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검색결과 457건 처리시간 0.034초

고등학교 선택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온라인수업 제도화 방안 (Providing High School Students with Online Instruction for Optional Curriculum)

  • 정영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500-508
    • /
    • 2014
  • 현재 고등학교에서는 교원 및 교실 부족 등으로 인해 학생들이 원하는 선택 과목을 수강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수업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음과 같은 내용을 연구하였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온라인수업의 개념과 모형을 연구하였다. 둘째, 교육통계분석시스템을 이용하여 과목별 개설 현황과 수능 응시 현황 자료를 비교하여 과목별 수요를 예측하였다. 셋째, 온라인수업을 고등학교에 정착시키기 위해서 초중등교육법과 동법 시행령, 고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고시), 학교생활기록 작성 및 관리 지침(훈령)에 대한 개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관련 법령과 고시, 훈령에 대한 개정 방안은 온라인 수업 관계자, 시도교육청 담당자, 현장 교사로 구성된 전문가집단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그 결과, 관련 법률과 지침의 개정 범위를 제시하였고, 온라인 수업에 대한 근거와 학사 운영 및 교육과정 운영 방안 제시, 온라인 수업에 참여할 교원의 자격과 배치 기준, 예산 확보 근거 등을 제시하였다.

교육대학원 AI교육과정 개발 탐색 (Exploration of AI Curriculum Development f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배영권;유인환;장준혁;김대유;유원진;김우열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433-441
    • /
    • 2020
  • 지능정보사회의 도래와 미래 인재 육성을 위한 인공지능 교육이 교육계의 주목을 받으며 교원의 인공지능대학원 과정 또한 개설, 운영 중이며 올해 신설된 AI교육 대학원의 교육과정은 각 대학의 여건을 고려하여 자체적으로 편성되어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원에서 보다 효과적이고 교육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AI교육과정이 향후 개발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교육대학원 AI교육과정은 Backward 설계를 토대로 Bloom의 디지털 텍사노미, Bruner의 나선형 교육과정 구성 원리를 포함하여 '내용영역', '수준', '교수학습방법' 등 3가지의 요소로 구성하고자 하였다. 연구에서 제시한 AI교육과정개발 방향을 토대로 국내 교육대학원의 AI교육과정이 좀 더 내실화되길 바라며,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과정을 수정·보완하여 초·중등학교의 AI교육과정 구성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영재교육기관 교원자격에 관한 법 규정의 검토 (Legal Imperatives Related to Teacher Certification in Gifted Education)

  • 박창언;서혜애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1호
    • /
    • pp.231-256
    • /
    • 2010
  • 본 연구는 영재교육기관의 교원자격 제도에 관한 법 규정을 검토함으로써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원의 자격을 개선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영재교육진흥법'의 성격과 연구의 기본틀에 대해 고찰하였다. '영재교육진흥법'은 '초 중등교육법'에 비해 특별법적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일반아동을 위한 교원과는 다른 교원자격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초 중등교육법'과 '영재교육진흥법'상의 교원자격에 대한 법제 현황을 분석하였다. 법제 분석을 통해 그 특징을 고찰함으로써 법 규정의 검토를 위한 기초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영재교육기관별 교원자격에 대한 법 규정의 문제점들을 검토하였다. 여기서는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자격과 임용, 자격규정, 영재교육 담당교원 자격에 따른 교육프로그램, 영재교육기관별 교원자격의 차별화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 영재의 학습에 대한 권리를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세분화된 자격과 교육프로그램의 최소한도의 규정성, 그리고 영재교육기관별 교원자격의 차별성보다는 공통성을 규정하고 영재교육프로그램의 차별화를 위한 교원자격의 종류를 다양화시켜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초·중등 여교사의 월경전증후군 증상과 대처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menstrual Syndrome Symptoms and Coping on Quality of Life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Female Teachers)

