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views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1초

과학 탐구의 본성에 대한 명시적-반성적 탐구 학습 프로그램의 영향 (Instructional Influences of Explicit and Reflective Scientific Inquiry Learning Program about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 한수진;양찬호;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115-126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과학 탐구의 본성에 대한 명시적-반성적 탐구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과학 탐구의 본성을 직접 가르치지 않은 암시적 탐구 수업과 비교하였다. 또한, 개발된 프로그램 및 암시적 탐구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비교하였다.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두 집단에 배치하였다. 처치 집단에서는 과학 탐구의 본성에 대한 명시적-반성적 탐구 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에서는 과학 탐구의 본성과 관련된 내용을 제외하고 처치 집단과 동일한 탐구 활동을 사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처치 집단의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 탐구에 대한 인식론적 견해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두 집단의 과학 성취도와 과학 수업에 대한 즐거움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처치 집단의 학생들은 과학 탐구의 본성에 대한 소집단 토론 활동을 수업의 장점으로 생각하였으며, 소집단 토론 활동이나 과학 탐구의 본성에 대한 이해, 자신의 생각을 글로 쓰고 발표하는 활동 등을 어려움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Role of Fundamentalization of Education in Improving the Future Specialists Professional Training with Usage of Multimedia Technologies

  • Palshkov, Kostiantyn;Kochubei, Olena;Tsokur, Olga;Tiahur, Vasyl;Tiahur, Liubomyra;Filimonova, Tetiana;Kuzminskyi, Anatoli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9호
    • /
    • pp.95-102
    • /
    • 2022
  • The article considers the fundamentalization of education in improving the future specialists professional training with usage of multimedia technologies by various scientists. Various points of view and approaches to defining the concepts of fundamentalization of education and multimedia technologies are identified. The concept of fundamentalization of professional training of a future specialist is based on the goals and functions of fundamentalization and - on the ways and means of achieving it, etc. Most authors agree only in their views that the fundamentalization of education is aimed at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the education of the individual. Others involve the formation of a culture and worldview, increasing the creative and intellectual potential, forming the professional competence of a specialist and the potential for further education, and so on. The term multimedia refers to interactive systems that provide processing of moving and still video images, animated graphics, high-quality audio and speech. It is found out that professional training of a specialist by means of multimedia technologies includes not only the activities of the teacher and student, which form the learning process, but also the independent activity of the subject, self-development, assimilation of experience by the subject through analysis, comprehen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field of activity in which he is included. It is revealed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which approaches to the fundamentalization of higher professional education, it becomes possible to fully present theoretical training courses and effectively pass practical training by students, which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quality of training of future specialist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eoretical analysis of scientific views indicates a fairly serious attention of scientists to the problem of professional readiness of specialists and the possibility of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n preparing for it. At the same time, professional readiness is considered from different positions: as an active state of a person, which manifests itself in activity; as a result of activity; as goals of activity; as a quality that characterizes the attitude to solving professional problems and social situations; as a prerequisite for purposeful activity; as a form of activity of the subject; as an integral formation of personality; as a component of socio-professional culture; as a complex professionally significant neoplasm of the individual.

기독교교육학 저서의 자전적 글쓰기에 나타난 기독교교육학자의 정체성 연구: 파머, 해리스, 무어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the Identity of Christian Educators in Autobiographical Writing of Christian Educational Books: Focusing on the books of Palmer, Harris, and Moore.)

