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6초

Chemical Properties of Paddy Soils and Factors Affecting Their Change in Jeonnam Province

  • Kim, Sun-Kook;Kim, Hyeon-Ji;Kim, Byeong-Ho;Kim, Hee-Kwon;Kim, Hyun-Woo;Kang, Seong-So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492-498
    • /
    • 2015
  • The long-term changes in the soil properti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policy direction and the national program for the soil management. In this study, chemical properties of paddy soils in Jeonnam province were investigated at four-year interval since 1999 and the factors affecting change of 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the soil management policies. Chemical fertilizers supplied to Jeonnam province reduced by 57% in 2013 as compared with 1999, and the ratio of Jeonnam province to the national fertilizer supply gradually decreased to 14.1% in 2013 from 17.6% in 1999 due to national policies to reduce use of chemical fertilizers in the 2000s. In the chemical analysis of paddy soils in Jeonnam province, pH value tended to increase gradually within the optimal range. Available phosphate and exchangeable potassium content were always higher than the optimal range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since 1999. Organic matter, exchangeable calcium and available silicate content were found to be lower than average content in the whole country as well optimal range for rice cultivation in 1999, but were higher than average content in the whole country and optimal range in 2011 because of faster rate of increase in Jeonnam province than the other region since the mid-2000s. The cause of increase in organic matter, exchangeable calcium and available silicate contents is considered to be the increased use of green manure crops and by-products fertilizer as an alternatives for conventional application of chemical fertilizers and soil amendment such as silicate fertilizer for agronomic control of the disease and insect pest in rice cultivation of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e.

농촌관광마을 방문객의 공익적 기능 인식 평가 - 경기도 양수리, 주록리, 신론리 방문객을 대상으로 - (The Evaluation of the Green Tourists' Cognition of Function for Public Benefits - The Survey of Visitors' Cognition in Yangsuri and Jurokri, Sinnonri -)

  • 전인철;오형은;조중현;김용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5권2호통권121호
    • /
    • pp.81-90
    • /
    • 2007
  • This study used the functions for public benefits as a standard for evaluating Green Tourism. By referring to the existing literature, the "function of building emotion", the "function of providing a natural environment", the "function of preserving traditional cultures", and the "function of maintaining the local community" have been selected as the measuring variables. Detailed sub-variables of each function were prepared to examine and analyze the recognition of these are the part of Green Tourists. The Green Tourists of Yangsuri in Yangpyeong, Sinnonri in Yangpyeong, and Jurokri in Yeoju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which 13 variables were used as measure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reen Tourists recognize farm villages as places for rest and relaxation and they laid great importance on the function of providing access to the natural environment. Secondly, out of the 13 measurement variables, "beautiful scenery in farm village", "making a contribution to village income", and "trust in agricultural products" greatly influenced the overall evaluation of Green Tourism. Thirdly,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nctions for public benefits and Green Tourism, it was found that "facilities and activities for experiencing farming", "facilities for rest", and "beautiful scenery in farm villages" are closely related to building the emotion experienced in these villages, and that "cultivating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d "beautiful scenery in farm village" are closely related to the function of providing access to the natural environment.

Applications of Sugarcane by-products to mitigate climate change in Ethiopia

  • Habte, Lulit;Mulatu, Dure;Ahn, Ji Whan
    • 에너지공학
    • /
    • 제27권3호
    • /
    • pp.36-40
    • /
    • 2018
  • Climate change is one of the major issues in both the developed and developing world. Greenhouse gas (GHG) emission is one of the implications for climate change. It is increasing rapidly. Although the emission is much less when compared to the rest of the world, Ethiopia has also faced this global issue. The major source for GHG emission in Ethiopia is agriculture. Therefore, the agriculture sector has to be given more attention in Ethiopia. To overcome the problem, Climate-Resilient Green Economy (CRGE) strategy has been initiated. One way of executing this target is to create a sustainabl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pathway to use agricultural byproducts. Sugarcane is one of the major plants in Ethiopia. Its byproducts are bagasse, molasses, and press mud. Since it is a waste product, it is economical and creates a sustainable and green environment by reducing GHG emissions. Sugarcane byproducts have versatile applications like as fuel, as cement replacing material, as a mitigation for expansive soils, as biosorbent for the treatment of water and wastewater and also as a wood material. However, Ethiopia has not used this byproduct massively as it is readily available. This paper reviews the possible applications of sugarcane byproducts to mitigate climate change.

