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acting solvents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34초

유출조건에 따른 인삼중의 Ginseng Extract와 Saponin 합량변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xtracting Methods of Ginseng Extract and Saponins in Panax Ginseng)

  • 주현규;조규성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권1호
    • /
    • pp.40-53
    • /
    • 1979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optimal conditions which affects to extraction of ginseng extract and saponin in ginseng extract, experiment was carried out varing with ethanol percentage, extraction time, temperature, sol$.$vent and Plant Parts. The results art as follows: 1. The amounts of ginseng saponin was increased according to increanation of ethanol Percentage while the amounts of ginseng extract was decreased. 2. The amounts of ginseng extract was increased as the prolongation of extraction time, on the ether hand, ginseng saponin contents increased lentil 40hr. and decreased after that. 3. By the raise of extract temperature, both of the amounts of ginseng saponin and ginseng extract was increased two times and four times. respectively. 4. The total amounts ginseng extract was obtained 22.86u when the water used as the extraction solvent, 11.28% on ethanol and 11.04U on methanol, in the order. and the saponin contents gained when the extraction solvents of water, methanol and ethanol 7.47%, 12.36% and 12.77%, respectively. 5. It showed 9.23% of ginseng extract in epidermis and 8.4% of ginseng saponin in tail Part of raw ginseng and in the case of dried ginseng, ginseng extract and saponin showed the most amounts in epidermis of 18.28% and 19.35%, respectively. 6. The ratio of panaxadiol and panaxatriol contents of ginseng saponin was almost same when it was extracted varing with ethanol percentage and extraction time (duration), and the more alcohol percentage and the longer extraction time increased, the more fractional content of ginseng saponin was extracted.

  • PDF

인삼엑기스 제조에 관한 연구 제1보, 수삼 엑기스 제조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Ginseng Extracts 1. Production of extracts from fresh ginseng)

  • 김해중;임무현;조규성;주현규;이석건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권1호
    • /
    • pp.1-7
    • /
    • 1980
  • In order to establish effective extracting method of ginseng extracts from fresh ginseng, the yield, chemical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and organoleptic quality of the extracts, which are extrac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ethanol,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yield of the extracts was increased with de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ethanol as solvent. As in case of water as a solvents, the highest yield was achieved when 23.64% of water was used. The yield were 12.3% and 9.05%, when 70% and 90% of ethanol were used, respectively lively. 2. Crude protein content is the highest level and nitrogen·free extracts content is the lowest at the concentration of 50% ethanol. Lipid was increased linerly while ash was decreased as increment of ethanol concentration. 3. Viscosity and residue of the extracts also de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ment of ethanol concentration and the transmittance value and pH of extract solutions were almost similar except transmittance value of the water extracts. 4. The extracts extracted with 70% ethanol gave the best result of sensory test. The total sensory test score of each extracts (70%, 90%, 50%, 0% and 30%) were 70, 65, 50, 46 and 41, respectively.

  • PDF

길경(桔梗)의 추출조건에 따른 사포닌함량의 변화 (제2보) (Variation of Saponin Content in the Decoctions of Platycodi Radix (II))

  • 유대석;최연희;차미란;최춘환;김미리;연규환;홍경식;이병회;김은주;조상욱;김영섭;유시용;강종성
    • 생약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47-152
    • /
    • 2010
  • The capability of the solvents for extracting the bioactive saponins from the roo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Campanulaceae) was investigated to obtain an ideal extract which contained bioactive saponins with high quality and high quantity. The content of eight representative saponins in extracts, such as deapioplatycoside E, platycoside E, platyconic acid A and platycodin D, platycodin $D_3$, platycodin $D_2$, polygalacin $D_2$, polygalacin D were analyzed simultaneousely by the modified HPLC analytical method. The validation test of the modifi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tical method employing the ELSD equipped HPLC for eight representative saponins in the roots extract of P. grandiflorum showed a good linearity, precision and accurac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2$) values of the calbration curves for each saponins were observed to be over 0.9990. LOD and LOQ of each saponin was calculated as $0.10{\mu}g{\sim}0.40{\mu}g$ (LOD) and $0.40{\mu}g{\sim}0.80{\mu}g$ (LOQ), respectively. Recovery rates of each saponin were also calculated as over 98%, respectively. With exception of two saponins, platyconic acid A and platycodin D, The content of eight saponins in extracts was decreased proportionally to the increment of the water ratio of solvent for extraction. Consequently, as aquous alcohol was used as a solvent for extracting the saponin components from powdered roots of P. grandiflorum, the water content in the aquous alcohol was seemed to be a critical factor for extracting efficacy. The 60-80% ratio of alcohol in the aquous alcohol were deduced to be suitable and recommendable for the preparation of roots extract of P. grandiflorum which contained saponins with high quality and high quantity.

