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ctation to retirement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7초

치과기공사의 은퇴기대가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retirement expectation on retirement preparation in the dental technicians)

  • 이덕혜;김창희;이선미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79-387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f retirement expectation on retirement preparation in the dental technicians. Methods: The subjects were 231 dental technicians in Seoul.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from July 1, 2014 to September 30, 2014. The study instrument was adapted from Bae and Jeon.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42 questions including 6 question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2 questions of health status and self-esteem, 20 questions of retirement expectation, and 14 questions of retirement preparation measured by Likert 5 scale. Results: Single, younger aged, and highly educated female tended to have the expectation for the new start of career. The expectation for the rest was higher in single than in the married. The influencing factors of retirement expectation were marital status. Those who were single chose the retirement. Those who had long career preferred the new start. Conclusions: The preparation for the retirement is very important in one's life 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concrete method and plan for the dental technicians in the future.

직장인의 은퇴기대가 은퇴준비교육요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tirement Expectation on Pre-retirement Planning Program)

  • 배문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5권1호
    • /
    • pp.145-15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icit the multi-dimensions of retirement expectations, and explore sub-factors of retirement expectations which predict the possibility of worker's participation to each pre-retirement planning program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s that there are four sub-factors; Imposed frustration, New beginning, Transition to rest, Continuing.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tirement expectation according to sex, age, income, and health status. Second, the major affecting factors on participation in pre-retirement planning programs were sex, age, job, educational attainment, and health status. Third, those who have retirement expectations of 'Imposed frustration' tend to attend re-employment, leisure, and health education. Those who have retirement expectations of 'Transition to rest' tend to attend re-employment, inauguration education. And those who have retirement of 'Continuing' tend to attend leisure education.

한국 중고령자의 노인교육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cognition of Elderly Education on Provision for Old Age among Middle-Aged and Aged People in Korea)

  • 홍석태;양해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287-299
    • /
    • 2008
  • 본 연구는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휴(休)상태에 있거나 퇴직이후를 위한 노인준비교육이 노인의 생활에 미칠 영향과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자료를 얻고자함이 본연구의 목적이다. 실증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노인교육의 필요성 인식과 노인교육 참여 욕구가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퇴직기대 유형의 새로운 출발, 경력완성, 계속기대가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교육의 필요성 인식은 노후의 신체적 준비, 심리적 준비, 경제적 준비에 퇴직기대가 부분적인 매개 효과를 보였고, 노인교육의 참여욕구는 퇴직기대가 노후의 신체적 준비에 완전매개효과를 가져왔으며, 퇴직기대가 노후의 심리적 준비, 경제적 준비에 는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보였다. 넷째,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으로는 노인교육의 필요성 인식과 교육 참여욕구, 퇴직기대, 노후준비의 인식이 성별, 연령, 직업, 학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임상병리사들의 은퇴 기대 조사 (An Investigation of Retirement Expectation among Medical Technologists in Korea)

  • 조윤경;이덕혜;성현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71-179
    • /
    • 2017
  • 본 연구는 서울경기지역의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임상병리사 158명을 대상으로 은퇴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고자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력수준과 경제적 준비는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나 성별, 월 소득 수준은 은퇴기대수준에 미치지 않는 요인이었다. 좌절감 수준에서는 연령과 근로시간 면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교육수준과 결혼 상태는 은퇴 준비에 미치는 요인이나 은퇴 기대에는 연관성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연령, 교육수준, 가족, 은퇴기대 조건이 상호 연관성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의료현장의 임상병리사들이 향후 은퇴기대 및 은퇴준비를 위해 영향인자를 발굴하는 기초정보를 제공하였고 향후 은퇴를 위한 교육, 심리적 수준, 직업특성을 고려하는 연구가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남성 연소노인의 은퇴 후 적응과정과 노년기 조망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Adaptation Process of Young Old Men and the Perspective after Their Retirement)