Coffee Husk By-Product as Novel Ingredients for Cascara Kombucha Production

  • Bao Xuyen Nguyen Le;Thach Phan Van;Quang Khai Phan;Gia Bao Pham;Hoa Pham Quang;Anh Duy D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3호
    • /
    • pp.673-680
    • /
    • 2024
  • Kombucha, a fermented beverage, is gaining popularity due to its numerous beneficial health effects. Various substrates such as herbs, fruits, flowers, and vegetables, have been used for kombucha fermentation in order to enhance the flavor, aroma, and nutritional compositio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suitability of cascara as a novel ingredient for kombucha production. Our findings suggested that cascara is a suitable substrate for kombucha production. Fermentation elevated the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 in cascara, which enhanced the antioxidant, antibacterial, and prebiotic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Furthermore, the accumulation of acetic acid-induced the pH lowering reached 2.7 after 14 days of fermentation, which achieved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the product. Moreover, 14 days of fermentation resulted in a balanced amalgamation of acidity, sweetness, and fragrance according to sensory evaluation. Our findings not only highlight the potential of cascara kombucha as a novel substrate for kombucha production but also contribute to repurposing coffee by-products, promoting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sustainable agricultural development.

바이오매스 활용 연료전지 열병합발전시스템을 위한 연료화 공정 (Biomass Gasification for Fuel Cell Combined-Heat-and-Power Systems)

  • 홍기훈;엄성현;황상연
    • 공업화학
    • /
    • 제33권4호
    • /
    • pp.335-342
    • /
    • 2022
  • 화석연료 사용 비중이 큰 농업분야에서는 최근 불안한 국제정제와 맞물린 에너지 가격 상승과 활발한 스마트팜 보급으로 전력사용량까지 증가하는 에너지 사용 패턴 변화로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따라서 친환경 분산형 전원으로 연료전지를 이용하며, 바이오매스를 직접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연료전지 열병합발전 시스템은 농가에 열 및 전기에너지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적인 에너지시스템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총설 논문에서는 바이오매스, 특히 농업부산물을 연료로 활용하기 위한 연료전지 기반의 열병합발전 시스템에 대한 공정 구성과 기술적 동향을 제시하고, 통합 연계공정 설계 시 고려해야 할 부분들을 논의하고자 한다.

논 담수 여부에 따른 유기농업자재의 먹노린재 방제 효과 (Controlling effect of environmentally friendly organic materials on the black rice bug, Scotinophara lurida(Hemiptera: Pentatomidae), depending on paddy flooding)

