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class

검색결과 1,686건 처리시간 0.025초

초등 수학 수업 상황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은유와 제스처 분석 (An Analysis on the Lingual Metaphors and Gestures Shown in the Math Class at Elementary School)

  • 이종희;최성이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45-16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수학 수업에서 사용되는 언어적 은유와 제스처 사용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여 수학학습 지도 방안으로서의 은유 및 제스처의 가치를 재고해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6학년 1학기 7단원 정비례와 반비례 중 4차시 반비례 알아보기 단원을 주제로 한 수업에서 교사에게서 나타난 언어적 은유와 제스처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관찰된 수학적 은유에는 기계은유와 가상적 이동은유가 있으며 제스처는 형상적 제스처, 은유적 제스처, 지시적 제스처의 형태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은유들은 수학 수업 전반에 걸쳐 고르게 분포하여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었으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수학 수업에 있어서 은유 활용의 교육적 의의를 재고해 보았다.

  • PDF

과학 문제 해결력 촉진을 위한 사례 기반 학습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Case-based Learning Program for Scientific Problem Solving)

  • 곽호숙;장신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8권3호
    • /
    • pp.340-35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se-based learning program on three elementary students' scientific problem solving and attitudes in science class. For this study, case-based learning program was designed for bridging students' scientific knowledge and their personal experiences in real life through 4 stages: understanding the problem, planning for problem solving, conducting problem solving, and making conclus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17 lessons of 4th grade for 6 weeks.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close observation on three students in two groups in a class. The results include that cased-based learning program showed overall positive effects on the elementary students' scientific problem solving and attitudes in class. In particular, it turned out that the continuous emphasis of real world examples in case-based learning had powerful impacts on students' problem solving abtsity,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in classroom activities. The key factors to successful problem solving in school science was discussed.

  • PDF

초등학교 교사의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Nutrition Education)

  • 김경애;정난희;오순희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3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nutrition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Most of the teachers responded that nutrition education necessitate in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the main reason for necessity of nutrition education was for proper growth, they thought starting period of nutrition education was to begin when children are in a kindergarten and a infant home. The perception for a suitable person to teach the nutrition education showed dietician, parents, class teacher and a related teacher in oder and the time of that is a related class, as a spare time at everyday, a special activity time, and service a meal in order. Importances of the contents of a nutrition education were proper eating habits, growth and nutrition, a food hygiene and a disease in order. Problems of elementary students' nutrition were a unbalanced eating, a ingestion a processing and instant food too much, lack of table manner, fatness and a weak child in order. The most of expected effects through the nutrition education were a good table habits and manners, the way of a efficient nutrition education were a need of link with parents, a need of link the dietician. a teacher's class and training in order. The average score of nutrition knowledge was 6.3$\sim$6.9 out of 10 and teachers of Gwangju scored more higher on nutrition knowledge than teachers of Jeonnam, as they arranged a dietician was so.

  • PDF

Development of self-expression activity class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cultivate AI literacy

  • LEE, DoeYean;KIM, Yong
    • 4차산업연구
    • /
    • 제2권1호
    • /
    • pp.9-17
    • /
    • 2022
  • Purpose -In general, elementary school is the time to take the first social step away from family relationships with parents or siblings. Recently, AI technology has been widely used in everyday life and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rogram that can cultivate AI literacy and self-express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 this study, prior to developing a self-expression class program for cultivating AI literacy, we looked at the related literature on what AI literacy is. In addition, the digital learning program was analyzed considering that the current AI literacy is based on the cutting edge of digital technology and is located in the same area as digital literacy. Result -This study developed a curriculum for self-expression and AI literacy cultivation. The main feature of this study is that the education program of this study allows 3rd, 4th, and 5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to express themselves and to express their career problems by combining culture and art with AI programs. Conclusion -Self-expression activity education for cultivating AI literacy should be oriented toward holistic education and should be education as a way to express oneself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learners

예비초등교사의 체육교수신뢰와 체육교과태도 및 수업만족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hysical Education Professor-trust, Attitude in Physical Education and Class Satisfaction)

  • 이용국;최유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9호
    • /
    • pp.503-512
    • /
    • 2018
  • 이 연구는 예비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체육교수신뢰와 체육교과태도 및 수업만족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국에 분포되어 있는 교육대학교 재학생 32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인 IBM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IBM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예비초등교사의 체육교수신뢰는 체육교과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예비초등교사의 체육교과태도는 수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예비초등교사의 체육교수신뢰는 수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는 예비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체육교과를 지도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초등과학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성공지능과 학습전략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Successful Intelligence and Learning Strategies for the Scientific Gifted and the Regula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 박영희;최선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3호
    • /
    • pp.612-624
    • /
    • 2014
  • 이 연구는 초등과학 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성공지능과 학습전략에 대한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 B 교육지원청 관내에 있는 3교의 단위학교 영재학급과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공지능과 학습전략에서 초등과학 영재학생이 일반학생보다 높았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p < .001). 둘째, 학년별로 성공지능과 학습전략을 비교했을 때, 5, 6학년 모두에서 영재학생이 일반학생보다 평균이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p < .001). 셋째, 성별에 따라 성공지능과 학습전략을 비교했을 경우, 남녀 모두에서 영재학생이 일반학생보다 높았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1).

