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ertainment culture

검색결과 358건 처리시간 0.023초

관광객의 공연체험 특성 -문화콘텐츠'난타'를 중심으로- (Tourist Experiences Characteristics on Performance Arts -Focus on JeJu 'Nanta' as Cultural Contents-)

  • 장혜원;김형길;오상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458-466
    • /
    • 2011
  • 제주는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는 섬이지만, 상대적으로 사회문화적 매력성은 덜 주목받아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 목적지의 대안적인 매력성 발굴을 위한 것으로, 파인과 길모어(Pine & Gilmore)의 체험경제이론을 공연예술 체험에 적용하는 것과, 공연의 체험요소, 체험만족, 그리고 공연 충성도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이론적 고찰과 실증분석을 병행하였다. 280명의 비언어 코믹공연인 '난타'의 관람객을 대상으로 공연 체험, 체험 만족, 공연 충성도를 설문조사 하여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4개의 체험요소(미의식, 엔터테인먼트, 교육, 일상탈출) 중에 엔터테인먼트만이 체험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한편, 체험만족은 공연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파인과 길모어(Pine & Gilmore)가 제시한 체험경제이론이 문화예술상품 소비로의 적용가능성을 보여준다.

패션 브랜드 SNS의 특성, 관계의 질 및 구매의도의 관계 - 페이스북(Facebook)을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of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brand SNS, relationship quality and purchase intention - Focusing on Facebook -)

  • 이유정;조남혜
    • 복식문화연구
    • /
    • 제22권5호
    • /
    • pp.834-847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fashion brand SNS characteristics, relationship quality (satisfaction, trust, and commitment) and purchase intention. The study focused on Facebook and also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fashion involvement groups. This study targeted consumers who have used fashion brand Facebook and are aged between 20s and 30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surveys, and a total 205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or the final statistical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ree characteristics of fashion brand SNS, which were entertainment, interactivity, and providing information, influenced positively on SNS users' satisfaction. Entertainmen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satisfaction, and providing information and interactivity followed. Second, satisfaction for fashion brand SNS influenced positively on trust and commitment. Also, trust to fashion brand SNS demonstrated a positive influence on commitment. Third, trust and commitment on fashion brand SNS both influenced positively on purchase intention. Fourth, the fashion involvement groups showed differences in fashion brand SNS characteristics, relationship quality, and purchase intention. The high involvement group showed much higher results in all aspects then did the low involvement group.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value which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lso, this paper is expected to provide managerial implications to fashion companies which need to develop SNS marketing strategies.

옴니채널(Omni Channel) 특성이 소비자들의 지각된 위험과 태도 및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mni channel characteristics on consumers' perceived risk, attitude, and intention)

  • 홍정민;신수연
    • 복식문화연구
    • /
    • 제26권3호
    • /
    • pp.346-359
    • /
    • 2018
  • Currently, dramatic change had led to the growth of the distribution environment and the retailer's distribution channel. This change had shifted the 'single channel' to 'multi channel', and from 'cross channel' to 'omni channel'. While fashion companies using omni channel are rapidly growing, few research regarding omni channel had been done in academic field.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influence of omni channel characteristics on consumers' perceived risk as well as consumers' perceived risk toward attitude and intention to use omni channel. We surveyed 696 male and female respondents aged 20 to 40 who lived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Using AMOS 20.0,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model of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mni channel's instant connectivity, location-based provability, interactivity, and entertainment factors did not decrease impacts on the perceived risk related to privacy and annoyance. Second, omni channel's instant connectivity and entertainment did not increase effects on the perceived financial risk, and location-based provability and interactivity did not increase effect on perceived financial risk. Third, the perceived risk concerning omni channel did not decrease on consumer attitude toward omni channel. Fourth, consumer attitude toward omni channel influenced the intention to use omni channel significantly.

'한류' 경향에 관한 국내 언론 기사 빅데이터 분석 연구 ('Korean Wave' News Analysis Using News Big Data)

  • 황서이;박정배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14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언론에 나타난 '한류' 관련 이슈의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의제설정이론을 적용하였고, 빅데이터 분석기법인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분석을 활용하여 언론 기사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9년까지의 '한류' 관련 이슈에 대해 다룬 54개 언론 미디어 보도기사 197,992건의 제목, 부제, 본문, 키워드를 수집하여 핵심 토픽과 토픽 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언론에 나타난 '한류'는 한류 관련 지역, 문화, 경제 등과 관련된 단어들이 주요하게 나타났다. 둘째, 한류 관련 이슈는 총 9개의 토픽이 도출되었으며, '방송한류', '한류 수출', '국내외정세', '한류 교육', '뷰티·패션 한류', '음악·공연 한류', '관광한류', '미디어(플랫폼)', '권역 및 지역'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류는 주로 문화적 차원과 경제적 차원에서 의미화되었고, '문화한류', '경제한류', '교육', '환경', '지리'와 같이 5개의 특성으로 클러스터링 되었다.

