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gagement meaningful activity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판 의미 있는 활동참여 척도 타당화 연구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ngagement Meaningful Activity Survey)

  • 남효진;강수진;남석인
    • 노인복지연구
    • /
    • 제73권2호
    • /
    • pp.79-10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Goldberg, Brintnell과 Goldberg(2002)이 개발한 12문항의 의미 있는 활동참여척도(Engagement Meaningful Activity Survey, 이하 EMAS)를 번안·수정하여 한국판 의미 있는 활동참여 척도(K-EMAS)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수도권 노인복지관과 데이케어센터 이용 노인 315명의 설문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SPSS 23.0과 AMOS 20.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K-EMAS의 신뢰도를 검증하고, 탐색적 요인분석 및 문항-요인총점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K-EMAS의 '개인의 역량발휘' 5문항과 '사회활동의 유용성' 7문항의 2요인구조를 밝혔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의 적합도 지수를 통해 모형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집중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입증하였다. 또한, K-EMAS와 우울, 삶의 질, 삶의 의미, 노화태도와의 상관분석 결과 기준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노인활동에 대해 질적 측정이 가능한 한국판 척도(K-EMAS)의 타당성검증은 관련 연구 분야에서 다각적으로 활용 가능한 척도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노인에게의미 있는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의 함의를 지닌다.

The Effect of Love Attitude and Ego-Identity on Female Adolescent Fandom Engagement

  • Kim, Taeeun;Jeong, Eunug;Park, Sookyung;Cho, Kyungeun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5권1호
    • /
    • pp.1-11
    • /
    • 2014
  • We conducted an examination of 243 female adolescent fandom memb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of the engagement in fandom activities, love attitude, and ego-identity. Researchers used three scales of 'Engagement in Fandom Activities', 'Love Attitude' (Hendrick & Hendrick, 1986) and 'Ego-identity' (Dignan, 1965).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after data was collected depending on the scales. The study showed that the degree of engagement and the tendency towards erotic love behavior had a positive correlation. The correlation with the sub-domains of ego-identity were positive with role-expectation and self-assertiveness while self-awareness was negative. All four factors affected the degree of engagement in fandom activities. It is meaningful that research help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female adolescent fandom and simultaneously investigate the effective factors of engagement in fandom activity.

학생 사고기반 수학 수업의 특징과 그 실제 (The Conceptualizing and Practices of Mathematical Classes Based on Students' Thinking)

  • 이선영;한선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5권1호
    • /
    • pp.37-74
    • /
    • 2021
  • 본 연구는 학생의 수학적 사고를 수업의 중요한 자원으로 삼는 학생 참여형 수업을 학생 사고기반 수학 수업이라 명하고, 학생 사고기반 수학 수업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았다. 문헌 검토를 통해 확인된 학생 사고기반 수학 수업의 중요한 특징은 풍부한 수학 과제, 학생의 인지적 사회적 참여, 그리고 형성적 조력자 역할이다. 수업 사례 분석 결과에 의하면 학생 사고기반 수학 수업은 풍부한 수학 과제, 학생의 인지적·사회적 참여, 그리고 교사의 형성적 조력자 역할의 교집합 속에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는 학생 참여형 수업이 활동 자체에서 학생의 사고에 초점을 두었으며, 수업의 세 구성 요소의 상호작용이 수업 방향과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중고령자의 디지털 정보화 접근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온라인 사회참여/네트워크 활동의 매개효과 (Accessibility to digital information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and its impact on life satisfaction level: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n online social engagement and online network activity)

  • 김수경;신혜리;김영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23-3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령자의 디지털 정보화 접근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온라인 사회참여 활동과 온라인 네트워크 활동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에 응답한 중고령자 1,491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정보화접근수준과 삶의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접근수준이 온라인 사회참여 활동을 경유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보다 디지털 정보화 접근수준이 온라인 사회참여 활동을 거쳐 온라인 네트워크 활동을 경유한 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더 크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접근수준과 삶의 만족도, 온라인 사회참여 활동, 온라인 네트워크 활동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및 삶의 만족도 제고를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를 가진다.

