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acuation planning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8초

건축물의 방화 및 피난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Fire Protection and Evacuation System for Buildings)

  • 이경수;임만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9-16
    • /
    • 1988
  • This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some ideal measures available in the course of construction from the viewpoint of an architect to reduce damage of human lives and Properties caused by fire accidents in buildings. For this study, 7 buildings burnt by conflaguration in Seoul during the years of 1985 and 1987 are picked up, and 105 withnesses, who were present in one of them at them at fire, are traced for personal interview and respones to the written questionaire about 5 main issues; their perceptional behaviour, their emotional state at that time, their reactions to avoid danger, their escape routes, and their usual awareness to prevent fire. Some desirable measures suggested here are ;making Provisions to install fire centers in large buildings and underground structures in the fire fighting law, and requlating to compose fire units appropriate to the quantity of combustibles inside, limit the length of a blind corridor, furnish balustrade, and limit the width of the landing of the stairs in building code and regulations. Such measures should be considered from the time of planning to construct a building, and some drill and education in fire prevention is demanded for the occupants of the buildings too.

  • PDF

재난.재해 대응형 도로 네트워크 및 도시시설 배치 모델에 관한 연구 (Model of Road Design and Location of Urban Facilities for the Prevention of Disasters)

  • 김경석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59-65
    • /
    • 2008
  • 본 연구는 도시계획과 도로설계과정에서 재난 재해를 고려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고, 특히 이들 모델을 구성하는 도로, 대피소, 저류지 그리고 피난경로제공시스템 등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통해 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으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들 시스템을 도시에 적용하기 위한 주요 과제들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Countermeasure against Fire Disaster in Regional Heritage Villages on the Concept of ICT-Based Disaster Prevention Design

  • Park, Sun-Gyu;Mishima, Nobuo;Noh, Hwang-Woo;Yoo, Jae-Soo;Oh, Sang-Hoon;Min, Byung-Won;Oh, Yong-Su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1권1호
    • /
    • pp.62-68
    • /
    • 2015
  • Many severe earthquakes have occurred along the main fault lines in the world.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high incidence of small- and large-scale earthquakes in our country. These occurrences of earthquakes have become increasingly serious, owing to a degrading earth environment. An earthquake, in general, causes far more serious damages like disruptions in electricity or gas facilities, and fire disasters from its annexed effects than by its vibrations or the shock itself. In this paper, we present a countermeasure and its necessity in safeguarding against fire disasters in regional heritage villages such as "Asan Oeam," "Jeonju Hanok," and "Andong Hahoe." A more systematic and effective strategy for prevention systems against severe fire disasters is proposed after performing various related investigations and analyses of exist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systems. We investigated the existing fire security systems and their historical records with the tendency of earthquake occurrences in these three folk villages. In this proposal, we present a strategic approach for safeguarding against fire damages in our regional heritage villages derived from IC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based DPD (disaster prevention design), after examining the laws and regulations of fire-prevention strategies in Japan, America, and Europe.

지하철 역사에서 개찰구 및 계단 유출특성에 관한 연구 - 실측과 시뮬레이션의 비교 (The Study of Outflow Rate of Stair and Turnstile in Subway Station - Comparison between Measurement and Simulation)

  • 김응식;조주호;김명훈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33-38
    • /
    • 2010
  • 피난 평가를 위해서 도면을 이용한 상용 시뮬레이션의 수행이 일반화되고 있다. 안전대책 수립에 있어서 피난소요시간 평가가 중요한 요소이며, 피난 동선상의 각 병목구간에서의 유출계수는 피난소요시간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 논문은 상용 프로그램의 검증을 위하여 대규모 인원이 대피하는 지하역사에서 2개의 병목 구간인 계단 및 개찰구에서 실측 유출계수와 2가지 상용 프로그램의 유출계수를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계단과 개찰구에서 서로 다른 모드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유출계수의 경우 상용프로그램의 정확한 이해 없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면 실측치와 큰 차이가 날 수 있었으며 이런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정확한 입력 조건을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상용 프로그램의 사용은 실측 데이터와 비교 검토하는 작업절차를 걸쳐야만 올바른 평가가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2차원 침수해석과 BIM 기술을 활용한 홍수재난 대피지도 작성 (Development of a Flood Disaster Evacuation Map Using Two-dimensional Flood Analysis and BIM Technology)

