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 antigen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1초

Production of Mouse Anti-Quail IgY and Subsequent Labeling with Horseradish Peroxidase Using Cyanuric Chloride

  • Kassim, Neema;Mtenga, Adelard B.;Shim, Won-Bo;Chung, Duck-Hw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4호
    • /
    • pp.527-533
    • /
    • 2013
  • Polyclonal antibodies labeled with a tracer have been commonly used as secondary antibodies in immunochemical assays to quantify the concentration of antibody-antigen complexes. The majority of these antibodies conjugated with a tracer are commercially available, with the exception of few untouched targets.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mouse anti-quail IgY as an intermediate antibody to link between quail egg yolk IgY and goat anti-mouse IgG-HRP as primary and secondary antibodies, respectively. Subsequently, the produced mouse anti-quail IgY was labeled with horseradish peroxidase (HRP) and its efficiency on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was compared with that of commercial rabbit anti-chicken IgY-HRP. As an intermediate antibody, mouse anti-quail IgY was successfully produced with good affinity and sensitivity (1:10,000) to the primary and secondary antibodies. Subsequently, mouse anti-quail IgY was effectively conjugated with HRP enzyme, resulting in a secondary antibody with good sensitivity (1:10,000) to quail anti-V. parahaemolyticus and V. vulnificus IgY. The detection limit was $10^5$ CFU/ml for both V. parahaemolyticus and V. vulnificus. The efficiency of the produced conjugate to detect quail IgY on ELISA was comparable to that of the commercial rabbit anti-chicken IgY-HRP, and hence the produced and labeled mouse anti-quail IgY-HRP can be used as a secondary antibody to detect any antibody produced in quail.

판토텐산의 분석을 위한 효소면역측정법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for Detection of Pantothenic Acid)

  • 손동화;박윤식;배근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009-1014
    • /
    • 2000
  • PA를 분석하기 위하여 효소면역측정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Bc방법과 Po방법으로 BSA에 PA를 conjugation하여 각각의 PA-BSA conjugate(PA-BSA[Bc]와 PA-BSA[Po])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토끼에 면역하여 항PA-BSA 항체를 얻었다. 항PA-BSA[Po] 항체를 사용한 ciELISA의 결과에서 경합반응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식품 속에 있는 PA를 검출하기 위해서 PA-BSA[Po]을 코팅한 후 항PA-BSA[Bc] 항체를 사용하였다. 이 결과에서 PA의 검출한계가 1 ppm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교차반응을 통해 PA 유도체들에 대해서도 항PA-BSA[Bc] 항체가 PA에 대해 특이성이 매우 강하였다. 또한, MBA의 결과에서는 그 검출한계가 10ppb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시료인 계란(109%), 상추(64%), 소간(344%)의 식품시료에 대한 실험에서 상추를 제외하고는 ciELISA는 MBA의 결과와 비교해 볼 때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ciELISA는 MBA보다 분석시간, 교차반응 등의 면에서 장점이 있어 식품 중 PA의 검출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폐흡충 충체 부위별 항원성에 대한 면역 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eal study on the antigenicity of body compartments of Payugonimus westermani)