노인의 계층 인식과 삶의 의미 영향 요인 분석: Alderfer의 ERG이론을 기반으로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Meaning in Life of Older Adults by Subjective Social Status : Based on Alderfer's ERG theory)

  • 한상윤;남석인
    • 노인복지연구
    • /
    • 제74권4호
    • /
    • pp.125-15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Alderfer의 ERG이론을 기반으로 계층 인식에 따른 삶의 의미 및 영향 요인의 차이를 탐색하고, 기본 심리 욕구의 역할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노인종합복지관 및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 998명을 대상으로 주관적 건강, 소속감 및 의미 있는 활동 참여를 독립변수로, 계층 인식을 조절변수로 선정하여 삶의 의미에 대한 영향력을 잠재평균분석과 다집단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층 인식별 주관적 건강의 평균 차이는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고, 주관적 건강의 삶의 의미에 대한 계층 인식별 영향력에도 차이가 확인되었다. 둘째, 주관적 상위 계층과 중위 계층 간 소속감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주관적 하위 계층은 소속감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모든 계층에서 소속감은 삶의 의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든 계층에서 의미 있는 활동 참여는 크지 않은 차이로 나타났으며, 삶의 의미 증진에 있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삶의 의미를 증진하기 위한 구체적 방향을 모색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Covid-19이후 학생 수업참여를 위한 교수자의 경험 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Professors for Student Participation after Covid-19)

  • 이은주;김민정;송연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404-413
    • /
    • 2022
  • Covid-19이후 대학에서 비대면 수업이 필수적인 수업방식으로 채택되면서 학생의 수업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 수업전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수업참여는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선행 요건이기에 비대면 수업에서는 더욱 중요한 요건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20년 이후 비대면 혹은 비대면과 대면 수업의 혼용으로 운영되어 온 D대학의 교수자 3인이 학생의 수업참여를 높이기 위해 시도한 경험과 고민을 살펴 보았다. 그 결과, 비대면 수업 초기 교수자와 학생 모두 시행착오를 거쳤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생들은 적극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뿐 아니라 자발적으로 수업활동을 확장시켜 나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교수자 주도의 수업이 대면과 비대면의 적절한 조화와 다양한 매체의 활용으로 학습자 참여형 수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논의에 필요한 데이터는 자서전적 연구방법을 통해 수집하였다.

Process Evaluation of a Mobile Weight Loss Intervention for Truck Drivers

  • Wipfli, Brad;Hanson, Ginger;Anger, Kent;Elliot, Diane L.;Bodner, Todd;Stevens, Victor;Olson, Rya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0권1호
    • /
    • pp.95-102
    • /
    • 2019
  • Background: In a cluster-randomized trial, the Safety and Health Involvement For Truck drivers intervention produc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medically meaningful weight loss at 6 months (-3.31 kg between-group difference). The current manuscript evaluates the relative impact of intervention components on study outcomes among participants in the intervention condition who reported for a post-intervention health assessment (n = 134) to encourage the adoption of effective tactics and inform future replications, tailoring, and enhancements. Methods: The Safety and Health Involvement For Truck drivers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in a Web-based computer and smartphone-accessible format and included a group weight loss competition and body weight and behavioral self-monitoring with feedback, computer-based training, and motivational interviewing. Indices were calculated to reflect engagement patterns for these components, and generalized linear models quantified predictive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tion in intervention components and outcomes. Results: Participants who completed the full program-defined dose of the intervention had significantly greater weight loss than those who did not. Behavioral self-monitoring, computer-based training, and health coaching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dietary changes, whereas behavioral and body weight self-monitoring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changes in physical activity. Behavioral and body weight self-monitoring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weight loss. Conclusion: Web-based self-monitoring of body weight and health behaviors was a particularly impactful tactic in our mobile health intervention. Findings advance the science of behavior change in mobile health intervention delivery and inform the development of health programs for dispersed popu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