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cted efficacy

검색결과 476건 처리시간 0.227초

섬망의 치료에 대한 Quetiapine과 Haloperidol의 전향적 개방형 연구 (A Prospective and Open-Label Trial of Quetiapine and Haloperidol in the Treatment of Delirium)

  • 최학규;박병선;이현정;최진숙;조경형;신영민
    • 정신신체의학
    • /
    • 제13권2호
    • /
    • pp.85-94
    • /
    • 2005
  • 연구목적 : 본 전향적 개방형 연구는 섬망에 대한 quetiapine과 haloperidol의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법: DSM-lV에 의하여 섬망으로 진단된 40명(quetiapine군 19 : haloperidol군 21)을 대상으로 순차적으로 quetiapine과 haloperidol을 투여하였다. 약물의 1차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한국판 섬망 평가 척도를 매일 일주일간 시행하고, 약물에 의한 2차적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전반적 임상 인상-심각도,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 약물에 의한 추체외로 증상 평가 척도를 각각 연구 시작시와 7일째에 시행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2004년 11월부터 2005넌 6월까지 이루어졌다. 결과: 연구 기간 동안 두 군 모두 한국판 섬망 평가 척도의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두 군간의 평균 척도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 약물에 대한 치료 반응율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 기간 동안 임상적으로 심각하거나 위험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 결과 섬망의 치료에 있어서 quetiapine은 haloperidol과 대등한 효과와 안전성을 보였다. 기존의 연구에서 haloperidol은 장기 복용시 운동성 부작용을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그러한 부작용이 적다고 알려진 quetiapine이 장기간 지속될 수 있는 섬망의 치료에 있어 haloperidol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베이비부머 세대의 진로자기효능감이 은퇴경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reer Self-efficacy on the Course of Retirement for Baby Boomer Generation)

  • 김기승;윤성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585-1593
    • /
    • 2012
  • 2010년은 베이비부머 세대가 기업정년제도에 의해 정년퇴직을 시작하는 원년이었다. 그로부터 향후 10년간은 한국사회 경제성장의 원동력이었던 베이비부머 세대의 대량퇴직에 의해 노동력 감소와 복지대상 편입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 등 여러 가지 사회문제가 야기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베이비부머 세대들이 은퇴 이후의 재취업과 관련하여 은퇴경로를 알아보고자 첫째, 월 평균소득과 현재 직업에 따른 은퇴경로의 차이분석 둘째, 진로자기효능감이 은퇴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2012. 1. 17.~2. 16까지 1개월 동안 서울, 경기, 강원, 충남, 경남, 전남, 제주도 등에 직접방문 및 우편발송으로 베이비부머 세대를 대상으로 총 5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443부가 회수되었고 이 중 유효한 40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월 평균소득에 따른 은퇴경로에서는 모든 요인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현재 직업에 따른 은퇴경로는 직업이동, 완전비취업, 반복비취업 등에서 유의한 결과값이 보여졌다. 진로자기효능감이 은퇴경로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직업이동 요인이 21%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앞으로의 사회정책 수립에 참고가 되며, 베이비부머 세대의 퇴직 후 생활준비에 지침이 될 것이다.

창업자의 개인적 특성과 사회적기업가정신이 사회적기업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Entrepreneurship on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 조혜정;김미리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5호
    • /
    • pp.157-174
    • /
    • 2020
  •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을 창업하는데 있어서 창업자의 개인적 특성과 사회적기업가정신이 사회적기업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개인적 특성과 사회적기업가정신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회적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을 도덕적 책무, 자기효능감, 감성지능으로 규명하고 사회적기업가정신과 사회적기업 창업의도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도덕적 책무, 자기효능감, 감성지능은 모두 사회적기업가정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회적기업가정신은 사회적기업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개인적 특성과 사회적기업가정신의 관계에서 남녀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남녀차이에 따른 도덕적 책무와 사회적기업가정신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경로계수 값에서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자기효능감과 감성지능은 사회적기업가정신의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가 사회적기업의 창업 교육에 있어서 창업자의 개인적 특성을 고려한 사회적기업가정신을 향상시키는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웰다잉 프로그램이 노인의 삶의 의미, 자기효능감 및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효과 (Efficacy of Well-dying Program for Meaning of life, Self-efficiency, and Successive aging in the Elderly)

  • 변미경;현혜진;박선정;최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413-422
    • /
    • 2017
  •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웰다잉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삶의 의미, 자기 효능감 및 성공적 노화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웰다잉 프로그램 교육은 주1회에 120분씩 8주 동안 8회기에 걸쳐서 이루어진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이다. 자료 분석은 ${\chi}^2$-test, Mann-Whitney U test, Wilcoxon rank 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웰다잉 프로그램 교육을 받기 전보다 받은 후에 노인의 삶의 의미, 자기효능감 및 성공적 노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웰다잉 프로그램은 노인들의의 삶의 의미, 자기효능감, 성공적노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나 노인들이 자신의 죽음에 대해 의미 부여와 함께 올바른 죽음에 대한 가치관 정립에 도움을 주며 삶을 행복하게 유지 할 수 있는 올바른 인식 함양을 돕는 유용한 교육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노인들에게 필요한 웰다잉 프로그램 개발 빛 적용 관리가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학의 교실수업에서 이러닝시스템 이용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사회적, 기술적, 개인적 특성 (A Study on the Factors to Increase the Usage of e-Learning Systems in Class-based Education: Social, Technological, and Personal Factors)

