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munohistochemieal study on the antigenicity of body compartments of Payugonimus westermani

폐흡충 충체 부위별 항원성에 대한 면역 조직화학적 연구

  • Lee, Sun-Hyeong (Department of Parasitology and Institute of Endemic Diseases,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eong, Suk-Hwan (Department of Thorac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ae, Jong-Il (Department of Parasitology and Institute of Endemic Diseases,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순형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풍토병연구소) ;
  • 성숙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채종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풍토병연구소)
  • Published : 1989.06.01

Abstract

Production of circulating specific antibodies to the lung fluke (Paragenimus westermani) by its host is well known and used in various kinds of immunodiagnostic methods, However, it has not been well documented which compartments (or structures) of the lung fluke are most responsible for the production of specific antibodies. The present immunohistochemical study was undertaken to demonstrate the antigenicity of each body compartment of p. westermani such as suckers, tegument, spines, vitelline glands, intestine, reproductive organs(male and female), and eggs. Indiret immunoperoxidase(IP) stain technique was applied, using formalin-fked, paraffin- embedded lung tissues of P westermani-infected cats sectioned in 4 Um thickness as the antigen and cat antisera (11~20 weeks of infection) as the primary antibody. Peroxidase-conjugated goat anti-cat IgG was used as the secondary antibody and diaminobensidine(DAB) as the coloring agent. Strong yellow or yellowish brown staining was regarded positive. The primary and secondary antibody dilutions were made at 1 : 500~1 : 2, 000 and 1 : 200~1 : 500 respectively, and IP stain was repeated 10 times for each dilution. A consistent result obtained was that the intestinal epithelial border, intestinal content, vitelline glands, and eggs scattered around the worm capsule showed strong positive staining, while uterine eggs and some parenchymal portions showed weak positive reaction. On the other hand, the suckers, tegument, spines, subtegumental cells, cytoplasm of intestinal epithelial cells, male reproductive organs, and ovary revealed negative staining. The body compartments showing higher antigenicity were, in the decreasing order, the intestinal epithelial border, intestinal content, eggs in the worm capsule, vitelline glands, uterine eggs, and parenchymatous portions. The intestinal epithelial border and luminal contents revealed positive staining even at a few concentration of 1 : 4, 000 primary antibody(secondary ab., 1 : 200) whereas the parenchymatous portion showed positive reaction only at higher concentrations than 1'500 (secondary ab., 1 : 200).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pecific antibody responses of the host to p. westermani occur most strongly upon the excretes from the intestinal epithelium of the worm and e99s Produced around the worm capsule,

폐흡충 감염시 숙주 말초혈액에는 많은 항체가 생성되므로 각종 면역학적 진단에 이용되 고 있다. 그러나 이들 항체가 폐흡충 충체 구성 요소 중 주로 어느 기관(또는 구조물)에 대한 항체 인지에 대해서는 별로 연구된 바 없었다. 이 연구는 면역 조직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폐흡충 충체 의 부위별 항원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충체 절편 표본에서 흡반, 표피, 피극, 난황선, 장, 자성 및 웅성 생식기, 충란 등의 항원성을 비교 관찰한 것이다. 충체 표본으로는 감염 11∼20주 된 고양이의 폐조직에서 충낭(WOrm capsule)을 적출하여 포르말 린 고정 및 파라핀 포매한 것을 4㎛ 두께로 영아 사용하였고, 항혈청(1차 항체)으로 감염 11∼20 주 된 고양이 혈청을, 2차 항체로 peroxidase-conjugated goat anti-cat IgG를 사용하는 간접 면역 대소 염색법(indirect immunoperoxidase staining technique)을 이용하였고, 진한 황색 또는 황갈색으로 염색되면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항체의 희석 농도는 1차 항체 1 : 500~1 : 2,000, 2차 항체 1 : 200~1 : 500으로 하였고 10회 이상 반복 염색하였다. 실험 결과 장 상피의 표면(intestinal epithelial border), 장 내용물, 난황선(vitelline glands) 및 충낭 내의 충란(eggs in worm capsule) 등이 강한 양성 반응을 보였고 자궁 내 충란 및 충체 실질 조직 중 일부도 약하지만 양성 반응을 보였다. 한편 흡반(suckers), 표피(tegument), 피극(spines), 표피하세포(subtegumental cells), 장 상피세포의 세포질, 웅성 생식기관 및 난소 등은 음성 반응 을 나타내었다. 항원성의 강도를 순서대로 나열해보면 장 상피의 표면, 장 내용물, 충낭 내의 충란, 난황선, 자궁 내 충란, 충체 실질조직의 순이었다. 항원성이 강한 장 상피층 및 장 내용물은 1차 항체 1 : 4,000(2차 항체 1 : 200)에서도 양성 반응을 보였으나 충체 실질조직 중 일부는 1차 항체 1 : 500의 고농도(2차 항체 1 : 200)에서만 양성 반응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폐흡충 감염시 나타나는 혈청의 항체 반응은 충체의 배설물과 충 낭 주위에 산출된 충란에 의해 가장 강력히 유발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되며 이들이 충낭을 벗어나 숙주 조직으로 총수되는 가장 중요한 항원성 물질이 아닌가 추측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