  • 이유경;최낙중;임주락;최준열;서보윤
    • 환경생물
    • /
    • 제41권4호
    • /
    • pp.463-472
    • /
    • 2023
  • 벼의 주요 해충인 먹노린재에 대해 실내에서 충체분무법과 기주분무법을 통해 시판 중인 유기농업자재(EFOM) 27종을 대상으로 살충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유기농업자재 7종(EFOM-8, -10, -12, -13, -19, -20, -26)에서 기주식물에만 살포하는 것보다 충체에 직접 살포되어 접촉하는 경우에만 높은 살충 효과를 보였다. 실내 벼 포트 검정에서는 선발된 7종 모두 담수 조건에서 살충률이 73.3% 이상이었으며, 특히 EFOM-13과 EFOM-20은 퇴수 조건에서보다 담수 조건에서 살충률이 1.5~1.8배 높은 차이를 보였다. 야외 간이 검정에서 EFOM-10 (마늘 80%), EFOM13 (님 62%), EFOM-26 (고삼 70%+에틸알콜 28%+제충국 2%)는 7일차 담수한 논에서 88.9%의 높은 방제가를 보였고 퇴수한 논보다 방제가는 1.4~1.9배 높았다. 선발된 EFOM-10을 살포한 농가의 담수한 논에서도 7일차 방제가는 86.2%로 퇴수한 논의 방제가 61.9%보다 1.4배 높았다. 종합적으로 살포액의 충분한 충체 접촉과 논의 담수 조건이 유기농업자재의 방제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앞으로 농가에서 적용할 수 있는 최적의 먹노린재 방제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엽채류 및 과채류의 재배유형 및 유통경로별 생물학적 위해요소 조사 (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Leaf Vegetables and Fruits According to Types of Cultiv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 유용만;윤영남;최인욱;;이영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5-41
    • /
    • 2007
  • 최근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서 이들 친환경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검증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26종의 엽채류 및 4종의 과채류를 대상으로,재배유형(재래농법 및 유기농법)및 유통 경로 (대형마트 및 유기농전문점)에 따른 세균 및 기생충의 오염을 선택 감별배지, 자동 세균 동정 시스템, 현미경 관찰로 조사하였다. 수세하지 않은 농산물에 부착한 세균 집락 수는 농산물 균질액 1 mL(농산물 0.1 g) 당 $5.2{\times}10^{3}{\sim}1.5{\times}10^{5}\;CFU/mL$ 범위였으나, 흐르는 물로 2회 수세시 농산물에 부착되어 있는 세균 수가 $8{\sim}60$배(평균 25배) 감소하였다. 유기농법 농가에서 구입한 농산물을 2회 수세한 후 조사한 세균 집락 수는 $6.0{\times}10^{2}{\sim}2.1{\times}10^{4}\;CFU/mL$ 범위로, 재래농법 농가에서 생산한 농산물과 유사한 수의 세균 집락을 형성하였다. 또한 유통 경로별로 분석시, 대형마트에서 구입한 농산물의 세균 집락 수($1.4{\times}10^{2}{\sim}8.3{\times}10^{3}\;CFU/mL$)는 유기농 전문매장에서 구입한 농산물의 세균 집락 수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조사한 농산물중 배추, 치콘, 치커리, 케일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세균이 검출되었으며, 가장 흔히 발견되는 세균 종은 Enterobacter cloacae이었다. 재래농법 농가에서 구입한 치콘, 쌈추에서 기생충이 발견되었으나, 유기농법 농가에서 구입한 농산물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대형 마트 및 유기농 전문상점에서 구입한 일부 농산물에서 기생충이 발견되었으며, 특히 배추 및 대파에서 높은 빈도로 검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보아, 엽채류 및 과채류의 세균 및 기생충의 오염도정도는 재배유형 및 유통경로에 따른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조사한 일부 농산물은 식품의 일반 기준 이상의 세균 및 기생충이 검출되어 생물학적 오염 방지를 위한 위생적인 생산 및 관리 대책이 요구된다.

식물유래 2차 대사물질의 병충해 및 잡초 방제효과 (Pathogen, Insect and Weed Control Effects of Secondary Metabolites from Plants)

  • 김종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1호
    • /
    • pp.1-15
    • /
    • 2005
  • 농작물이 병해충 및 잡초 등에 의하여 피해를 받게 되면 농업생산성은 상당히 저하된다. 따라서 농업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합성농약을 과용해 왔고, 이로 인하여 토양의 질과 농업환경이 파괴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어서 지속적인 농업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오늘날의 농업은 농업환경의 파괴를 최소화하고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생산성을 증대해야하는 복합적인 문제에 직면해 있다. 한편, 식물은 일반적으로 생존하기 위하며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거나 자신의 영역을 확보하기 위하며 다양한 종류의 2차대사물질을 생산하고 방출한다. 병원균이 침입했을 때 식물이 생산하는 항생물질인 phytoalexin으로는 화본과 식물의 경우 flavonoid계와 diterpenoid계의 물질을 생성하고, 쌍자엽 식물은 감염된 병원균의 종류에 상관없이 Leguminosae과는 flavonoids계, Cruciferae과는 indole 유도체, Solanaceae과는 sesquiterpenoid계, Umbelliferae과는 coumarin계 물질들을 생성하여 병원균에 저항성을 가진다. 곤충의 생리작용을 저해하거나 섭생을 싫어하게 하는 기능의 물질로는 terpene계의 pyrethrin, azadirachtin, limonin, cedrelanoid, toosendanin, fraxinellone/dictamnine 등이 있으며, alkaloid계로서는 terpenoid와 alkaloid가 결합된 sesquiterpene pyridine 및 norditerpenoids alkaloids와 azepine계, amide계, loline계, stemofoline계, pyrrolizidine계 alkaloids 등이 있다. 식물은 또한 자신의 영역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른 식물의 생장을 저해하는 물질을 생성하는데 여기에는 terpene계의 essential oil 및 sesquiterpene lactone과 이외에 benzoxazinoids, glucosinolate, quassinoid, cyanogenic glycoside, saponin, sorgolennone, juglone 등 다수의 2차 대사물질들이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의 2차 대사물질을 병해충 및 잡초 방제에 직, 간접으로 이용하는 것은 친환경농업의 한 가지 방법일 수 있다. 그러나 천연물질들은 자연계에서 쉽게 분해되어 효율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고 식물을 통하여 생산하는데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보다 안전성과 효율성이 뛰어난 2차 대사물질을 찾아내는 연구와 아울러 방제기능이 있는 물질의 생합성경로를 구명하고 대사공학적으로 이용하므로 병해충에 저항성이 있고 잡초 방제효과를 갖는 형질전환 식물을 육성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벼유기농업단지 에너지효율 및 양분수지 평가 (Assessment of Energy Efficiency and Nutrient Balance in Organic Rice Farming Area)

