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go resilience

Search Result 303,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치과위생사의 감정부조화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소진의 매개효과와 조직적 지지의 조절효과 (Mediating effects of burnout and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satisfaction in dental hygienists)

  • 김초롱;최준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89-499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burnout and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individual factors and organizational fact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included 270 dental hygienists working full-time at dental care facilities. The data o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emotional dissonance,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were collected. The individual (self-efficacy and ego resilience) and organizational (social support, organizational support and wage satisfaction) factors were considered as the moderating variable. For statistical analyse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ere used. Results: Burnout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satisfaction(p<0.001). The variables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burnout were identified as social support, organizational support and wage satisfaction (p<0.05), while the variables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were wage satisfaction and ego resilience (p<0.05). Conclusions: To prevent the decrease in job satisfaction due to emotional dissonance, the management of dental care facilities should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burnout in dental hygienists, which requires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efforts to be moderated. In addition, as organizational support has been identified as the factor mitigating the negative effects of emotional dissonance, it is highly necessary to adopt the preceptor system, improve communication systems and expand welfare policies of organizations.

인구사회학적 변인, 부모 및 개인 변인이 대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부모와의 애착, 자존감 및 자아탄력성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parental, and personal variables on depress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Focus on attachment to parents, self-esteem, and ego resilience)

  • 심정연;윤경자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9-109
    • /
    • 2018
  • Objectives: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sociodemographic variables, parents' variables, and personal variables on their level of depression. Method: The study included a total of 334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Busan. The data were used to perform correlational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Resul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most influential model was the model of personal variables. Among the personal variables, self-esteem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responsible for university students developing depression - the higher their level of self-esteem, the lower their level of depression. Among the parent variables, attachment to their father was the second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press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in addition to attachment to their father, their self-esteem was highly significant in predicting university students' depression. The results of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he form of programs and education to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fathers.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to help and provide basic resources to alleviate and prevent university students' depression by strengthening their self-esteem.

간호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 조혜경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2호
    • /
    • pp.261-267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사 국가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간호학과 4학년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해 C도에 소재하는 대학의 간호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2021년 11월 중순부터 2주 동안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부적절한 응답지를 제외한 107명의 설문지를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성별, 연령, 취업여부에 따른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자아탄력성(r=.376, p<.001), 자기효능감(r=.590, p<.001), 자아존중감(r=.495, p<.001)은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설명력은 41.1%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가시험을 준비하는 간호대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과 새로운 교수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교육서비스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이 진로성숙과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eaching self-efficacy and self-service resilient impact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stress)

  • 이정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7040-7050
    • /
    • 2014
  • 본 연구는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 진로성숙도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이 취업스트레스 관계에서 진로성숙도가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대학생의 진로성숙도는 5점 척도에서 중간점수인 3점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분석되었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탄력성은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취업스트레스는 유의미하게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그 자체가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역시 취업스트레스를 낮추어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진로성숙도와 관련하여 기존의 연구가 단일차원의 직접적 영향력만 다루었던 점과는 차별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영화와 동화에 나타난 소아의 외상적 사건과 탄력성 (Resilience of Children Expressed in Films and Fictional Stories)

  • 유희정;김봉석;황준원;박찬민;홍민하;반건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4권2호
    • /
    • pp.71-77
    • /
    • 2013
  • Psychological resilience in children preventing them from being overwhelmed by traumatic events and nurture their healthy development is universal and powerful. Movies about fairy tales provide children with the notion of the existence of the power and various manifestations. Even though the traumatic event affects the development of the child, with a good supporting system and by providing healthy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o reconstruct the event, the traumatized child may accept the event objectively, develop the healthier part of the ego, and even sublimate the traumatic events. As the children participate in movies or plays, several protectors can be devised. The child prepares the role under a "promise" of virtual reality, performs the role recognizing that the traumatic event is not real, and returns to real life as the role or play ends. When these protectors are provided, it is considered that resilience can function properly and the role does not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a child.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감과 가족건강성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family strength on the young children's ego-resiliency)

  • 이현주;문혁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83-203
    • /
    • 2011
  •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인 배경에 따른 심리적 복지감, 가족건강성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유아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가족지원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하는 사립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250명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자아탄력성에서 고졸 이하의 학력인 어머니보다 전문대졸 이상의 학력인 어머니의 삶의 만족감과 가족원 간의 유대 및 가족의 가치체계공유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자신감 및 쾌활감은 고졸 이하의 학력인 어머니를 둔 유아가 전문대졸 이상의 학력인 어머니를 둔 유아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감과 가족건강성의 하위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감,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은 부분적으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사회 인구학적 변인,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감, 가족건강성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다.