  • 이가옥;이지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1호
    • /
    • pp.93-120
    • /
    • 2005
  • 은퇴 후 연소노인들이 어떻게 노인이 되어 가고 있으며, 앞으로의 노년기는 어떻게 조망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0명의 연소노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삶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은퇴 후에도 연소노인들은 계속적으로 일을 하기를 원하였지만, 사회적으로 이들의 일에 대한 지향은 이루어지기 힘든 상황이었다. 이 글은 일을 중심으로 그들의 기대를 낮추는 과정이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지, 이러한 과정 속에서 앞으로의 노년기를 어떻게 조망하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연소노인들은 끊임없이 자신의 야심 달성에 실패하면서, 그때마다 기대를 낮추도록 요구받고 있었다. 외면적으로 이들의 포부는 점점 사라지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사회적 배제의 과정은 단순히 이들에게 일에 대한 포부뿐만 아니라, 자신의 미래에 대한 계획까지 빼앗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젊어지려는' 개인과 '조로(早老)시키려는' 사회 사이의 커다란 괴리는 연소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떨어뜨리고 있었다.

  • PDF

20, 30대 임금근로자의 은퇴재무설계에 관한 연구 (Financial Planning for Retirement among Paid Workers Aged 20s and 30s)

  • 차경욱;박미연;김연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1호
    • /
    • pp.149-163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the expectations and attitudes toward retirement, and financial planning for retirement among paid workers aged 20s and 30s. It compared paid workers' socio-economic, and retirement-related characteristics between those who had retirement planning and those who did not, and identified factors important to retirement planning decision. Data for this study were from a questionnaire completed by paid workers in age 20s and 30s (n=227), and were analyzed by t-tests, chi-square tests, and a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id workers' expected retirement age was 56, and their ideal age for retirement was about 60. More than 85% of workers agreed that the retirement planning should begin before age 40, but just 51 % of the workers had retirement planning. Second, the workers aged 30s, married, and those who had higher incomes and home ownership were more likely to prepare financially for their retirement. Third, as their expected retirement age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decision to retirement planning increased. Those who expected that the economic status of retirees' living would be same as their current economic status were more likely to have retirement planning. The positive attitudes toward retirement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decision to have retirement planning.

금융기관 종사자의 이직 및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A Study on Factors Having Effect on the Turnover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Financial Institution Workers)

  • 이재명;강신기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5호
    • /
    • pp.151-163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금융기관 종사자의 이직 및 창업의도의 영향 요인을 밝히는데 있으며, 직무만족과 직무불안정, 은퇴기대 및 은퇴준비활동이 이직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금융기관 종사자이며, 총 508명의 표본이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금융기관 종사자의 이직 및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직무만족, 직무불안정, 은퇴기대, 은퇴준비활동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직무만족의 모든 요인이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보상만족과 대인관계만족이 창업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직무불안정은 이직의도와 창업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직무가 불안정할수록 이직 및 창업의도가 높아지고 있었다. 셋째, 은퇴기대의 강요된 좌절과 계속이 이직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강요된 좌절과 새로운 출발, 계속은 창업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은퇴준비활동의 창업준비와 사회적 준비, 신체적 준비가 이직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경제적 준비는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창업준비는 창업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은퇴를 대비하여 창업준비를 많이 할수록 이직 및 창업의도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금융기관 종사자 특성상 타 업종 대비 높은 임금에도 불구하고 이직의도와 창업의도에 대해 나타난 유의미한 결과는 직무만족과 직무불안정, 은퇴에 대한 기대와 준비활동이 이직 및 창업의도와의 관계에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금융기관 종사자들이 실제 창업을 했을 때의 성공사례와 실패사례에 대한 이해를 증가 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이직 및 창업지원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직장인의 직무수행능력, 노후준비도, 미래불안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연구: 퇴직후 삶에 대한 또 다른 성공기대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Office Workers' Job Performance Ability, Retirement Readiness, and Future Anxiety on Entrepreneurship Will: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Another Success Expectation on Life after Retirement)