  • PDF

초등교사의 노벨 엔지니어링 기반 융합 수업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on the Experience of Novel Engineering Class of Elementary Teacher)

  • 홍기천;김희숙;한소망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51-5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의 노벨 엔지니어링 수업에 대한 경험을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가 어떤 이유로 노벨 엔지니어링에 관심을 가졌는지를 알아보고, 이 수업이 가지는 장단점들과 융합 수업 모형으로서의 확산 가능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연구 참여자인 4명의 초등교사는 2021년도 2학기에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하여 노벨 엔지니어링 기반 주제 중심 생태감수성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후 본 연구자는 4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분석 결과, 13개의 하위 구성 요소와 4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구성요소는 실수로부터 배움, 수업 연구에 대한 중요성 인식, 창작물 제작 과정을 통한 아이들의 창의성 발현, 노벨 엔지니어링과 기존 교과목과의 높은 연계 가능성이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교사의 자율적인 수업 연구를 위한 교육현장의 분위기 확산, 교사의 교과와 실제를 융합하는 비교과 교육과정 개발 역량 함양, 그리고 노벨 엔지니어링과 같은 실용적인 수업 모형 개발에 관한 연수 프로그램 확대이다.

초등과학영재 학생들의 천문분야 수업이 공간지각능력 및 과제집착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stronomical Field on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on Spatial Perception Ability and Task Commitment)

  • 이용섭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63-27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과학영재 학생들의 공간지각능력과 과제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천문분야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B 대학교 영재원 부설의 초등과학영재반 심화과정 학생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초등학교 과학영재반의 학생을 대상으로 공간지각능력과 과제 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총 12차시의 교육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고, 실험처치의 사전과 사후에서 각각 공간지각능력 검사와 과제집착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의 결과는 양적분석으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천문분야 수업이 초등과학영재 학생들의 공간지각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천문분야 수업이 초등과학영재 학생들의 과제집착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셋째, 초등과학영재 학생들의 천문분야 수업이 과제집착력 향상보다 공간지각능력 향상에 더 효과가 있었다. 초등과학영재학생들의 선발은 지능, 창의성, 과제집착력이 우수한 학생들을 선발하였으므로 보다 나은 잠재된 영재성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개인별교육프로그램(IEP)를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다. 또한 영재교육에서 보다 심층적인 영재성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개인별 영재의 특성을 발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과학 수업에서의 실감형 콘텐츠 활용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과 요구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Demands on the Use of Realistic Content in Science Class)

  • 차현정;윤혜경;박정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3호
    • /
    • pp.480-500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에서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경험이 많은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실감형 콘텐츠의 활용에 대한 인식과 요구 사항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1) 과학 수업에서 초등 교사는 주로 어떠한 실감형 콘텐츠를, 어떠한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는지, (2) 과학 수업에서 실감형 콘텐츠 활용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과 어려움은 무엇인지, (3) 과학 수업에서 실감형 콘텐츠 활용을 위한 연수에서의 초등 교사의 요구 사항은 무엇인지에 관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 교사는 주로 디지털교과서와 '사이언스레벨업'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실감형 콘텐츠를 사용하였고 콘텐츠 유형은 활용 목적에 따라 '탐구형', '방문형', '제작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둘째, 초등 교사들은 실감형 콘텐츠 활용의 교육적 장점으로 과학 내용 이해에 도움, 흥미와 호기심 유발, 실재감을 통한 몰입을 언급하였다. 실감형 콘텐츠 사용과 관련된 어려움은 여러 가지가 언급되었으나 과학 수업 내용에 적합한 양질의 교육용 콘텐츠가 매우 부족하다는 점,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수업 사례의 예시가 부족하다는 점 등이 있었다. 셋째 실감형 콘텐츠 활용을 위한 교사 연수와 관련해서 초등 교사들은 질 좋은 실감형 콘텐츠에 대한 정보 제공, 구체적인 수업 사례 중심의 연수, 실감형 콘텐츠 유형별로 적용해 볼 수 있는 수업 모형의 제공, 필요한 기기의 구입, 사용, 관리 및 운영에 관련된 정보 안내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초등 과학 수업에서 실감형 콘텐츠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 Case Study on Gifted Education in Mathematics

  • Kim, Soo-Hwa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5권2호
    • /
    • pp.87-98
    • /
    • 2001
  • The Center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CSGE) of Ch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as established in 1998 with the financial support of the Korea. Science & Engineering Foundation (KOSEF). In fact, we had prepared mathematics and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beginning in 1997. It was possible due to the commitment of faculty members with an interest in gifted education. Now we have 5 classes in Mathematics, two of which are fundamental, one of which is a strengthened second-grade class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one a fundamental class, and one a strengthened class for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in Chungbuk province. Each class consists of 16 students selected by a rigorous examination and filtering process. Also we have a mentoring system for particularly gifted students in mathematics. We have a number of programs for Super-Saturday, Summer School, Winter School, and Mathematics and Science Gifted Camp. Each program is suitable for 90 or 180 minutes of class time. The types of tasks developed can b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discussion, open-ended problem solving, and exposition and problem solving tasks. Levels of the tasks developed for talented elementary students in mathematics can be further divided into grade 5 and under, grade 6, and grade 7 and over. Types of the tasks developed can b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discussion, open-ended problem solving, and exposition and problem solving task. Also levels of the tasks developed for talented elementary students in mathematics can be divided into the level of lower than grade 5, level of grade 6, and level of more than grade 7. Three tasks developed and practiced are reported in this artic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