우쿨렐레 연주활동이 중년여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kulele Performance on Stress and Daily Hassles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an)

  • 오경호;최배석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119-133
    • /
    • 2019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우쿨렐레 음악 활동이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40세-64세까지의 중년여성 전국 우쿨렐레 연주 동호회 회원 3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다중 회귀분석 및 3단계 회귀 분석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여성의 우쿨렐레 연주 횟수와 활동 기간은 중년여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해소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여성의 우쿨렐레 연주 횟수와 활동 기간은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활동 기간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주 횟수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는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애니메이션 영화 <나의 붉은 고래>의 전통문화원소 분석 (Analysis on the Traditional Cultural Elements of the Chinese Animated Film Big Fish & Begonia)

  • 도궈허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165-172
    • /
    • 2019
  • 애니메이션 영화 <나의 붉은 고래>는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애니메이션 영화의 새로운 시도로 시장의 표현이든 예술 창작이든 모두 한 단계 진보한 것이다. 최근 10년간의 창작 과정에서 <나의 붉은 고래>는 중국 신화의 전설을 깊이 파헤쳐 현대 예술과 결합시켜 표현했다. 본 연구는 영화 속 중국 전통문화 요소를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아 캐릭터 디자인, 장면 디자인, 민족문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했다. <나의 붉은 고래>의 전통문화요소 분석을 통해 애니메이션 영화가 더 발전할 수 있는 방향을 찾아본다. 현대예술을 중국 전통문화와 융합시켜 민족문화의 특색을 살리는 것 등이다. 바로 <나의 붉은 고래>에 중국 문화코드가 많이 녹아 있고, 정교하게 설치돼 있어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Predicting Arab Consumers' Preferences on the Korean Contents Distribution

  • Park, Young-Eun;Chaffar, Soumaya;Kim, Myoung-Sook;Ko, Hye-Young
    • 유통과학연구
    • /
    • 제15권4호
    • /
    • pp.33-40
    • /
    • 2017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nalysis of pattern on Arab countries consumers' preferences of the Korean Contents using social media, Facebook since Korean entertainment contents have been distributed in the global marketplace. Then we focus on developing Predictive model using a Data Mining Techniqu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 order to understand preference growth of Korean contents in Arabic countries, we- collected data from two popular Facebook pages: 'Korean movies and drama' and 'K-pop'. Then, we adopted a data-driven approach based on Data Mining techniques. Results - It is obvious that the number of likes for K-pop will increase for all North African and Middle Eastern countries, however concerning Korean Movies and Drama except Tunisia it is decreasing for Algeria, Egypt and Morocco. Also, concerning Saudi Arabia and United Arab Emirates, the number of likes will decrease for Korean Movies and Drama which is not the case for Iraq. Conclusions - It is noted in this study that K-contents such as drama, movie and music are sometimes a gateway to a wider interest in Korean culture, food and brands. Moreover, this study give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developing predictive model to forecast Korean contents' consumption and preferences.

Understanding the Entertainment Values in the Online Educational Videos

  • Jeong, Seong Bin;Lee, Justin Jemin;Kwak, Kyu Tae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77-87
    • /
    • 2018
  • Since the inception of the platform business in educational contents, the prominence of the online educational video has flippe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Educational contents have been produced on the internet and allowed learners to access more flexible and student-centered. In fact, the number of people watching the educational content online, such as TED talks and YouTube, has increased during the past decade. The ways of delivering the lecture and the course information in online educational videos are totall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lectures. In this paper, we aimed to examine and categorize the online educational videos based on the user's engagement and interest in the course contents. For the study, a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the attributes of the traditional lectures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educational videos online. Several values are determined as engaging factors in the online educational videos; hybrid production of education and entertainment, shorter duration, and the number of presenters. From the study, we suggests how to produce engaging educational contents which will appeal the attentions from the users. Moreover, the result of the study may use as a guide to the providers making the productive educational videos.