  • 박국근;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6호
    • /
    • pp.167-187
    • /
    • 2020
  • 현재 우리나라는 초고령화 사회로 변화되어 가고 직장인은 주된 일자리에서 평균 49.5세에 퇴직하며, 국민연금은 현재 62세에서 2034년까지 65세로 늦춰지는 상황에서 직장인의 퇴직 이후 고령화에 대비한 연구가 필요함. 전국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퇴직이후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퇴직이후 삶에 대한 또 다른 성공기대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퇴직이후 100세까지 지속가능한 직업, 즉 직장생활 속 지혜와 경험을 살린 창업을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개인의 태도변화와 체계적인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연구결과, 직무수행능력인 목표수행능력, 노후준비도인 경제적 준비, 외적관계준비 및 미래불안감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직무수행능력인 신기술활용능력, 노후준비도인 신체적준비, 내적관계준비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적관계준비와 창업의지, 미래불안감과 창업의지 간의 영향관계에서 또 다른 성공기대감은 부분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경제적준비와 창업의지 간의 영향관계에서는 완전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퇴직이후의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또 다른 성공기대감이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잠재적 창업자인 직장인이 재직하는 동안 초고령화에 따른 정부의 재정적 부담도 줄이고 직원교육을 통한 기업의 성장도 이룰 수 있도록 정부지원의 교육시스템을 회사 내에 도입, 직장인의 인생 3모작을 위한 기업가정신 및 목표수행능력 향상프로그램을 도입, 개인과 기업의 성장 및 정부의 재정 부담을 줄이는 해결책이 될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주관적 기대가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자산축적에 미치는 효과 (Retirement-related Subjective Expectations and the Capital Accumulation of the Korean Baby-boom Generation)

  • 이윤수;우석진
    • 한국노년학
    • /
    • 제31권4호
    • /
    • pp.855-87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미래 사건에 대한 주관적 기대가 자산축적에 미친 효과를 분위회귀분석(quantile regression)을 통해 살펴보았다. 한국고령화패널 1, 2차년도(2006, 2008년) 자료를 이용하여 자산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학력, 성별, 자녀수는 어떤 분위에서도 유의한 결정요인이었다. 특히, 학력과 자녀수는 상위 분위로 갈수록 총자산의 격차를 확대시키는 방향으로 증가하였다. 미래 사건에 대한 주관적 기대의 경우, 증여에 대한 기대가 높을수록, 좀 더 긴 수명을 기대할수록, 베이비붐 세대는 좀 더 많은 자산축적을 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노후 생활에 대한 국가의 보장 정도가 개인의 자산축적을 구축하는 정도는 총자산 하위 분위 보다는 상위 분위에서 증가하였으며, 상위 분위의 효과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유료양로시설 이용의 의사결정 단계별 결정요인 (The Factors Influencing the Utilization of Charged Retirement Home Services by Stage of Decision-Making)

  • 이성학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0-138
    • /
    • 1999
  • This study intended to underst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utilization of charged retirement home services for the elderly by stage of discision making. At the same tim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also to pres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data for the expectation of the demand.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non-utilizer (635 persons) and utilizer (62 persons) of charged retirement home services over the age of sixty. Non-utilizer was selected by random sampling in urban and rural area, and utilizer was investigated by census survey in the three charged retirement home. The research method was interview survey by questionaire. The questionaire was composed of 59 items, 25 variables, 5 components. The research model was to add Andersen's Prediction Model. The components were predisposing component, enabling component, need component, actualizing component, psychologic compon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In the stage of recognizing the residence problem, the recognizer were 76.7% (487 persons) of all the non-utilizer. The factors of influencing were property (B=-4.1E-05), solidarity with children (B=-.1070), house satisfaction (B=-.2517), need of charged retirement home (B=.2614). 2)In the stage of selecting an altenative as utilizing of charged retirement home services, the selecter were 41.1% (261 persons) of all the non-utilizer. The factors of influencing were perception of charged retirement home (B=.2790), need of charged retirement home (B=.2971). 3)In the stage of decion-making, the decider were 29.6% (188 persons) of all the non-utilizer. The factor of influencing was need of charged retirement home (B=.3570). 4)In the stage of the actualization, the factors of influencing were charge ability of utilization (B=.1025), significant others (B=.1868). The upper results were implemented by using the statistical methods of frequency, t-test, $$\chi$^{2}$-tes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 and P 〈 .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