  • 이순형;성숙환;채종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7권2호
    • /
    • pp.109-118
    • /
    • 1989
  • 폐흡충 감염시 숙주 말초혈액에는 많은 항체가 생성되므로 각종 면역학적 진단에 이용되 고 있다. 그러나 이들 항체가 폐흡충 충체 구성 요소 중 주로 어느 기관(또는 구조물)에 대한 항체 인지에 대해서는 별로 연구된 바 없었다. 이 연구는 면역 조직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폐흡충 충체 의 부위별 항원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충체 절편 표본에서 흡반, 표피, 피극, 난황선, 장, 자성 및 웅성 생식기, 충란 등의 항원성을 비교 관찰한 것이다. 충체 표본으로는 감염 11∼20주 된 고양이의 폐조직에서 충낭(WOrm capsule)을 적출하여 포르말 린 고정 및 파라핀 포매한 것을 4㎛ 두께로 영아 사용하였고, 항혈청(1차 항체)으로 감염 11∼20 주 된 고양이 혈청을, 2차 항체로 peroxidase-conjugated goat anti-cat IgG를 사용하는 간접 면역 대소 염색법(indirect immunoperoxidase staining technique)을 이용하였고, 진한 황색 또는 황갈색으로 염색되면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항체의 희석 농도는 1차 항체 1 : 500~1 : 2,000, 2차 항체 1 : 200~1 : 500으로 하였고 10회 이상 반복 염색하였다. 실험 결과 장 상피의 표면(intestinal epithelial border), 장 내용물, 난황선(vitelline glands) 및 충낭 내의 충란(eggs in worm capsule) 등이 강한 양성 반응을 보였고 자궁 내 충란 및 충체 실질 조직 중 일부도 약하지만 양성 반응을 보였다. 한편 흡반(suckers), 표피(tegument), 피극(spines), 표피하세포(subtegumental cells), 장 상피세포의 세포질, 웅성 생식기관 및 난소 등은 음성 반응 을 나타내었다. 항원성의 강도를 순서대로 나열해보면 장 상피의 표면, 장 내용물, 충낭 내의 충란, 난황선, 자궁 내 충란, 충체 실질조직의 순이었다. 항원성이 강한 장 상피층 및 장 내용물은 1차 항체 1 : 4,000(2차 항체 1 : 200)에서도 양성 반응을 보였으나 충체 실질조직 중 일부는 1차 항체 1 : 500의 고농도(2차 항체 1 : 200)에서만 양성 반응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폐흡충 감염시 나타나는 혈청의 항체 반응은 충체의 배설물과 충 낭 주위에 산출된 충란에 의해 가장 강력히 유발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되며 이들이 충낭을 벗어나 숙주 조직으로 총수되는 가장 중요한 항원성 물질이 아닌가 추측된다.

  • PDF

면역효소진단법을 이용한 폐흡충증 유행의 역학조사 (An epidemiological study of human paragonimiasis by means of micro-ELISA)

  • 조승열;이동근강신영김석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1권2호
    • /
    • pp.246-256
    • /
    • 1983
  • 폐흡충증의 유행정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하여 온 피내반응과 충란검사가 각각 특이도와 민감도에 문제를 갖고 있어 주민 중 현증 환자를 적절히 찾았다고 하기가 어렵게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폐흡충 특이 IgG항체를 검사함으로써 항체양성자의 수를 현증 환자의 수로 하는 방법을 폐흡충증 역학조사에 응용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특이항체를 면역효소진단법으로 측정하였을 때 그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과 북일면의 6개 국민학교, 2개 중학교, 1개 고등학교 학생과 2개 부락 주민 등 모두 4,285명을 우선 피내 반응으로 검사하고 폐흡충 피내반응 양성자에서 가래 검사를 한번 실시하였고 혈청을 채취하여 면역효소진단법으로 폐흡충 특이 IgG항체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총 대상자 4,285명 중 폐홉충 피내반응 양성자는 244명 (5.7%)이었고, 피내반응 양성자 중 충란 양성자는 7명 (4.2%), 면역효소진단법에 의한 특이 IgG항체 양성자는 40명 (16.7%)이었다. 전체 조사 대상자에 대한 충란 양성자의 비율은 0. 16%, 특이 IgG항체 양성자는 0.93%에 해당하였다. 2. 폐흡충 특이 IgG항체 양성자는 충란 양성자에서는 100%, 폐흡충 피내 반응은 양성이나 충란검사 음성자에서는 14.2%에서 나타났으나, 간흡충 피내반응 양성자 또는 피내반응 음성 자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3. 폐흡충 특이 IgG항체 양성자는 피내반응 구진의 크기 9mrn이하에서는 없었고, 10mm에서는 5.5%, 11∼12mm에서는 26.1% 및 18.2%, 13mm이상에서는 평균 42.4%에서 양성이었다. 4. 특이항체 양성자 31명을 임상적으로 조사한 바 검사소건(흉부 X-선, 충란검사 및 호산구 비율)에서 폐흡충증에 합치하는 이상소견이 24례에서 나타나 현증 폐홉충증 환자로 생각할 수 있었고, 나머지 7례중 3례는 폐흡충증의 과거력이나 쳔증 증상을 갖고 있었으며 4례에서는 특이항체 양성소견 이외에는 어느 검사로도 폐흡충증임을 증명할 수가 없었다. 5. 폐홉충 특이 IgG항체 양성자 수의 피내반응 양성자 수에 대한 비율은 연령별로 7∼9세에서는 16.6%, 10∼14세에서 25.4%, 15w18세 군에서는 18.3%이었고 20세 이상에서는 10.0%로 떨어지고 있었다. 6. 체홉충 특이 IgG항체 양성자는 북평면의 산골 마을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서 면역효소 진단법에 의하여 폐흡충 특이 IgG항체 양성자를 조사함으로써 어느 지역의 폐흡충중 현증 환자를 피내 반응이나 충란 검사보다도 더 사실에 가깝게 측정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하는데 현지조사를 직접 간접으로 도와 주신 해남군 보건소 민 경 소장님과 김용팔 주사, 북평면 면사무소 직원여러분과 해남군 교육청, 각급학교 교직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환자의 흉부 X-선 사진을 판독하여 주신 중앙의대 부속 성심병원 방사선과 과장 정전상 부교수께 도 감사드립니다. )

