62.4mm, 일 최다 강수량은 200mm, 월 최다 강수량은 355.5mm이고, 일 신적설 최심은 35.5cm이다. 여름철 강수량은 해안에서 서부 산지로 고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고, 겨울철 강수량은 해안이나 높은 산지에 많은 편이다. 동해시에 나타난 호우 중 강우량이 가장 많았던 경우는 태풍이 통과할 때이고, 그 다음은 장마전선, 저기압 통과 순이다. 일 강수량 20mm 이상이 나타난 날은 총 81일인데 이 중 44일이 여름철에 나타났다. 이는 장마전선의 북상과 오호츠크해 고기압에 의한 북동기류의 유입 때문이다. 동해시에서는 종관 환경 에 따라 해안과 높은 산지에 강설량의 차이가 나타났다.

  • PDF

우리나라에서 계절별 일교차의 분포 특성과 그 원인 (Characteristics of Seasonal Mean Diurnal Temperature Range and Their Causes over South Korea)

  • 서명석;홍성근;강전호
    • 대기
    • /
    • 제19권2호
    • /
    • pp.155-168
    • /
    • 2009
  • Characteristics of seasonal mean diurnal temperature range (DTR) and their causes over South Korea are investigated using the 60 stations data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from 1976 to 2005. In general, the seasonal mean DTR is greatest during spring (in inland area) and least during summer (urban and coastal area). The spatial and seasonal variations of DTR are closely linked with the land surface conditions (especially vegetation activity and soil moisture) and atmospheric conditions (cloud amount, precipitation, local circulation). The seasonal mean DTR shows a decreasing trend at the major urban areas and at the north-eastern part of South Korea. Whereas, it shows an increasing trend at the central area of the southern part. Decreasing and increasing trends of DTR are more significant during summer and fall, and during spring and winter. The decrease (increase) of DTR is mainly caused by the stronger increase of daily minimum (maximum) temperature than daily maximum (minimum) temperature. The negative effects of precipitation and cloud amount on the DTR are greater during spring and at the inland area than during winter and at the coastal area. And the effect of daytime precipitation on the DTR is greater than that of nighttime precipitation.

기후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강수효율 및 유출량의 변화특성 분석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Trends of Precipitation Effectiveness Ratio and Runoff Data in South Korea)

  • 김종필;김광섭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4권8호
    • /
    • pp.683-694
    • /
    • 2011
  • 기후변화에 따른 지역적 영향인 기온 상승과 강수량 변화로 인한 수자원 변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상청(KMA)으로부터 전국 59개 관측지점에 대해서 1973년부터 2009년까지 강수량 및 기온자료를 이용하여 산정한 강수효율자료와 국가수자원관리종합시스템(WAMIS)으로부터 1966년부터 2007년까지 PRMS 모의 유출량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강수효율의 거동은 강수량의 변화 특성을 따르나 지역적으로 강수량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기온 상승에 따라 강수효율이 감소하는 거동을 보였으며, 이는 유출량의 변화 특성과 유사하였다. 또한 유출량의 평균대비 변화율은 강수량 변화보다 상당히 크게 나타나, 기후변화의 영향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수량이 증가하는 5월~9월을 제외한 전체 기간에 대하여 강수효율은 강수량보다 더 유의한 감소 경향을 나타내고 있어 해당기간의 가용 수자원량이 줄어들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특성은 봄, 가을 및 겨울철 수자원 관리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Satellite monitoring and prediction for the occurrence of the red tide in the coastal areas in the South Sea of Korea - I.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ccurrence of red tide and the meteorological factors

  • Yoon, Hong-Joo;Kim, Young-Seup;Kim, Sang-Wo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656-656
    • /
    • 2002
  • It is studi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ccurrence of red tide(Chlorophyll-a concentration by the in-situ and satellite data) and the meteorological factors (precipitation, air temperature, sunshine and winds) in the coastal areas in the South Sea of Korea. In summer and early-fall which frequently occurred the red tide, the precipitation above 213mm had directly influence on the occurrence of red tide because it carried the nutritive substance which originated from the land into the coastal areas. Then air temperature kept up generally high values as 23~26$^{\circ}C$, and sunshine with 187~198hours and wind velocity with 3.1~7.9m/s showed not directly the relationship on the occurrence of red tide.

  • PDF

잣나무 임분에 있어서 강우수질의 이동 특성 (Water Chemistry Profiles under Korean White Pine (Pinus koraiensis S. et Z.) Stand)

  • 진현오;정덕영;이충화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10-118
    • /
    • 1999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haracterize the vertical transport trend of dissolved elements through throughfall, stemflow, effluent from Ao layer, and leachate out of soil profile on Pinus koraiensis stand in Experimental Forest of Kyunghee University, located in Kwangju, Kyunggi province for 12 months from July, 1998 to Jun, 1999.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content of dissolved element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water chemistry concentrations separately collected from the field. Water movement in the process of throughfall and stemflow from precipitation, and rainfall leached from Ao layer into soil water was governed by concentration of through fall, precipitation, rainfall intensity, seasonal variation, and other factors. Also, smaller changes of pH in soil water than that of dissolved elements in soil water could contribute buffer capacity, as well as balancing the concentration between cations and anions.