  • 정창삼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53-6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2차원 흐름 해석 모형인 Hydro_AS-2D 모형을 이용하여 해수면 상승과 극한 홍수 발생 시 창원시 성산구 및 의창구 일대의 침수피해 상황을 모의하고, 그 결과를 3차원 지형 상에 표출한 후 BIM 기술을 이용하여 최적 대피경로를 도출하였다. 기후변화는 홍수재해 측면에서 크게 두 가지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데 해수면 상승과 극한 강우사상의 증가이다. 해수면 상승은 그 자체만으로 연안지역에 해수가 범람하여 침수현상을 유발하는 영향을 미칠 수 있을 뿐 아니라 하천의 기점 홍수위를 상승시켜 하천 전체에 걸쳐 홍수위 상승을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의한 해수위 상승과 태풍에 의한 폭풍해일에 의한 해수위 상승, 그리고 태풍에 의한 극한 강우사상을 모의조건으로 설정하였다. 창원시의 지형공간정보와 하천정비기본계획의 하천횡단 정보를 이용하여 유역전체의 3차원 공간정보로 구성하고 이를 수치모형화 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BIM 기술을 이용하여 3차원 지형정보 상에 건물의 층고, 대피소 위치 등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3차원 도시정보모델로 구축하였으며, 수치모의 결과를 이 모델 상에 표출하고 대피계획을 위한 분석에 사용하였다. 침수발생 시 대피경로는 시간에 따른 침수 범위의 변화에 따라 대피소로의 경로를 설정하는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되며, 설정된 경로는 직관적인 3차원 공간정보 상에 표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MACCS2 코드를 이용한 연구용원자로 '하나로' 설계기준사고시 비상대응조치 효과분석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Emergency Response Measures during the Design Basis Accident of the Research Reactor 'HANARO' using MACCS2 Code)

  • 이관엽;김종수;이해초;김봉석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9권2호
    • /
    • pp.109-117
    • /
    • 2014
  • 방사선비상계획은 원자력시설에 대한 사고해석을 통해 산출한 방사선원항과 기상자료에 근거한 선량평가 결과를 기초로 비상계획이 필요한 거리를 산출하고, 비상계획이 필요한 거리 내에 거주하고 있는 거주민에 대한 옥내대피, 소개, 갑상선방호 등의 보호조치 계획을 수립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용원자로 '하나로'에서 가상할 수 있는 최대사고 조건 하에서 부지내외 거주자에 대한 보호조치 전 후의 선량변화를 1년간 기상자료에 기초하여 확률론적으로 평가하고,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의 2007년 권고에서 제시한, 비상피폭상황에서 보호조치 이후 잔여선량으로 정의된 참조준위 개념을 사용하여, 최적의 보호조치 유형을 도출하였다. 하나로의 경우 최대 가상사고시 최적의 보호조치 유형은 반경 300 m 이내 거주자 소개, 반경 800 m 이내 거주자 옥내대피로 평가되었으며, 갑상선방호는 반경 600 m 이내 거주자에 국한하여 해당되는데 이 지역 거주자가 소개 또는 옥내대피시는 방사능방재요원 외에 필요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화학사고 발생에 따른 주민대피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과학조사장비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Scientific Investigation Equipment to Support Decision-making of the Resident Evacuation in the Event of a Chemical Accident)

  • 오주연;이태욱;조국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6_3호
    • /
    • pp.1817-1826
    • /
    • 2022
  • 2012년 구미 불화수소 누출사고 이후 정부는 화학사고의 대응과 수습 등 재난관리를 체계화하고 있다. 특히, 행정안전부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을 근거로 화학사고 발생에 따른 주민대피에 대한 명령을 소관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화학사고 조사장비를 활용한 화학사고 이후 주민대피 의사결정 지원 및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화학사고로 인한 과학적 정보수집을 위한 장비 운용체계는 상시와 비상시로 구분하여 원거리 측정장비와 근거리 측정장비의 역할 및 활용목적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원·근거리 측정장비를 통해 취득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비상시에는 화학물질의 검출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상시에는 업체별 검출물질에 대한 데이터를 관리함으로써 주민대피 의사결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상시 운용체계에 한하여 장비별로 현장 활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화학물질을 측정한 결과, 원거리 측정장비에서는 화학물질의 실시간 검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장비의 측정가능 거리 및 범위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근거리 측정장비의 경우, 탄화수소 계열의 물질이 주로 검출되며, 온산국가산업단지에 비해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에서 높은 수준으로 측정된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지속적인 데이터 구축을 통해 화학사고 발생에 따른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연재난과의 연계사례를 통한 농촌체험 프로그램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인제군 가리산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Management of Rural Experience Programs through Case Linked with Natural Disaster - Focused on Garisan-ri, Inje-gun, Gangwon-do, Republic of Korea -)

