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ourist Experiences Characteristics on Performance Arts -Focus on JeJu 'Nanta' as Cultural Contents-

관광객의 공연체험 특성 -문화콘텐츠'난타'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1.03.29
  • Accepted : 2011.07.14
  • Published : 2011.07.28

Abstract

JeJu Island is famous for beautiful scenery but relatively little attention was paid to social cultural attractions. My aim is to provide an alternative attraction for JeJu destination. Two main goals of this paper are to apply to the Pine and Gilmore Experience Economy Theory framework on performance arts experiences and identify causal relations among experience factor, experience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loyalty. To accomplish the study object, theoretical review and empirical analysis were jointly carried out. Using samples of 280 participations in nonverbal comic performance 'Nanta' who were required to rate performance experiences, experiences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loyalty. Results of SEM(Structured Equation Model) was showed that only Entertainment factor of 4 experiences factors(aesthetics, entertainment, education, escapist) affected experiences satisfaction. While experiences satisfaction affected performance loyalty. These results support the concept of experiential Economy framework suggested by Pine and Gilmore on culture-arts products consumption.

제주는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는 섬이지만, 상대적으로 사회문화적 매력성은 덜 주목받아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 목적지의 대안적인 매력성 발굴을 위한 것으로, 파인과 길모어(Pine & Gilmore)의 체험경제이론을 공연예술 체험에 적용하는 것과, 공연의 체험요소, 체험만족, 그리고 공연 충성도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이론적 고찰과 실증분석을 병행하였다. 280명의 비언어 코믹공연인 '난타'의 관람객을 대상으로 공연 체험, 체험 만족, 공연 충성도를 설문조사 하여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4개의 체험요소(미의식, 엔터테인먼트, 교육, 일상탈출) 중에 엔터테인먼트만이 체험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한편, 체험만족은 공연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파인과 길모어(Pine & Gilmore)가 제시한 체험경제이론이 문화예술상품 소비로의 적용가능성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윤경, 문화예술과 콘텐츠산업의 효율적 연계 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9.
  2. H. Hughes, Arts, Entertainment and Tourism. Oxford: Butter worth-Heimann, 2004.
  3. 박영정, "우리나라 공연관광의 시장 동향과 지원 정책의 방향", 예술경영연구, 제16권, pp.77-98, 2010.
  4. Ed Petkus Jr, "Enhancing the application of experiential marketing in the arts," International Journal of Nonprofit and Voluntary Sector Marketing, Vol.9, No.1, pp.49-56, 2002.
  5. B. J. PineⅡ and J. H. Gilmore, "Welcome to the Experience economy," Harvard Business Review, Vol.76, No.4, pp.97-105, 1998.
  6. 정창권, 정창권의 문화콘텐츠학 강의(깊이 이해하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7. 이보아, "문화소비관점에서 접근한 박물관 관람객의 소비행태", 예술경영연구, 제3권, pp.98-130, 2003.
  8. R. L. Oliver,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Decis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7, No.4, 1993.
  9. P. S. Goodman, M. Fichaman, P. R, Snyder, and F. J, Lerch, "Customer-Firm Relationships, Involvement,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8, No.5, pp.1310-1324, 1995. https://doi.org/10.2307/256859
  10. B. J. Babin, W. R. Darden, and M. Griffin, "Work and/or fun: Measuring hedonic and utilization shopping valu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0, pp.644-656, 1994. https://doi.org/10.1086/209376
  11. 한숙영, "문화관광 체험영역에 관한 연구: 유산 관광자를 대상으로",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6.
  12. 홍원석, "문화예술상품 구매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체험마케팅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13. 양봉석, "문화관광지 관광체험과 고유성, 관광만족의 관계연구", 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7.
  14. 홍경완, 강인호, 김원인, "예술축제에서의 몰입: 내재적 동기, 몰입, 재방문의도", 관광연구, 제22권, 제1호, pp.115-131, 2007.
  15. 김진수, "문화적 고유성이 관광체험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2.
  16. 정진수, "한국 문화공연예술의 일본인관광객 지속유치 방안",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17. 하동현, "대구.경북 외래 관광객의 체험이 체험의 즐거움, 체험만족 및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제24권, 제24호, pp.359-380, 2009.
  18. 박수경, 박지혜, 차태훈, "체험요소(4Es)가 체험 즐거움, 만족도,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Pine과 Gilmore의 체험경제이론(Experience Economy) 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제-권, 제76호, pp.55-78, 2007.
  19. 신동주, "이벤트에서의 체험요소가 체험 즐거움, 체험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제34권, 제9호, pp.251-270, 2010.
  20. 김계수, AMOS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한나래, 2007.
  21. C. Fornell and D. La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s Models with Unobserved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1, pp.39-50, 1981. https://doi.org/10.2307/3151312
  22. E. Carmines and J. McIver, "Analyzing models with unobserved variables;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In G. Bohmstedt, and E. Borgatta(eds.), "Social Measurement: Current Issues, CA: Sage, 1981.
  23. K. G. Joreskog and D. Sorbom, "Recent Developmen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4, No.4, pp.404-416, 1982.
  24. R. B.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2nd.), New York: Guilford, 2005.
  25. 송지준,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