  • 최수정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7권4호
    • /
    • pp.233-260
    • /
    • 2008
  • Universities have recognized e-Learning Systems as the critical IT resources which contribute to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universities as well as the quality of the traditional class-based lectures. Instructors deliver the main contents in the class. Other supplementary activities like online discussions, sharing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submission of homeworks, communication among the learners and between the instructors and the learners, and so on can be efficiently facilitated using e-Learning Systems. In other words, e-Learning Systems enable a blended learning combined class-based lectures and e-learning in a variety of ways. Nonetheless, compared to the level of implementation of e-Learning Systems, the usage of both the instructors and the learners is not high.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determinants to affect on the usage of e-Learning Systems from the learners perspective. To draw the key determinants, we review the IS literatures related to adoption or use of the IS like Media Richness Theory (MRT),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Social Influence Model (SIM), and Self-efficacy Model. The variables are drawn out to be expected on the usage of e-Learning like Media Richness, Ease of Use from MRT, TAM and Instructor's Influence, Co-learner's Influence from SIM, and Self-efficacy. To test our model and hypotheses, we have collected data in the class-based lectures using e-Learning System complementary. The results of the test with 192 data are as follows: Firstly, it shows that the Instructor's Influence and the Media Richness are the influential determinants to affect on the Perception of Usefulness of e-Learning Systems. Additionally, the Co-learner's Influence and Ease of Use in order is significant to the Perception of Usefulness. Secondly, as to the degree of use of the e-Learning Systems, the Co-leaner's Influence, the Media Richness, and the Ease of Use are, in that order, the significant determinants. The Perception of Usefulness, also, founded a key factor on increasing the use of e-Learning Systems. On the other hand, the Instructor's Influence is not significant to the use of e-Learning Systems. Finally, it has been found that Self-efficacy is significant to the Perception of Media Richness, Ease of Use, but not significant to the Perception of Usefulness.

협동학습이 치위생학생의 학습전략,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on learning strategies, academic self-efficacy and class satisfaction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 박인숙;송귀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3-101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ducational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which enables learners to make portfolio by taking advantage of their knowledge and skills acquired through practice, on an oral prophylaxis practice course in an attempt to stir up the spontaneous learning of learners, their learning interest and problem-solving skills. Methods : The selected dental hygiene students engaged in cooperative learning in oral prophylaxis practice III class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ir sophomore year by utilizing portfolio that was prepared by altering an inclusive dental hygiene practice model. They completed all the 15-week practice course, and then their portfolio was evaluated. They were divided into eight nonequivalent groups whose members were all different in academic standing, and their learning strategies and academic self-efficacy were checked before and after the instruction was provided.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class was investigated after the instruction was provided. Results : 1. There were significant gaps to $0.36{\pm}0.07$ in the charge of learning strategies after they engaged in cooperative learning(p<0.01). There were the broadest differences in cognitive strategies to 3.61, followed by metacognitive strategies to 3.19,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the subfactors(p<0.01). 2. There were significant gaps in the charge of self-efficancy to $0.13{\pm}0.06$ after they engaged in cooperative learning(p<0.01). There were the widest differences in self-regulating efficancy to 3.49, followed by confidence to 3.03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to 2.97,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the subfactors(p<0.01). 3. When their satisfaction level was analyzed after engaging in cooperative learning, there were significant gaps to 3.94 in the satisfaction level with all of the lectures(p<0.01). There were significant gaps in the satisfaction level with lecture to 4.20, with ensuring academic achievement to 4.13 and with cooperative learning to 3.48 (p<0.01). Conclusions :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ndicated that cooperative learning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learning strategies, academic self-efficacy and class satisfaction of the learners, 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new teaching methods for dental hygiene.

대학생들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만족도에 대한 구조모형 (A Structural Model for Health Promo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Life in College Students in Korea)

  • 홍연란;이가언;박현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33-34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test and develope the structural model that explains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college students in Korea. The hypothetical model was constructed on the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l996) and the inclusion of some influential factors for life satisfaction. The conceptual framework was built around eight constructs. Exogenous variables included in the model were self-esteem, perceived health status, self-efficacy, internal locus of control, chance locus of control. powerful other locus of control. Endogenous variables were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overall fit of the hypothetical model to the data was moderate <$x^2$=4.18(df=11. p=0.041), GFI= 0.99, AGFI= 0.76, RMR= 0.019, CFI= 0.99, CN= 248.50> 2. Path and variable of the model were modified by considering both its theoretical implication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of parameter estimates. Compared to the hypothetical model. the revised model has become parsimonious and had a better fit to the data expected in a chi-square value <$x^2$=8.43( df= 16, p=0.21), GFI= 0.99, AGFI= 0.92., RMR= 0.024, CFI= 0.99, CN= 312.01> 3. Some of the predictive factors. especially self efficacy. self esteem. powerful others locus of control. perceived health status revealed the direct effect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these variables. self-efficacy was the most signigicant factor. These predictive variable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explained 59% of total variances in the model. 4. Health promoting behaviors, self-esteem. and perceived health status revealed direct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Self-efficacy was identified as an important variable that contributed indirectly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by enha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ese predictive variables of life satisfaction explained 42% of total variances in the model. In conclusion. the derived model in this study is considered appropriate in explaining and predicting health promoting model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could effectively be used as a reference model for further studies by suggesting a direction in health promoting nursing practices.