  • 정소윤;안숙희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4권1호
    • /
    • pp.52-62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remenstrual syndrome (PMS) symptoms and coping strategies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female teachers. Methods: 140 female teachers in C province were recruited using a correlational study design. The measurements used were the PMS symptoms scale, the PMS coping scale and the Korean version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cale. Results: The higher quality of life were predicted by the lower PMS symptoms, the higher PMS coping, the better the quality of sleep, the lower the job and life stress, and the lower work disturbance due to the PMS symptoms. These variables explained 53% of the total variance. Conclusions: For better female teacher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ealth care programs for managing the PMS symptoms need to be developed by considering those identified variables. For health education practice, school health teachers need to distribute health educational materials for female teachers and to provide small-group health counselling services for PMS self care.

Prediction of Student's Interest on Sports for Classification using Bi-Directional Long Short Term Memory Model

  • Ahamed, A. Basheer;Surputheen, M. Mohamed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0호
    • /
    • pp.246-256
    • /
    • 2022
  • Recently, parents and teachers consider physical education as a minor subject for student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Physical education performance has become increasingly significant as parents and schools pay more attention to physical schooling. The sports mining with distribution analysis model considers different factors, including the games, comments, conversations, and connection made on numerous sports interests. Using different machine learning/deep learning approach, children's athletic and academic interests can be tracked over the course of their academic lives. There have been a number of studies that have focused on predicting the success of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Sports interest prediction research at the secondary level is uncommon, but the secondary level is often used as a benchmark to describe students' educational development at higher levels. An Automated Student Interest Prediction on Sports Mining using DL Based Bi-directional Long Short-Term Memory model (BiLSTM) is presented in this article. Pre-processing of data, interest classification, and parameter tweaking are all the essential operations of the proposed model. Initially, data augmentation is used to expand the dataset's size. Secondly, a BiLSTM model is used to predict and classify user interests. Adagrad optimizer is employed for hyperparameter optimization. In order to test the model's performance, a dataset is used and the results are analysed using precision, recall, accuracy and F-measure. The proposed model achieved 95% accuracy on 400th instances, where the existing techniques achieved 93.20% accuracy for the same. The proposed model achieved 95% of accuracy and precision for 60%-40% data, where the existing models achieved 93% for accuracy and precision.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에 대한 초등 수학교과서 비교 분석: 한국, 일본, 싱가포르, 핀란드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Primary Mathematics Textbooks for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f Decimals: Focusing on Korea, Japan, Singapore, and Finland)

  • 박만구;박혜민;최은미;표정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5권3호
    • /
    • pp.251-278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일본, 싱가포르, 핀란드의 초등 수학교과서의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에 대하여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지 분석하여 수학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은 학생들이 자주 오개념을 가지는 것에 비하여 이를 표현하는 최근 초등 수학교과서의 비교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 연구를 위하여 한국의 초등 수학교과서와 TIMSS나 PISA와 같은 국제성취도 연구에서 높은 수학 성취도를 나타내는 일본, 싱가포르, 핀란드에서 널리 사용하는 초등 수학교과서를 선정하였다. 분석은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과 관련한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 지도 시기와 내용, 실생활 소재, 시각적 모델의 사용, 알고리즘의 형식화 방법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 관련 수학과 교육과정은 한국과 핀란드의 경우 어림을 포함하고, 일본과 싱가포르는 실생활 연계를 보다 강조하며 핀란드는 중등에서 연산이 완성되도록 하고 있다. 지도 시기와 내용은 짧은 기간에 집중적으로 지도하거나 여러 학년과 학기에 분산하기도 한다. 실생활의 소재는 모든 나라에서 간단한 문장제 형식으로 제시하였고, 시각적 모델의 사용이나 알고리즘의 형식화 방법은 단위 환산 등에서 자연수의 연산과 연계하도록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교과서 개발 및 교사 연수에 제안을 하였다.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적정성에 관한 학생 의견 조사 연구 (The Study on the Students' Opinion about the Content Relevance in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 이대현;임재훈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4호
    • /
    • pp.509-52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the contents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that are implemented for 3-10 grade students in Korea. To satisfy the purpose of the study, we conducted a nationwide questionnaire to get opinions from students on the relevance of the mathematics curriculum. 4,158 elementary school students, 4,571 middle school students, and 1,653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Many students feel that the quantity is relevant, so the requirement of reduction in quantity is a little. Also secondary students feel that mathematics is difficult and this condition becomes more serious in proportion as grade. Finally we noticed the difference between sexes, grades, and tracks of studying in every question.