  • PDF

난황항체 및 첨가제를 이용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부착 억제 (Studies on Adherance Inhibition and Detachment of Helicobacter pylori Using Egg Yolk IgY and Additives)

  • 구재경;최태부
    • KSBB Journal
    • /
    • 제16권1호
    • /
    • pp.41-47
    • /
    • 2001
  • H. pylori 유래의 위장 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에 대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감염 원인균의 부착 억제와 탈착이 가능한 물질의 사용이 타당성 조사 및 그 기초연구를 목적으로 조사하였다. 우선, 닭에 면역접종을 하여 면역접종 횟수에 따른 IgG 항체의 증가를 확인하여 면역접종을 하지 않은 군에 비해 10배 이상 H. pylori에 대한 항체가 생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H. pylori가 위 상피세포에 결합하는 현상이 H. pylori의 감염에 중요한 첫 단계라는 점에 착안하여 H. pylori의 위벽세포에 대한 결합의 특성을 조사하는 한편, 여러가지 부착 억제 후보물질을 이용하여 단독 또는 H. pylori에 대한 난황 항체와 함께 H. pylori의 부착 억제 정도를 실험하였다. 부착 억제 실험의 결과, 난황 항체를 이용하여 H. pylori(NCTC11637, ATCC43526)가 AGS에 부착하는 것을 저해가 가능하였으며 NCTC11637와 ATCC43526 모두 균체 및 외막단백으로 면역접종하여 생산된 항체의 경우 0.5 mg/mL의 농도로 NCTC11637은 80%, ATCC43526은 60% 정도의 부착 억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탈착 실험의 결과도 면역접종을 실시한 난황 항체가 40-60% 정도의 탈착 효과를 보였으며 균체 자체와 외막 단백을 항원으로 사용한 군 사이의 탈착력 차이는 크지 않았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들이 사용 균주에 따라, 특히 분리 균주를 이용한 경우에는 상이한 결과들이 나타나므로 항체를 이용한 경우에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난황 항체는 식품성분의 하나로서 안정성의 면에서 매우 유리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므로 특이적 항체를 많이 생산할 수 있는 항원의 개발과 함께 정제도를 높인다면 더욱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외국의 다른 연구에서 보고된 경우와 같이 in vitro에서 유효한 물질이 in vivo에서 효과가 없는 경우도 종종 보고되고 있어 지금까지 탐색한 물질의 in vivo에서의 부착 억제 효과에 대한 진단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H. pylori의 결합에 관계하는 receptors 및 ligands가 어떤 특정한 한가지가 아니라 여러 가지의 복합적인 물질이 관여하는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 PDF

