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sential oil components

검색결과 289건 처리시간 0.028초

천연정유 Cajuput (Melaleuca cajeputi) 유래 Benzaldehyde의 살초활성 (Herbicidal Activity of Benzaldehyde in Cajuput (Melaleuca cajeputi) Essential Oil)

  • 이사은;윤미선;연보람;최정섭;조남규;황기환;왕해영;김성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91-198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유에 함유되어 있는 살초활성물질을 탐색하여 제초제 개발을 위한 선도 화합물을 발굴하는데 있었다. Amyris(Amyris balsamifera), cajuput (Melaleuca cajeputi), geranium(Pelargonium graveolens), lavender(Lavendula spp.), mandarin(Citrus reticulata), pine(Pinus spp.) 및 rosemary(Rosmarius officinale) 정유에 대한 살초력을 유채(Brassica napus)를 대상으로 in vitro에서 수행한 결과, cajuput 정유의 살초력이 가장 높았다($GR_{50}$ 값, $425{\mu}g\;g^{-1}$). Cajuput 정유에 함유되어 있는 주된 생리활성물질들은 eucalyptol 37,2%, ${\alpha}$-terpineol 11.6%, benzaldehyde 5.2%, linalool 4.1%, ${\alpha}$-pinene 2.5%, ${\beta}$-pinene 2.4%이었으며, 이들 생리활성물질의 살초력($GR_{50}$ 값)은 각각 2,731, 500, 50, 372, 4,363, $4,671{\mu}g\;g^{-1}$이었다. Benzaldehyde의 살초력은 기 보고된 eucalyptol (1,8-cineole)과 ${\alpha}$-pinene보다 높았으므로 향후 새로운 제초제 개발을 위한 선도화합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Cajuput 정유와 이에 함유되어 있는 가장 높은 살초력을 보였던 benzaldehyde를 80kg $ha^{-1}$ 토양처리하였을 때에는 그 어떠한 살초효과도 관찰할 수 없었으나, 경엽처리 하였을 때에는 화본과 잡초인 수수, 돌피, 바랭이는 100% 고사되었다. 그러나 살초효과는 20kg $ha^{-1}$ 이하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cajuput 정유와 benzaldehyde의 높은 휘발성 때문인 것으로 추론된다. 본 연구의 결과 cajuput 정유의 살초효과는 높은 약량에서만 나타났으므로 약량저감을 위한 처리시기 재설정과 살초력을 높일 수 있는 제형개발이 요구된다.

GC-MS를 이용한 계절에 따른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의 부위별 향기 성분 비교 분석 (Comparison Analysis of Essential Oils Composition in Difference Parts from Lindera obtusiloba BL. according to the Season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 황승환;최세진;황영선;임순성
    • 생약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0-40
    • /
    • 2013
  • The essential oils of stems, roots, fruits and leaves of Lindera obtusiloba BL. were collected in the winter and summer extracted by simultaneous distillation extraction (SDE) apparatus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In present study, 58 kinds of volatile components in the winter stems (WS), 70 in the winter roots (WR), 77 in the summer stems (SS), 78 in the summer roots (SR), 70 in the summer fruits (SF) and 76 in the summer leaves (SL) were identifi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jor components were monoterpenes including ${\alpha}$-thujene (1.22~13.80%) camphene (1.56~18.40%), ${\beta}$-mycrene (1.75~9.27%), limonene (5.57~12.83%), ${\beta}$-phellandrene (3.03~7.72%), linalyl acetate (2.29~12.55%), dihydromycrene (0~11.15%), germacrene B (0~7.54%) of which the contents had major fluctuations in different seasons and parts. In general, monoterpenes were the major constituent of SF in L. obtusiloba BL. that have presented possibilities for industrial applications.

Burley 21 잎담배에서 건조기간중의 정유성분 조성의 변화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Essential Oils during Air-Curing Process of Burley 21 Tobacco)

  • 홍열;임흥빈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9-46
    • /
    • 2003
  • The essential oils from Burley 21 tobacco was isolated by using the SDE (Simultaneous Distillation & Extraction) apparatus coupled with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analysis. Burley 21 tobaccos were divided and collected by six stages at intervals of five days during air-curing process. Air curing was conducted with horizontal hanging method in greenhouse settled by shading materials. 55 components were identified by comparisons of retention indices and mass spectral data, including 22 hydrocarbons, 6 alcohols, 3 aldehydes, 9 ketones and 15 miscellaneous compounds. Neophytadiene was the major components of the oils and almost all hydrocarbons were gradually decreased during air-curing process. Most of alcohols were also diminished, on the contrary, 1-pentanol and benzyl alcohol among them were increased. Aldehydes and ketones were increased during air-curing and especially, the concentrations of solanone, $\beta$-damascone, $\beta$-damascenone and megastigmatrienones were much increased. Indole level of miscellaneous compounds were continuously increased during air-curing of Burley 21 tobacco.