  • 길근환;강종국;이경도;이장희;이경보;김재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67-273
    • /
    • 2008
  • 안전농산물에 대한 국민의 관심 증대와 농업환경자원의 유지 보전을 위한 지속적인 농업생산 방안으로 친환경농업 육성의 필요성이 증대되어 왔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는 친환경 농업이 빠르게 성장하여 1999년 1300호였던 인증농가가 2007년에는 100배 증가하여 13만호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친환경농업의 빠른 증가 추세에도 불구하고 친환경농업이 농업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량적인 연구는 미흡한 실정으로 친환경농업의 올바른 확산을 위해서는 농업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지속가능성을 정량화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친환경농업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고자 2006년부터 2007년까지 완주군 고산면 광역친환경농업단지 벼유기농업단지에서 쌀생산 시 에너지효율 및 양분수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벼유기농업단지가 관행논보다 에너지효율은 낮았으나 재생가능한 에너지 자원을 사용하는 유기농법이 화학비료나 농약을 사용하는 관행농법에 비하여 자원이용의 지속가능도는 높았다. 또한 벼유기농업단지는 과량의 축분퇴비 시용으로 토양 내 인산과 칼륨이 과다 축적되어 있으므로 축분 퇴비의 시용량을 줄이고 질소대비 인산과 칼륨의 함량이 비교적 낮은 자운영 등을 이용한 시비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오이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의 토양전염 생태 및 윤작에 의한 방제 (Studies on the Soil Transmission of CGMMV and Its Control with Crop Rotation)

  • 박진우;장태호;송성호;최홍수;고숙주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73-477
    • /
    • 2010
  • 오이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Cucumber green mottle mosaic virus; CGMMV)는 박과작물에 병을 일으키는 중요한 바이러스로 종자 및 토양전염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CGMMV의 토양전염 생태를 구명하고, 직접적인 화학적 방제방법이 없는 식물 바이러스의 특성을 고려하여 윤작이나 포장위생 등 경종적 방제법을 이용한 CGMMV의 방제전략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CGMMV는 기주식물이 없는 토양에서 17개월 동안 50% 정도의 활성을 유지하였으며, 토양 내에 존재하는 식물의 잔재물 속에서도 1년 이상 높은 활성을 유지하였다. 자연적인 상태에서 CGMMV의 토양전염율은 1.0~3.6%인 데 반해, 수박묘를 정식할 때 뿌리에 상처를 내어 정식한 결과 토양전염율이 12~36%로 증가하여 뿌리의 상처가 CGMMV의 토양전염에 크게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수박재배시 작부제계에 따른 CGMMV의 후대감염율을 분석한 결과 2000년에는 답전윤환지 7.3%, 연작지 76.8%, 2001년의 경우 답전유환지 6.1%, 연작지 50.2%로 답전윤환에 의한 윤작이 CGMMV의 피해경감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