  • PDF

계절에 따른 강우중 삼중수소 함량변화 (Tritium concentration in rain with seasonal variation)

  • 윤윤열;김경자;이길용;고경석
    • 분석과학
    • /
    • 제23권2호
    • /
    • pp.161-164
    • /
    • 2010
  • 지하수 연구를 위한 추적자로 삼중수소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강우중 삼중수소 양을 알아야 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2007년부터 2009년까지 대전에서 매 월 강우를 채집하여 삼중수소 함량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강우중의 삼중수소 양은 최소 4.2 TU부터 최대 18.6 TU의 변화를 보였으며 여름과 겨울에 삼중수소의 양이 감소하고 봄과 가을에 그 양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강우중의 평균 삼중수소 양을 강우량과 연관한 가중평균을 구한 결과 $7.85{\pm}0.46\;TU$를 나타내었다.

잣나무 임분(林分)의 임내강우량(林內降雨量)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net Precipitation in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S. et Z.) Stand)

  • 이현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4호
    • /
    • pp.562-570
    • /
    • 1998
  • 잣나무 임분의 임내강우량을 연도별, 월별, 강우별, 임내 위치별로 측정 분석하기 위하여 강원도 원주시 상지대학교 교내 잣나무 임분에서 1993년 4월부터 1996년 10월까지 4년 동안 조사하였다. 이 기간 동안에 평균 임내 강우량률은 55.7% 이었고, 5월에 45.7%로 가장 낮았으며, 7월에는 62.9%로 가장 높았다. 수간으로부터 0.3m 떨어진 곳에서 얻어진 평균 수관통과우량률은 45.9%이었고, 0.6m의 수관통과우량률은 60.3%이었다. 10mm 이하의 강우량에서는 임내강우량률이 37.5%이었고, 100mm 이상에서는 평균 70.9%이었다. 수관통과우량률과 강우량의 추정회귀식은 $Y_{(%)}=12.35LnX_{(mm)}+9.45$($R^2=0.735^{**}$)로 고도로 유의하였으며, 수간유하우량과 강우량과의 상관식은 $Y_{({\ell})}=0.27X_{(mm)}-1.83$$R^2=0.921^{**}$)이었으며, 잣나무의 임내강우량률은 강우량과의 상관관계에서 $Y_{(%)}=13.79LnX_{(mm)}+4.56$($R^2=0.946^{**}$)으로 1%의 유의수준에서 고도로 유의하였다.

  • PDF

우리나라 사계절 다중일 누적 극한강수현상의 시·공간적 변화 (Spatio-Temporal Changes in Seasonal Multi-day Cumulative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 최광용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8-11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최근 40년간(1973~2012) 우리나라 기상청 산하 61개 관측지점의 일강수량 자료를 바탕으로 1~5일 누적 최대 강수량에서 추출한 각 계절별 다중일 누적 극한강수현상의 시 공간적 발생 패턴과 변화 양상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사계절 중 다중일 누적 극한강수현상의 규모 자체는 여름철에 가장 크지만, 계절 강수량 증감에 따른 극한강수현상 규모 변화민감도는 가을철에 더 높게 나타난다. 장기간 시계열에 나타난 선형 추세 분석에 따르면, 1~5일 다중일 누적 극한강수현상의 규모는 동일하게 사계절 중 여름철에 가장 뚜렷하게 증가하는 변화 양상이 나타난다. 특히, 경기도와 강원영서, 충청도 지역을 중심으로 여름철 다중일 누적 극한강수현상의 증가 규모가 크고 뚜렷하게 나타나고, 1일에서 5일로 누적 기간이 길수록 다중일 누적 극한강수현상의 증가 경향은 이들 지역이외에 소백산맥 주변지역에서도 관찰된다.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는 이러한 다중일 누적 극한강수현상 증가추세는 일부 관측지점에서는 겨울철에도 1~2일 누적 극한강수현상에 나타나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한편, 극한강수량이 계절 강수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의 변화 추세를 분석해보면, 사계절 중 겨울철에 증가 경향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들은 여름철뿐만 아니라 다른 계절의 다중일 누적 극한강수현상의 시 공간적 변화에도 대비할 필요성이 있음을 가리킨다.

  • PDF

초음파식 유량계측 기술을 응용한 강수량측정장치 개발 (Development of a Precipitation Gauge Using Ultrasonic Measuring Technique)

  • 서강도;홍성택;유철;이경우;지유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2745-2752
    • /
    • 2013
  • 강우량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전도형 및 중량형 강수량계가 전 세계적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강수량계는 관측오차와 자체 분해능의 한계로 인해 측정범위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강수량계는 유량측정을 통해 강수량을 환산하는 원리를 최초로 적용하였으며, 개발된 모델을 국가공인교정기관(KOLAS)에서 표준교정시스템을 이용하여 실내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강수량계는 실험조건에서 설정한 20~420 mm/H의 강우강도 구간에 걸쳐 ${\pm}2%$의 오차율을 나타냈고, 종래 대비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측정이 가능함을 보였다.

중량식 원형 적설판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Weight Type Rounded Snow Plate)

  • 이부용;김현철
    • 대기
    • /
    • 제19권1호
    • /
    • pp.1-8
    • /
    • 2009
  • We need water equivalent unit data of snowfall for the purpose of forecast and hydrology related research area. This study developed new method of automatic recording snowfall as weight unit with circle type plate using stain-gauge loadcell. Field test of instrument carried out at Daegwallyeong Obs. Station from 20 to 23 Jan. 2008 during heavy snowfall. There is 74.2cm snow depth and 54.6mm precipitation by Daegwallyeong Obs. Station. But the instrument of this study recorded 71.0mm of precipitation amount. Because of different observation method can cause more 15.4mm than Daegwallyeong Obs. Station. But this study gives the possibility of observation of new snow fall measurement under freezing conditions of snow. From the observation data the density of snowfall calculated from 0.09 to $1015g/cm_3$ from the observation period. And have a good relations between manual observation and automatic observation data from this study instrument with slope of 1.35 to 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