천연유래 에센셜 오일을 활용한 화장품 방부제 개발 (Development of Cosmetics Preservatives using Natural Essential Oil)

  • 김보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445-450
    • /
    • 2019
  • 최근 화장품을 사용하는 소비자들이 원료 안전성에 관심이 크다. 그 중에서도 천연방부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파라벤류 방부제를 배제한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합성 방부제를 항균성의 에센셜 오일로 대체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에센셜 오일의 항균 효과는 주요 활성 화합물 사이의 성분, 농도 및 상호작용에 따라 달라진다. 효과적인 방부제는 최소 농도에서도 광범위한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이 있어야 한다. 모든 방부제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피부 자극,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소비자들은 천연 유래 에센셜 오일은 안전하다고 인지하고 있으나, 일부는 접촉 알레르기나 광독성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이처럼 천연방부제 또한 최대의 방부효과와 낮은 독성의 균형을 잡는 것이 중요하며, 본 논문은 항균 특성에 초점을 맞춘 에센셜 오일에 대한 특징, 화장품 방부제로서의 효능과 안전성에 대해 기술한다.

액체 이산화탄소 추출법에 의한 생강 (Zingiber officinale Roscoe)의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Korean ginger(Zingiber officinale Roscoe)extracted with liquid carbon dioxide)

  • 김명곤;나문수;홍재식;정순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1호
    • /
    • pp.55-63
    • /
    • 1992
  • 봉동산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의 정유성분조성을 분석코자 액체 이산화탄소 주출법으로 분리하여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범에 의해 탄화수소 화합물 분획과 함산소 화합물 분획으로 분류한 다음 GC 및 GC-MS로 성분을 검토하였다. 추출물의 수율은 6.96%이었으며, SCC에 의해 분리된 분획의 분석결과 mass spectrum에 의해서 잠정적으로 확인된 58종을 포함하여 102종의 향기성분이 확인되었다. 중 탄화수소 화합물 분획에서는 zingiberene, ${\beta}-sesquiphellandrene,\;{\gamma}-bisabolene,\;{\gamma}-cadinene,\;ar-curcumene$ 등이 주성분이었고, 함산소 화합물 분획에서는 gernal, sesquisabinene hydrate, borneol, zingiberenol 등이 주성분 이었다. 총 essential oil의 조성은 $zingiberene,\;citronellol+{\beta}-sesquiphellandrene,\;geranial,\;{\gamma}-bisabolene,\;ar-curcumene+geranyl\;acetate$ 등이 주성분으로 sesquiterpene hydrocarbon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 PDF

향끽미종 잎담배 성분조성에 관한 연구 III. 정유성분의 특성조사 (Composition Studies on the Aromatic Tobacco Varieties (Nicotiana tabacum L. ) : III. Characteristics of Essential Oils)

  • 김경례;박진우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19
    • /
    • 1981
  • 새로이 고안된 distillation/solvent extraction방법을 이용하여 오리엔트산 향끽미종과 한국산 향끽미종 잎담배의 정유성분을 분리하였다. 정유성분들을 고성능 가스 크로마토그라지로 분석한 결과 각 잎담배로 부터 특징적인 GC 프로파일을 얻을수 있었다. 얻어진 GC분석자료를 정량적으로 비교함으로써 품종간의 상이점이 확인되었다.

  • PDF

잎담배중의 중요 휘발성 정유성분의 분석 (Analysis of Volatile Essential Oil Playing Key Role in Tobacco Leaves)

  • 김신일;오영일;허일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7-54
    • /
    • 1983
  • Tobacco leaves cultivated in Korea, U.S A., Greece and Turkey were analyzed for their essential oils that are solanone, nor- solanadione, damascenone, dana scone and mesa stigmatrienone (4- isomer). Regardless of tobacco varieties and cultivated localities, solanone was the most abundant. Among them particularly, Basma has the highest amounts of the solanone than other varieties. Flue-cured tobacco leaf has much higher amounts of damascellone than burley and aromatic tobacco leaf do. U.S. A. flue-cured, U.S. A. burley and Basma clave much higher concentration of solanone than corresponding Korean varieties, but significant differences could not be observed in other components. The order of total amounts of 8 essential oils in tobacco varieties were as follows; Aromatic) Burley) Flue-cured

  • PDF

자소자의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 (Amino Acid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Perillae semen)