  • 임창수;박로운;이승철;김은자;최진아
    • 농촌계획
    • /
    • 제23권1호
    • /
    • pp.147-156
    • /
    • 2017
  • This study suggests a plan to expand the rural experience program linked to natural disaster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the village of Garisan-ri, Inje-gun, Gangwon-do, Republic of Korea. This will help to establish the necessary improving and policies for Re-leap of rural villages in disaster areas and activation of rural experience villages. The local residents have created flood recovery stories, disaster response content, and disaster prevention camp sites, all of which have been hit by serious disaster damage. It has also contributed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village by providing various experience programs such as disaster response training, crossing rapids, and evacuation experience. This is a way to get rid of the negative perception of disaster and utilize it. The conversion of idea through disaster experience content contributed to the activation of the area. By linking the disaster experience contents to the rural experience program in the future, it can be helpful to avoid the duplication of contents and limit the similar operation method, which is an existing problem of rural experience villages.

대규모 실내경기장의 소방방재설비 적용현황 분석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Fire Protection Facilities in Large Enclosure Gymnasium)

  • 최동호;김춘동;양정훈;조영흠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35-145
    • /
    • 2010
  • 본 논문은 사례조사를 통해 국내외 대규모 실내경기장의 소방방재계획상의 특정을 분석함으로서 향후 국내에 건립될 대공간 건축물의 소방방재계획 수립에 활용될 기초자료를 도출코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소방방재설비관련 법규 검토와 국내 3개, 국외 8개의 대규모 실내경기장을 대상으로 화재감지설비 소화설비 배연설비 피난계획 적용현황을 조사하여 대공간의 소방방재시스템의 동향을 파악하고 이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규모 실내경기장의 화재감지설비는 공간특성에 적합한 적외선화재감지기, 염감지기 등이 유력한 화재감지설비로 사용되며, 소화설비는 건식살수설비, 방수총소화설비 등이 채택되었으며 배연에서는 축연시스템이 적극 활용됨을 확인하였다.

  • PDF

Mapping of Post-Wildfire Burned Area Using KOMPSAT-3A and Sentinel-2 Imagery: The Case of Sokcho Wildfire, Korea

  • Nur, Arip Syaripudin;Park, Sungjae;Lee, Kwang-Jae;Moon, Jiyoon;Lee, Chang-Wook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6_2호
    • /
    • pp.1551-1565
    • /
    • 2020
  • On April 4, 2019, a forest fire started in Goseong County and lasted for three days, burning the neighboring areas of Sokcho. The strong winds moved the blaze from one region to another region and declared the worst wildfire in South Korea in years. More than 1,880 facilities, including 400 homes, were burnt down. The fire burned a total area of 529 hectares (1,307 acres), which involved 13,000 rescuers and 16,500 military troops to control the fire occurrence. Thousands of people were evacuated, and two people are dead. This study generated post-wildfire maps to provide necessary data for evacuation and mitigation planning to respond to this destructive wildfire, also prevent further damage and restore the area affected by the wildfire. This study used KOMPSAT-3A and Sentinel-2 imagery to map the post-wildfire condition. The SVM showed higher accuracy (overall accuracy 95.29%) compared with ANN (overall accuracy of 94.61%) for the KOMPSAT-3A. Moreover, for Sentinel-2, the SVM attained a higher accuracy (overall accuracy of 91.52%) than the ANN algorithm (overall accuracy 90.11%). In total, four post-wildfire burned area maps were generated;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assess the area affected by the Sokcho wildfire and wildfire mitigation planning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