마늘 Oleoresin 제조시 휘발성성분에 관한 추출용매효과 (Effect of Extraction Solvent on Volatile Compounds of Garlic Oleoresin)

  • 정은주;김종필;조지은;이재우;이양봉;김우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33-1037
    • /
    • 2001
  • 마늘의 이용성 증진에 관한 기초자료와 제품의 품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마늘 oleoresin 제조과정 중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알기 위해 휘발성 향기성분을 4가지 용매로 추출하여 농축한 후, 가스크로마토그래피와 질량 분석 검출기 (mass selective detector)를 이용하여 polar(Supelcowax-$10^{TM}$)와 nonpolar capillary column(HP-5)에서 각각 분리, 동정하였다. 용매에 따른 oreoresin 추출을 보면 methanol을 사용하여 추출한 경우가 가장 peak area가 높았고 그외 acetone, methy acetate, hexane을 사용한 경우는 비슷하였다 Polar capillary column에서 총 41종이 분류되었고, pyran 및 그 유도체 물질 13종, 황화합물이 11여종, furan 및 그 유도체들이 6종, alcohol류 2종 분류되었고 그밖에도 2종의 heterocyclic compound가 각각 확인되었다. Nonpolar capillary column에서는 32종의 향기성분이 동정되었고, pyran및 그 유도체물질이 11종, 황화합물 11여 종, acid류 5종, pyran 및 그 유도체들이 3종 그밖에 eugenol 등이 나타났다. Nonpolar 보다 polar에서 휘발성성분의 다량 검출되었으며, 대부분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극성이 강한 methanol에서 잘 추출되었지만 마늘의 주요휘발성 성분인 황화합물 즉, 3,3'-thiobis 1-propene, methyl 2-propenyl disulfide, dimethyl trisulfide, di-2-propenyl -trisulfide, 2-thiophenecarboxylic acid는 비극성용매인 methyl acetate와 hexane에서 잘 추출되었다.

  • PDF

추출 용매에 따른 오갈피속 근피의 생리활성 기능 탐색 및 비교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y according to extracting solvents of four Acanthopanax root bark)

  • 김승경;김영길;이미경;한종수;이진하;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1-28
    • /
    • 2000
  • 오갈피류 근피를 증류수 , 에탄올, 50% ethanol 용액 (증류수 : 에탄올, 1 : 1 v/v)로 추출하여 생리 활성을 검색하였다 . 암세포 생육 억제 효과는 검색된 모든 암세포(Hep3B, A549, MCF7)에서 높은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간암세포에 대해서는 가시오갈피 근피의 50% ethanol 용액 추출물(1.0g/L)이 94%의 가장 높은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돌연변이 유발억제 실험에서는 가시오갈피 근피의 50% ethanol 용액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면역증진 실험에서도 가시오갈피근피가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가시오갈피 근피는 또한 수행된 간기능 보호능과 항산화실험에서도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모든 활성 실험에서 50% ethanol 용매 추출물이 에탄올과 증류수 추출물에 비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증류수나 에탄올 단일의 용매에 의한 추출보다 혼합 용매에 의한 추출이 유용생리활성 물질 추출에 유리함을 보여 준다.