  • 권용주;김충기;김용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81-385
    • /
    • 1998
  • Chemical components of Perillar seme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 Perillae semen oil were analyzed for the use as an edible oil. The proximate compositions of Perillae semen were 7.5% moisture, 33.2% crude fat, 16.3% crude protein, 2.8% crude ash, 6.5% crude fiber, and 33.7% nitrogen free extract. The major amino acids of Perillae semen were glutamic acid(66.9mg%), aspartic acid (32.5mg%), histidine(21.6mg%), and phenylaanine (20.1mg%). The ratio of essential/total amino acid was 41.3%.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seed oil were 0.915 specific gravity, 1.4808 refractive index, 3.6 acid value, 181.7 iodine value, and 194.0 saponification value. Composition of major lipid of the oil fractionated by silicic acid chromatography was 94.2% neutral lipids and 5.8% polar lioids. The major fatty acids of the oil were linolenic, linoleic and oleic acid. Neutral lipids consisted of 59.9% linolenic acid, 15.6% oleic acid, 6.6% palmitic acid, and 2.5% stearic acid. Polar lipids consisted of 58.5% linolenic acid, 18.1% linoleic acid, 12.7% oleic acid, 7.7% palmitic acid, and 3.0% stearic acid.

  • PDF

지로터 오일 펌프용 통합적 설계 자동화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System for Automated Design of Gerotor Oil Pump)

  • 김재훈;김철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8-96
    • /
    • 2006
  • A gerotor pump is suitable for oil hydraulics of machine tools, automotive engines, compressors, constructions and other various applications. Especially the pump is an essential machine element of an automotive engine to feed lubricant oil. The subject of this paper is the theoretical analysis of the internal lobe pump which is a particular type of positive displacement pump. The main components of the pump are rotors; usually the outer rotor profile is characterized by lobes with circular shape, while the inner rotor profile is determined as conjugate as the outer rotor profile. For this reason the topic presented here is the definition of the geometry of the rotors starting from the design parameters. The choice of these parameters is subject to some limitations in order to avoid cusp and loop between rotors. And the integrated system which is composed of three main modules has been developed through AutoLISP & Visual Basic and CAD considering various design parameters. It generates automatically an designed model for a general type of a gerotor pump and allows us to calculate two performances indexes commonly used for the study of positive displacement pumps: the flow rate and flow rate irregularity. Results obtained using the system enable the designer and manufacturer of oil pump to be more efficient in this field.

잣나무 정유의 소취효과 및 구강균에 대한 항균활성 평가 (Evaluations on Deodorization Effect and Anti-oral 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Pinus koraiensis)

  • 황현정;유정식;이하연;권동주;한웅;허성일;김선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잣나무 정유를 대상으로 GC-MS를 이용한 성분분석, 악취물질에 대한 소취효과 및 구강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평가하였다. 잣나무 정유를 GC-MS를 이용하여 정성분석한 결과 ${\alpha}$-pinene이 19.38%로 가장 높은 구성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3-carene (11.16%), camphene (10.57%), limonene (9.79%) 등의 terpene hydrocarbon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이들 특유의 향취 조합으로 인해 잣나무 정유 고유의 향취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악취물질 4종에 대한 소취력 평가에서는 잣나무 정유를 주입한 1시간 후 75.17%의 ammonia 소취능을 나타내어 4종의 정유 중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Formaldehyde에 대한 소취력 평가에서는 편백나무와 소나무 정유가 61.67%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잣나무 정유는 23.33%를 나타내었다. Trimethylamine에 대해서는 정유 주입 10분 후 편백나무, 전나무, 소나무 정유가 평균 6.70%로 낮은 활성을 나타낸 반면, 잣나무 정유를 주입함으로서 41.58%의 매우 높은 소취력을 나타내었다. Methylmercaptan에 대해서는 정유 주입 1시간 후 소나무(82.22%), 잣나무(70.56%), 전나무(62.22%), 편백나무(59.44%) 정유 순으로 소취력을 나타냈다. 구강균에 대한 정유 별 항균력 평가에서는 잣나무 정유($2.90{\pm}0.15mm$)는 L. paracasei에 대하여 전나무($1.83{\pm}0.18mm$)와 소나무($1.54{\pm}0.09mm$) 정유보다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S. aureus에 대한 잣나무 정유($2.86{\pm}0.08mm$)의 항균활성 또한 전나무($1.15{\pm}0.20mm$)와 소나무($1.85{\pm}0.08mm$) 정유 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S. sobrinus에 대한 항균활성은 편백나무($1.42{\pm}0.01mm$)와 잣나무($1.40{\pm}0.01mm$) 정유를 처리함으로써 강하게 나타났으며 S. mutans에 대한 항균력은 편백나무>전나무>잣나무>소나무 정유 순으로 활성이 나타났다. E. faecalis에 대해서는 소나무($0.79{\pm}0.05mm$)정유만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천연물 유래 잣나무 정유는 악취물질에 대한 소취효과 및 구강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활용한 구강탈취제, 구강청결제 등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