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노인복지연구)
- Volume 74 Issue 4
- /
- Pages.125-155
- /
- 2019
- /
- 1598-1649(pISSN)
- /
- 2671-812X(eISSN)
DOI QR Cod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Meaning in Life of Older Adults by Subjective Social Status : Based on Alderfer's ERG theory
노인의 계층 인식과 삶의 의미 영향 요인 분석: Alderfer의 ERG이론을 기반으로
- Published : 20191200
Abstract
This study used latent mean analysis and multi-group analysis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meaning in life and influencing factors based on Alderfer"s ERG theory by subjective social statu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998 older adults aged 65 and over using the welfare center and day care center in South Korea.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latent mean difference in subjective health by subjective social status was very large.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the path coefficient of the meaning in life of subjective health by subjective social status was identified.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elongingness between the subjective upper class and the middle class, whereas the subjective lower clas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lower. On the other hand, belongingn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eaning in life at all levels.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ngagement meaningful activity in all classes, and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meaning in lif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practical and policy intervention plan to enhance meaning in life for older adults.
본 연구의 목적은 Alderfer의 ERG이론을 기반으로 계층 인식에 따른 삶의 의미 및 영향 요인의 차이를 탐색하고, 기본 심리 욕구의 역할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노인종합복지관 및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 998명을 대상으로 주관적 건강, 소속감 및 의미 있는 활동 참여를 독립변수로, 계층 인식을 조절변수로 선정하여 삶의 의미에 대한 영향력을 잠재평균분석과 다집단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층 인식별 주관적 건강의 평균 차이는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고, 주관적 건강의 삶의 의미에 대한 계층 인식별 영향력에도 차이가 확인되었다. 둘째, 주관적 상위 계층과 중위 계층 간 소속감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주관적 하위 계층은 소속감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모든 계층에서 소속감은 삶의 의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든 계층에서 의미 있는 활동 참여는 크지 않은 차이로 나타났으며, 삶의 의미 증진에 있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삶의 의미를 증진하기 위한 구체적 방향을 모색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