Synthesis of New 4-Oxo-2-Thioxo-1,2,3,4-Tetrahydropyrimidine Derivatives with an Incorporated Thiazolidinone Moiety and Testing Their Possible Serine Protease and Cercarial Elastase Inhibitory Effects with a Possible Prospective to Block Penetration of Schistosoma mansoni Cercariae into the Mice Skin

  • Bahgat Mahmoud Mohamed;Maghraby Amany Sayed;Heiba Mogeda Emam;Ruppel Andreas;Fathalla Omar Abd-elfattah Mohamed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9호
    • /
    • pp.1002-1012
    • /
    • 2005
  • 5-Substituted 4-oxo-2-thioxo-1,,2,3,4-tetrahydropyrimidine were synthesized by interaction of 4­oxo-2-thioxo-1,2,3,4-tetrahydropyrimidine-5-sulfonylhydrazide with some aldehydes to give the corresponding Schiff-bases, which after cyclization gave corresponding thiazolidinones. For some of the thiazolidinones, Mannich bases reaction was carried out. All the derivatives were tested for their possible inhibitory effect on Schistosoma mansoni cercarial elastase (CE). Only, N'-(4-methylbenzyledine)-4-oxo-2-thioxo-1,2 ,3,4-tetrahydropyrimidine-5-sulfonylhydrazide was found to have potent inhibitory effect on the CE activity with $IC_{50} = 264{\mu}M.$ Upon its use as a paint for mice tails before infection with S. mansoni cercariae, the compound formulated in jojoba oil caused a significant reduction ($93\%$; P-value = 0.0002) in the worm burden. IgG & IgM in mice sera were measured by using several S. mansoni antigens by ELISA. Sera from treated infected mice (TIM) 2, 4, and 6 weeks (W) post infection (PI) showed 1.2 folds lower, 1.2 folds higher, 1.7 folds lower IgM reactivity against soluble cercarial antigenic preparation (CAP), respectively, when compared with sera collected from infected untreated mice (IUM). Sera from TIM 2, 4, and 6WPI showed 1.3, 1.6, and 1.7 folds higher IgG reactivity, respectively against CAP than the IgG reactivity from IUM. Sera from TIM 2, 4 and 6WPI showed 1.5, 1.2 folds lower and 1.4 folds higher IgM reactivity, respectively against soluble worm antigenic preparation (SWAP) when compared with sera collected from IUM. Sera from TIM 2, 4, and 6WPI showed 1.4, 1 folds lower and 1 fold higher IgG reactivity, respectivley to SWAP when compared with sera from IUM. Sera from TIM 2, 4, and 6WPI had generaly lower IgM and IgG reactivities against soluble egg antigen (SEA) when compared with sera from IUM.

국내에서 분리한 Ornithobacterium rhinotracheale 균의 종란과 육계에서의 병원성 (Virulence of Ornithobacterium rhinotracheale Isolates for Embryonated SPF Eggs and Broilers)