일제강점기 월미도유원지를 통한 행락 문화의 수용과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aptation and Change of Amusement Culture on the Case of Wolmido Pleasure Groun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 김정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134-147
    • /
    • 2014
  • 일제강점기 도입된 유원지는 새로운 행락활동이 조직되는 장이었으며, 대규모 사적 공간인 동시에 새로운 유형의 공공 공간으로 발전해갔다. 이에 본 연구에서 당시 대표적 유원지였던 월미도유원지를 통해 유원지의 경관과 수용, 행락 문화의 변화를 고찰해 보았다. 당시 월미도는 수목과 어우러진 이국적 건물, 해수욕장, 임해학교, 공설운동장, 동물원 등 서구 및 일본 유원지의 요소들이 섬 곳곳에 배치되어 종합적인 오락/놀이 공간이 되었다. 일제강점기 경성과 경인선으로 연결되었던 월미도유원지는 당시 대표적 행락지로 떠오르면서, 행락 문화의 대중화와 상품화 과정을 보여준다. 행락의 대중화 과정을 보면, 유원지를 통해 수려한 풍경을 찾아 여가를 즐기는 행락 활동이 다양한 계층으로 확산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사회적으로는 신분제가 철폐되고, 유원지의 이용은 비용만 지불하면 누구라도 이용할 수 있었고, 그 이용요금도 다양하였으므로, 유원지에서의 행락은 남녀노소, 조선인과 일본인 등 계층의 구분이 점차 사라져갔다. 또한 유원지는 서구적인 취미-스포츠 활동이 펼쳐지는 공간이었으며, 여름학교와 각종 운동경기가 열리면서 집단적이고 역동적인 활동을 보편화하는 매개가 된다. 동시에, 유흥시설과 복합되어 기존의 사회적 규범에서 일탈하는 공간이 되기도 했다. 행락의 상품화는 인위적 환경 속 인공적 오락문화의 형태로 이루어졌다. 첫째, 인위적으로 경관을 조성하고, 이를 매개로 '매혹적인 여름 휴양지', '물나라' 등 낙원이라는 장소이미지를 만들어낸다. 이는 관광을 통해 경제적 이윤을 창출하고, 지역개발을 꾀하려는 식민당국과 철도회사, 유원회사의 의도가 결합한 결과이다. 둘째, 자연을 배경으로 한 인위적인 스펙터클을 조성한다. 월미도 유원지에는 다양한 양식의 건물들이 조합되어 선진화되고, 이국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특히 방파제나 아케이드 등의 인공물들은 자연과 군중을 새로운 시점에서 조망할 수 있도록 하여 새로운 볼거리를 창출했다. 셋째, 유원지는 주어진 용도와 이용방법을 벗어남 없이 따르는 수동적인 이용자를 등장시켰다. 이처럼 유원지가 역동적인 활동을 지원하는 공간으로 조성되면서 현재 관광 단지나 놀이공원, 테마파크 등의 대중적 오락 공간의 원형적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목재의 가치증진을 위한 목재문화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 조사: I. 목재와 문화체험에 대한 인식 (Investigation on the Awareness and Preference for Wood Culture to Promote the Value of Wood: I. Awareness of Wood and Cultural Experience)

  • HAN, Yeonjung;LEE, Sang-Mi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6호
    • /
    • pp.616-642
    • /
    • 2021
  • 일반인의 목재에 대한 인식개선은 목재이용 확대를 통한 목재문화 정착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목재문화 활성화를 위한 전략마련을 위한 기초연구로 일반인의 목재문화 체험현황과 요구사항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항목은 목재문화 인식, 목재문화 이용현황, 목재문화에 대한 선호와 요구, 목재문화의 하위분야 인식, 목재문화 자원에 대한 인식, 목재이용 트렌드, 목재관련 생활환경 등 7가지로 분류하였으며, 조사결과를 목재와 문화체험에 대한 인식, 유형별 목재문화자원에 대한 인식, 생활환경과 목재이용 트렌드, 목재문화에 대한 선호와 요구의 4가지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4가지로 구분된 항목 중 일반인의 목재와 문화체험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일반인은 목재와 목재문화에 대하여 재료, 문화유산, 친환경 등의 이미지를 갖고 있으나 2가지를 크게 구분하지는 않았다. 목재이용은 인간의 신체와 정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하고 있으나 목재의 활용이 산림을 파괴하는 것이라는 인식을 응답자의 45%가 갖고 있었다. 또한 목재와 관련된 직업은 기술자 또는 기능인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으며, 목재교육전문가와 같은 교육자로서의 인지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조사되었다. 목재문화와 관련된 주요사업에 대한 인지도는 응답자의 50%에 미치지 못하였다. 응답자의 30%가 목공체험을 포함한 목재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었으며 대부분 수공구를 이용한 경험이 있었다. 목재문화프로그램을 통해 제작하고 싶은 것은 가구류, 소품류, 건축물 등이 있었다. 목재문화체험장에 대하여 알고 있는지에 대해 응답자의 23%가 인지하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이들 중 방문경험이 있는 경우는 약 50%이었다. 목재교육 전문가에게 요구되는 역량으로는 목공기술에 대한 응답률이 73%로 제일 높게 측정되었다. 일반인의 목재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하여 현대인은 체험에서 교육적 요소보다 오락적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보다 많은 일반인에게 목재문화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오락적 요소를 포함한 다양한 콘텐츠의 개발과 이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