  • PDF

폴리에틸렌/육티탄산칼륨 휘스커 복합재료에 의한 축전지격리막의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Battery Separator for Polyethylene/Potassium Hexatitanate Whisker)

  • 이완진;고만석;최병렬;조일훈
    • 공업화학
    • /
    • 제9권2호
    • /
    • pp.193-199
    • /
    • 1998
  • 초고분자량폴리에틸렌(UHMWPE),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process oil(mineral oil) 및 육티탄산칼륨 섬유로 구성되는 입자혼합물을 $150^{\circ}C$에서 30분 동안 용융 혼합하고, 동일온도 및 5000 psi 조건으로 압축성형을 하여 $200{\mu}m$ 두께의 격리막 시험편을 제조한 후, process oil을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PE층 사이에 미세공을 형성시켰다. 본 실험에서 시험편은 고분자와 process oil의 비율(PR)이 0.1 이하에서는 고무상이 되고 0.5 이상에서는 gel상으로 변하기 때문에, PR의 범위를 0.1-0.5 사이로 하였다. 시험편은 비극성 유기용매로 추출한 경우 거의 98%의 process oil이 추출되었으며, PR이 증가함에 따라 무게감소율은 감소하였다. 인장강도는 PR이 0.426인 경우 $31kg/cm^2$을 보였으며, 전해전기저항 값은 PR이 0.186 및 0.426에서 $37m{\Omega}/cm^2$$53m{\Omega}/cm^2$이었다. 질소 흡-탈착법에 의한 등온선은 모세관 응축영역을 나타내는 hysteresis를 가졌으며, PR=0.186인 경우 $130m^2/g$의 비교적 큰 표면적을 나타내었다. 이는 SEM의 분석 결과와 마찬가지로 PE배향층 사이에 육티탄산칼륨 섬유가 무작위로 잘 분산되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며, host인 PE층 사이에 guest인 육티탄산칼륨 섬유가 층간되어 층상공을 형성한다고 추론할 수 있다.

  • PDF

감초의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안정성 조사 (Investig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Stability of Ethanol Extracts of Licorice Root (Glycyrrhiza glabra))

  • 김수정;권대혁;이종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84-58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한방재료인 감초에서 식품의 보존력을 가지는 항산화성 유효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추출용매, 에탄올 농도, 온도, 시간 등의 여러 조건에서 추출실험을 수행하였다. 조제된 감초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상용중인 항산화제와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고 열과 pH 변화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여 천연 식품보존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감초를 물,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에칠 아세테이트, 헥산 등의 용매로 추출하였을 때 항산화 활성은 극성이 높은 유기용매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에탄올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에탄올 농도별로 추출하였을 때는 무수에탄올일 때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95% 농도와는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아 추출 용매는 95% 에탄올로 선택하였다. 95% 에탄올로 감초를 추출할 때 은도와 시간은 항산화 활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감초를 95%에탄올로 상온에서 12시간 추출하며 감압건조한 감초 에탄올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과 비교하여 free radical 소거능은 약하지만 유지산패 억제능력은 훨씬 더 좋았다. 감초 에탄올 추출물의 열과 pH처리에 따른 항산화 활성은 큰 현화를 보이지 않아 열과 pH에는 비교적 안정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감초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도 뛰어날 뿐만 아니라 열과 pH에 대해서도 안정하여 천연보존료로서 사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탐라오가피 뿌리의 에탄올 추출 중에 유용성분의 변화 (Changes in Major Constituents by Extracting of Acanthopanax koreanum Root with Water and Ethanol Solution)