  • 권용국;전우진;강민수;오재영;안병기;송은아;권준헌;이청산;김재홍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59-165
    • /
    • 2010
  • 본 시험은 국내에서 분리한 Ornithobacterium rhinotracheale(OR) 병원성 세균이 부화중인 종란과 일반 육계에서 얼마만큼 병원성을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첫 번째 9일령 부화란의 yolk sac에 국내에서 분리한 3종의 OR strain을 접종하여 12일동안 관찰한 결과, 66% 이상의 폐사율이 관찰되어 높은 병원성이 인정되었다. 두 번째로 3주령 일반 육계를 대상으로 5가지 다른 공격접종법[Intratracheal, Intravenous, Intramuscular, Aerosol, Newcastle Disease Virus(NDV)와 혼합 Aerosol]으로 접종한 다음 병원성을 관찰하였다. NDV와 OR균을 동시에 분무 접종한 계군에서만 특이적인 임상증상인 침울, 기침, 안면 종대와 함께 부검시 치즈양 또는 요구르트와 비슷한 염증성 삼출물이 기낭에 관찰되었다. 조직학적으로도 기낭상피세포의 변성과 탈락, 대식세포와 다형태성 관립구의 침윤, 부종 등의 기낭염이 확인되었으며, 이들 기낭을 이용한 면역 조직 화학적 염색법을 적용한 결과 다량의 OR균의 항원이 검출되었다. 그러나 OR균만 단독 처리한 닭에서는 일시적이고 경미한 조직학적 병변만이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NDV가 OR균의 감염에 따른 임상 증상과 병리조직학적 병변 유발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Spirometra erinacei에서 IgE와 IgG 항체를 유도하는 항원성분의 면역조직화학적 위치와 특성 (Immunohistochemical Localiz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Antigenic Compnent Inducing IgE and IgG Antibodies in Spirometra erinacei)

  • Chang-Hwan Kim;Sook-Jae Seo;Hong-Ja Kim;Kee-Hoon Kwak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2
    • /
    • 1996
  • Spirometra erinacei의 유충인 sparganum(metacercoid)에 감염되었을 때 호산성백혈구의 증가와 IgE 항체역가가 증가된다는 보고가 있다. 이 기생충에 감염되었을 때 IgG 항체와 IgE 항체를 유도하는 충체의 항원성분의 소재를 면역세포조직화학적 방법으로 충체의 성체와 유충에서 비교하였고, 또한 충체의 추출물을 SDS-PSGE와 EITB를 이용하여 IgG와 IgE 항체 유도 항원성분의 면역적 특성도 추구하였다. IgG와 IgE 항체 유도성분은 성체와 유충의 근층에서 공통적으로 분포되어 있었고, IgG 항원성분은 근층 뿐만 아니라 외피층과 유조직층에서도 반응이 나타났으며, 성체의 수태편절에서는 자궁 내에 있는 충난의 표면에서도 반응이 나타났다. 충체의 외피층에서 항원성분을 면역황금 표지법으로 관찰한 결과, 충체의 외피층(tegument)에서 IgG 항원성분의 분포밀도가 IgE 항원성분의 밀도보다 컸다. 충체의 추출물 중 IgG, IgE 유도 항원성 단백질의 면역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성체의 추출물의 43개 분회 중 21개 분획이 IgG 항원성분으로서 반응하였고, IgE 항원성분으로는 21개 분획에서 반응하였다. 이들 중 11개 분획 (410, 304, 268, 174, 162, 116, 92, 86, 72, 60, and 59 kDa)에서 IgG와 IgE가 교차반응하였으며, 유충의 추출물의 36개 분획 중 IgG 항원성분으로 22개의 분획에서 반응이 나타났고, IgE 항원성분으로는 13개의 분획에서 반응하였으며, 이들 중 5개 분획(204, 116, 92, 79, and 59 kDa)에서 IgG와 IgE가 서로 교차반응하였다.

  • PDF

기생충질환(寄生蟲疾患)의 면역혈청학적(免疫血淸學的) 진단(診斷)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Seroimmunodiagnosis of Parasitic Diseases)