  • PDF

국내.외 환경교육 논문 분석을 통한 연구 경향 비교 (Comparison of Korean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Trends through Research Synthesis)

  • 신동희;이지희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2권4호
    • /
    • pp.111-133
    • /
    • 2009
  •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 of environmental education(EE) during last two decades, we analyzed a total of 801 research papers published from 1990 to 2008, 418 research papers from "Hwankyungkyouk" and 393 research papers from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JEE)", respectively. The majority of the authors in both journals majored in EE, followed by authors of science education major in "Hwankyungkyouk" and authors of social science major in JEE. In both journals, more researches were data-collected by quantitative method rather than qualitative method. In particular, the ratio of researches by qualitative method have been dramatically increased since the mid 1990s. The significance test was less used in Korean EE researches than those in JEE. In both journals, more EE researche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were accomplished, which tended to be more salient in Korea.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119 EE programs in both journals proposed that EE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more diversely in content as well as in educational method.

  • PDF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 현황 및 원인 (The Current Status and Causes of Elementary Students' Internet Addiction)

  • 조미헌;신경선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45-56
    • /
    • 2004
  • 최근 인터넷 사용이 확산되면서 그 역기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인터넷 중독이 주요 이슈로 다루어지며, 인터넷 사용자의 연령층이 낮아지면서 인터넷 중독에 대한 우려는 초등학생에게까지 미치게 되었다. 그러나 인터넷 중독 관련 연구는 중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서는 상당수 이루어졌으나,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게 이루어졌다. 또한 우리나라의 현실에 맞고, 초 중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표준화와 타당화 과정을 거친 신뢰로운 검사 도구의 사용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그와 같은 필요를 고려하여 개발된 인터넷 중독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전국의 5, 6학년 1,382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의 현황과 그 원인이 되는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조사 대상의 5.5%에 해당하는 학생들이 고위험사용자군으로 분류되었고 12.4%의 학생들이 잠재적위험사용자군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학생들의 인터넷 중독 수준은 성, 학년 등과 같은 '인구학적 요인', 사용 시간, 목적 등과 같은 '인터넷 사용 경험', 가족 형태, 관계 만족도 등과 같은 '가족 관련 특성', 친구관계, 학교생활과 같은 '사회적 활동' 등의 4가지 영역의 15가지 변수들에 대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 PDF

학교 급별에 적합한 지구의 공전 실험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Research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in Experiments of Earth's Revolution by School Level)

  • 한제준;채동현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97-304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지구의 공전 실험에 대해 알아보고, 학교 급별로 효과적인 지구의 공전 실험이 무엇인지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자는 지구의 공전을 학습할 수 있는 8가지의 실험 방법을 조사 또는 개발하였다. 초등 예비교사 26명에게 이 실험을 실시하고 토의하도록 한 후, 학교 급별로 효과적인 지구의 공전 실험을 선택하고 이유를 쓰도록 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에서는 계절별 별자리가 달라지는 실험, 중·고등학교에서는 계절별 별의 스펙트럼을 비교하는 실험, 대학교에서 외행성의 역행운동이 효과적이라고 선택하였다. 예비교사는 직접 체험의 가능 여부, 교과 내용과 연계되는 정도, 배경지식과 고차원적인 사고의 정도를 실험 선택의 이유로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