  • 양영택;임자훈;김종현;고경수;고정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21-426
    • /
    • 2008
  • 탐라오가피를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물과 주정의 비율을 달리하여 추출시간에 따른 유용성분의 경시적 변화를 검토하였다. 물 및 주정농도를 각각 $30{\sim}95%$로 조절한 다음 0.5 cm 이하로 세절한 뿌리를 300 g/7.5 L의 비율로 첨가하여 9시간 동안 $100^{\circ}C$의 항온수조에서 환류냉각으로 추출하였을 때, 추출을 시작한 후 3시간까지 pH가 낮아졌으며, pH $4.0{\sim}6.5$ 범위였다. 색도 a값은 추출용매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추출 $2{\sim}3$시간까지에 변화가 컸다. 색도 b 값은 주정농도가 낮을수록, 추출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가용성고형물은 추출을 시작한 직후부터 $2{\sim}3$시간 안에 급증하였으며, 물 및 주정농도가 낮을수록 많이 추출되었다. 주정농도 $30{\sim}70%$인 경우 뿌리에서 $0.84{\sim}1.34%(w/v)$로 줄기보다 뿌리에서 가용성고형물 함량이 높았다. 추출액에 함유된 주요 유리당은 sucrose이었다. Eleutherosides 성분은 주정농도가 높을수록 추출을 시작한 직후부터 3시간까지 급속히 증가하였으며, 주정 원액보다 물 및 주정을 혼합하여 추출하였을 때가 함량이 높았다. 뿌리에서 acanthoic acid 추출은 추출시간보다 주정 농도에 의한 영향이 컸고, 물로 추출할 경우에는 미량이 검출되었다. 또한, 주정농도 $50{\sim}70%$에서 2시간까지 acanthoic acid 추출이 빨리 일어났으며, 주정농도 70%에서가 30%일 때보다 3배 높게 이루어졌다. 추출 잔사에 남아있는 acanthoic acid 함량은 추출용매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주정농도 70%에서는 원료의 약 95%, 주정농도 50%인 경우는 약 90%, 주정농도 30%인 경우는 약 35%가 추출되었다. Eleutherosides성분은 물 및 물에 주정을 혼합하여 $3{\sim}5$시간 추출하였을 때, 원료의 약 95%추출되었다. 따라서 탐라오가피의 기능성분을 많게 하고 추출효율을 높게 하는 알맞은 추출방법은 주정농도 $40{\sim}70%$$3{\sim}5$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는 것이었다.

인삼 Polyacetylene 성분의 추출방법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ies on Methods of Extracting Polyacetylene Compounds from White Ginseng)

  • 노길봉;손현주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198-201
    • /
    • 1989
  • 백삼의 주요 polyacetylene 성분인 panaxynol과 panaxydol을 capillary-GC(FID)로 정량하고 몇 가지 추출용매(석유 ether, dichloromethane, ether, ethyl acetate, acetone, acetonitrile and methanol) 및 추출방법(진탕추출, Soxhlet 추출 또는 환류추출)에 따른 이들 성분의 추출율을 비교하였다. 이 때, GC column은 SPB-1 fused silica capillary (0.25 mm id $\times$30 m, Supelco)를 사용하였고, column oven 의 온도는 $200^{\circ}C$에서 $300^{\circ}C$까지 분단 $4^{\circ}C$씩 승온하였다. 추출용매에 따른 panaxynol과 panaxydol의 추출율은 methanol 에 의하여 환류추출하는 방법이 백삼 중 polyacetylene 성분을 최대로 추출하는 조건인 것으로 사료되었는데, 이 추출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4년근 백삼시료의 panaxynol과 panaxydol의 함량분석값은 각각 4.2mg/g과 6.4mg/g이었다.

  • PDF

오만둥이의 항산화 및 TNF-α 유도 활성 (Antioxidant and TNF-α Inducing Ability of Styela plicata Extracts)

  • 서현효;이보배;이승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62-466
    • /
    • 2009
  •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그리고 물을 이용하여 신선한 오만둥이의 추출물을 제조한 후, 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TNF-{\alpha}$ 유도능을 조사하였다. 아세톤 추출물을 제외한 대부분의 추출물은 malonedialdehyde 생성을 50% 이상 저해하는 항산화능을 보였으며, 메탄올 추출물은 가장 높은 값인 59.3%의 malonedialdehyde 생성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물과 아세톤 추출물은 각각 18.5와 $12.3\;{\mu}M$의 glutathione 함량을 보였지만 그 외의 추출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추출물들의 $TNF-{\alpha}$ 유도능을 RAW 264.7 세포주로 조사하였다. 오만둥이 물 추출물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TNF-{\alpha}$ 생성을 증가시켰다. 그러나 그 이외의 추출물들은 RAW 264.7 세포주에서의 증가할수록 $TNF-{\alpha}$ 생성을 유도하지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