  • 임한종;이준상;주경환;엄기선;정명숙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3권1호
    • /
    • pp.41-59
    • /
    • 1988
  • 우리나라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몇몇 기생충질환을 대상으로 각종의 혈청학적 진단법을 적용시켜 진단적 가치 및 의의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연구대상 기생충은 간흡충, 낭미충, Capillaria hepatica이었으며, 주로 간접 형광항체반응, ELISA, western blot등의 기법을 적용시켜 보았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흡충증에 있어서 ELISA는 83.3%의 민감도를 나타낸 반면 폐흡층 및 조충과의 교차반응이 인정되었다. ELISA는 간접혈구응집반응, 간접형광항체 반응에 비해 우수한 성적을 보이고 있었다. 앞서 기술한 교차반응을 구별하고 항원-항체반응의 특이항원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western blot의 결과 59Kd band와 21K의 band는 간흡충감염자 혈청이외에는 반응하지 않아 종특이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Praziquantel로 치료한 다음 18개월 후에 혈청 및 뇨를 이용하여 ELISA로 검사한 결과 OD치는 치료전의 약 1/2수준으로 감소하였고, 음전률은 60%에 이르렀다. 간접혈구응집반응을 이용할 경우 치료 18개월 후 80%가 음전되었다. 2) 낭미충증 진단에 있어서 간접형광항체반응은 95.8%(23/24) 민감도를 나타내었으며 내막에서 가장 강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ELISA 역시 90.0%(36/40)의 높은 민감도를 나타내었으나 두 방법 모두에서 다른 기생충감염자 혈청과의 교차반응이 인정되었다. Western blot 에서 볼때 91, 63, 21Kd의 band가 종특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63Kd의 항원대가 일관성 있게 낭미충 감염 혈청과 반응하였다. 3) Capillaria hepatica 충란을 이용한 난주위침강반응 및 간접형광항체법에서 85.0%의 민감도를 나타내었으며, 초록색의 특이한 형광이 점막전주위 및 충란절단면의 내막에서 관찰되었다. 수용성충란항원을 이용한 ELISA에 있어서도 85.0%의 민감도를 나타내었다. 항체가 감염후 3~5주부터 급격히 상승하기 시작하여 9주부터 점차 감소되어 감염후 13주에는 음성으로 전환되었다.

  • PDF

異種動物의 眼前房에 이식된 濾胞卵子의 成熟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aturation of the Follicular Oocytes by Xenoplastical Transplantation in the Anterior Chamber of the Eye)

  • 조완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68-74
    • /
    • 1970
  • 안전방안에서 여포난자가 성숙한다는 것이 몇가지 동물을 이용한 실험에서 밝혀진 바가 있었거니와 여포 난자가 異種의 안전방내에서도 성숙이 가능한 가를 보기 위하여 본 실험을 행하였다. 토끼의 경우 자체의 안전방내에 이식한 여포난자가 다른 동물 즉 흰쥐나 흰생쥐의 안전방에 이식하였을 때보다 낮은 성숙률을 보여 주고 있을 뿐, 흰쥐, 흰생쥐들은 각각 상호간의 안전방에 이식하였을때 同種의 다른 개체의 안정방에서 얻은 결과보다 훨씬 좋은 성숙률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흰쥐의 여포난자는 숫컷 흰쥐의 안전방에서 24시간 사이에 76%가 제 1및 제 2차 분렬의 증기에 있으며 같은 종류의 수컷 생쥐의 안전방에서 55%가 성숙한 것 보다 훨씬 높은 율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안전방의 전방수가 함유단백질의 양이거나 삼투압에 있어서 일반체액이거나 표준배양액의 것들과는 크게 다르며 세포나 조직의 배양액으로는 그다지 적당한 것으로 보이지 않으나 여포난자의 활성획득에는 큰 영향이 없다할 것이다. 특히 異種간의 이식실험에서 얻은 결과가 자체거나 同種간의 이식실험과 거의 같거나 오히려 더 나은 성과를 보여주고 있는데, 는 그 이유에 대해 더 밝혀야 할 문제로 본다. 단지 난자는 성숙분렬을 위한 활성을 갖는데 난자자체의 구성성분 즉 난황물질의 양에 크게 좌우되는 것같으며 또한 난자가 배양될 안전방의 환경요인이 성숙률을 결정하는 데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