중학생, 고등학생 및 대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 영향요인 비교: 제7차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Comparison of Factors related to Smartphone Dependency among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Seventh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 이은지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165-174
    • /
    • 2019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of factors including emotional problems, self-perception, parental behavior, and peer attachment with smartphone dependency (SD) among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from a nationwide sample of 1,882 middle school, 1,821 high school, and 1,346 college students who owned smartphones.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dictors of SD based on school level. Results: SD scores significantly differed across school levels. Female gender, more aggressive behavior, less ego-identity, and less monitoring parental behavior were linked to higher SD at all school levels. Less self-esteem and intrusive parental behavior were linked to SD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high school students, additional factors related to higher levels of SD were resilience, intrusive / inconsistent parental behavior, peer trust and alienation, and depression. Additionally, resilience, over-expectant parental behavior, and peer trust were linked to higher SD in college students.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SD and predictors of SD among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se findings, SD preven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s of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실직가정 자녀의 적응유연성 증진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 : 멘터(mentor)와 멘티(mentee)에게 미친 상호적 발달 효과를 중심으로 (Effectiveness of Mentoring Program for Increasing Resilience of Children from Unemployed Families)

  • 박현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1권
    • /
    • pp.147-172
    • /
    • 2000
  • Although it has been noted that mentoring program is viewed as a effective way of intervention for the youth at-risk and vulnerable, few empirical studies have documented the benefits of mentoring program on youth. This research focused on effectiveness of campus-based mentoring program for children of unemployed families. It examined psychosocial benefits of mentoring program on mentor and mentee using the experimental design, posttest-only control group desig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control and intervention group. Children who have participated in mentoring program marked higher scores than control group in various psychosocial aspects including interpersonal skills, self-efficacy, sense of plan and motivation of schooling. Also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as mentors marked higher ego-strength score than not.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is study recommended campus-based mentoring program as a effective growth-oriented program for the university students as well as the children of unemployed families.

  • PDF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 자아탄력성과 간호전문직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Nurse Imagem Ego-Resilience and Nursing professional values of nursing students)

  • 박경;김혜숙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361-362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 자아탄력성 및 간호전문직관의 관계를 알아보고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일 지역 4년제 간호대학생을 2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acute{e}}^{\prim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s을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사이미지는 성격과 간호직에 대한 생각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자아탄력성은 연령, 성별, 학년, 성격, 간호직에 대한 생각, 지원동기, 입원경험, 가족 중 간호사 유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전문직관은 학년, 성격, 간호직에 대한 생각, 가족 중 간호사 유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사이미지, 자아탄력성 및 간호전문직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간호전문직관은 간호사이미지, 자아탄력성과 유의하게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고, 간호사이미지와 자아탄력성도 유의하게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 영향요인은 간호사이미지, 자아탄력성으로 나타났다.

  • PDF

초등교사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the Depress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이성옥;이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618-626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설계는 서술적 연구이다. 초등학교 교사 28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t-test, 분산분석, $Scheff{\acute{e}}$ test,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5점 Likert 척도로 측정된 심리적 소진, 직무스트레스 및 자아탄력성의 평균치는 각각 2.44, 3.07, 3.68이었다. 4점 Likert 척도로 측정된 우울과 직무만족도의 평균치는 각각 1.47, 2.95이었다. 교직경력과 학급 규모는 우울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심리적 소진(r=.465, p<.001)과 직무스트레스(r=.220, p<.001)는 우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직무만족도(r=-.249, p<.001)와 자아탄력성(r=-.643,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 회귀분석을 한 결과, 초등교사의 우울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탄력성(${\beta}=-.639$)이었고, 직무만족도(${\beta}=.141$), 심리적 소진(${\beta}=.094$), 직무스트레스(${\beta}=.067$) 순이었으며 4가지 연구변인의 설명력은 42.7%였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우울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자아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학교 구성원들뿐만 아니라 교육지원기관이 함께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