  • PDF

Oxyfluorfen과 Glyphosate 조합처리(組合處理) 모형(模型)의 혼용효과(混用效果)에 대한 해석적연구(解釋的硏究) (Interpretation of Weeding Efficacy by Mixture Use of Herbicide Combination, Oxyfluorfen and Glyphosate)

  • 구자옥;조용우;이계홍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36-242
    • /
    • 1987
  • 앞의 시험(試驗)에 이어 oxyfluorfen + glyphosate의 여러 혼용농도(混用濃度)를 공시(供試)함으로써 과수원(果樹園)에서의 잡초종(雜草種) 구성변동(構成變動)에 관한 사항과 제초효과(除草效果)에 대한 두 약제(藥劑)의 상호작용효과(相互作用效果)를 분석(分析)하기 위하여 본(本)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하였다. Oxyfluorfen은 0~0.94 kg a. i./ ha 범위(範圍)에서 5 수준(水準), glyphosate는 0~0.4575 kg a.i./ha 범위(範圍)에서 4 수준(水準), 총 20 조합(組合)의 혼용농도(混用濃度)에서 시험(試驗)이 수행(遂行)되었다. l. 다년생(多年生)에 대한 방제효과(防除效果)는 oxyfluorfen+paraquat의 경우보다 oxyfluorfen + glyphosate에서 향상(向上)되었다. 2. Oxyfluorfen 저농도(低濃度) 혼용(混用)에서는 일년생(一年生) 화본과(禾本科)(바랭이)의 재생(再生)으로 우점도지수(優占度指數)가 증가하였고, glyphosate 저농도(低濃度)에서는 월년생(越年生) Stellaria와 다년생(多年生) 쑥의 만연으로 변동계수(變動係數)가 커지고 현존량(現存量)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3. 두 약제(藥劑)의 혼용(混用)에서 oxyfluorfen이나 glyphosate 각각의 최대작용력(最大作用力)은 두 약제(藥劑)의 혼용농도(混用濃度)가 oxyfluorfen 0.55 kg a.i./ha와 glyphosate 0.35kg a.i./ha에서 형성되었다. 4. 두 약제(藥劑)의 상호작용(相互作用)은 전반적인 혼용농도하(混用濃度下)에서 대체로 부정적인 경향이었다. 5. 이상의 결과(結果)로 oxyfluorfen + glyphosate 혼용(混用)은 약량감소(藥量減少)를 가능케 하는 협력효과(協力效果)라기보다 특정잡초방제력상승(特定雜草防除力相乘)이나 제초기간연장(除草期間延長)을 통한 상가적효과(相加的效果)를 기대할 수 있었다.

  • PDF

간호교육에서의 스마트러닝 적용에 관한 융합연구의 효과 (The Effects of the Convergence Study about Smart Learning in Nursing Education)

  • 기은정;서동희;정순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519-52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교육에서 교수학습전략으로 스마트러닝을 적용한 후 간호대학생의 학습자 참여, 학업적 자기 효능감 및 과제가치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며, 간호교육에 스마트러닝을 도입하기 위한 융합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 유사실험연구로 G시 소재 일 대학교의 간호학과 학생을 편의 표집하여 2018년 3월 2일부터 6월 8일까지 실험군 86명, 대조군 9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chi}^2$-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스마트러닝을 적용한 실험군과 강의식 교육을 받은 대조군의 학습자 참여,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를 비교한 결과 학습자 참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t=1.065, p=.288), 학업적 자기 효능감(t=2.668, p=.008)과 과제가치(t=2.070, p=.040)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스마트러닝은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과제가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간호교육에 스마트러닝이 교수학습전략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기업가정신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중심으로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n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etermination and Self-Efficacy)

  • 홍혜영;남정민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3호
    • /
    • pp.59-72
    • /
    • 2021
  • 개인의 기업가정신이 창업활성화를 통해 국가의 경제발전에 기여하는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개인의 만족 또는 삶의 만족과 관련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청년들의 기업가정신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정(+)의 영향을 밝히는 동시에 자기효능감과 자기결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창업지원사업 참여경험의 효과성을 밝히고자 청년(만39세미만) 511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은 청년들의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자기결정성과 자기효능감은 기업가정신과 삶의 만족도 간 관계를 매개하는 역할을 하였다. 끝으로 창업지원사업 참여경험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삶의 만족도가 주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창업지원사업의 성과를 매출액 및 고용효과 등의 정량적 성과뿐만 아니라, 개인의 삶의 만족도와 같은 정성적인 성과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