  • 김은주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8권
    • /
    • pp.345-374
    • /
    • 2021
  • 이 논문은 기독교교육학 저서에 나타난 자전적 글쓰기가 기독교교육학자의 정체성을 발견하는데 중요한 통로가 됨을 연구한 논문이다. 기독교교육학자의 정체성은 기독교교육학 이론연구의 배경이자 토대가 된다. 학자의 정체성은 객관주의적이고 인지주의적인 한계를 지닌 논증적인 글보다 저자가 직접 경험한 일인칭 시점의 자전적 글쓰기에 잘 나타나고 있음을 연구를 통해 발견하였다. 연구는 자전적 글쓰기의 개념과 특징, 자전적 글쓰기와 자아정체성, 자전적 글쓰기와 기독교교육의 관계성을 살펴보고, 기독교교육학자들의 저서 속에서 자전적인 글쓰기가 어떻게 그들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있는지를 관찰하였다. 마리아 해리스의 『가르침과 종교적 상상력』, 파커 파머의 『가르칠 수 있는 용기』, 엘리자베스 무어의 『Teaching as a Sacramental Act』에 나타난 자전적 글쓰기는 기독교교육학자의 정체성이 학습자의 정체성과 어떻게 만나고, 변형되고 확장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연구를 통해 자전적 글쓰기가 이야기의 형식을 띠지만 이야기와 구별되는 이야기로서 저자와 독자의 정체성이 만나는 장이 되고, 장아정체성의 형성과 변형을 일으키는 정체성 씨름의 장이 되며, 나의 이야기가 우리의 이야기가 되는 정체성 확장의 자리가 됨을 확인하였다. 자전적 글쓰기는 저자가 일인칭시점으로 현재의 시점에서 과거를 돌아보며 자아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과 불가분리의 관계이다. 이런 특징은 자아정체성 형성과 변형에 중점을 두는 기독교교육학의 목표와도 연결된다. 해리스, 파머, 무어의 글 속에 나타난 자전적 글쓰기는 학자들의 신학적 입장과 교육에 대한 견해를 포함한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자전적 글쓰기는 그간의 기독교육학저서 글쓰기가 논증적이고 객관적인 글쓰기에 치중하여 독자에게 괴리감과 단절감을 주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저자의 내면 이야기를 통해 독자로 하여금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이야기로 초청할 수 있다. 자전적 글쓰기가 포함된 기독교교육학저서는 독자들로 하여금 기독교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더 근본적으로 변형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통해 관찰한 식품영양정보의 사례분석 (Analysis of Information about Food and Nutrition Presented throughout Various Television Programs)

  • 류혜숙;김옥선;최해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80-68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information about food and nutrition topics presented throughout the television broadcast media, thereby find out the optimal communication method to give desirable information to the general public. To perform this study were recruited and trained by monitoring education before and during the study. 3 domestic TV channels were selected to be monitored, for 3 months.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reporting cases of information about foods and nutrition were 154, When each monitored contents was seen from the domain of programs, 128 cases(83.1%) were from current affairs and information program, and 26(16.9%) were from entertainment program. Second, according to survey by channel cases are 26(16.9%) from KBS, 54 cases(35.1%) from MBC, 74 cases(48.1%) from SBS, which means SBS reported the most about nutritional foods. Third, the frequency of reporting information on the overall diet and food & ingredient, cuisine & cookey, health & diet therapy and obesity & diet in order. Forth, among the 26 cases of positive or negative implications made by each cannel of KBS, 18 cases were delivered in positive ways, 7 cases had positive and negative point of views mix together, and 1 cases was negatively delivered. Finally,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organiae the advisory team by connecting mass media and specialist, and the educational program of nutrition should be developed for the communication of right information about foods and nutrition.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과 다문화 교육 요구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ltural Competency and Demand for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 이인숙;조주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83-290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과 다문화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3년제 간호과 재학생 총 278명이다. 자료수집은 2012년 11월 19일부터 30일까지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test와 ANOVA, 피어슨 상관계수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은 5점 만점에 평균평점은 2.8점으로 하위영역별로는 문화적 인식 3.0점, 문화적 수용 2.8점, 문화적 지식 2.5점이며, 다문화 교육 요구도는 3.9점이다. 둘째, 문화적 역량은 다문화 강의 수강 경험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교육 요구도는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넷째, 문화적 역량과 다문화 교육 요구도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로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수준은 낮은 수준이며 다문화 교육 요구도는 높은 수준으로 간호대학생들이 임상현장에서 다문화 간호대상자를 위해 문화적 역량을 발휘할 수 있기 위해서는 간호교육과정에서 다문화 역량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나가야 할 것이다.

'기체의 색깔'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인식 조사: 교육대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The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of 'the Color of Gases': Focusing on the Survey from Freshmen at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김한제;장명덕;정용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2호
    • /
    • pp.253-26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of 'color of gases' focusing on the survey from freshmen at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or the study, the views about 'color of gases' were surveyed from the pre-service teachers. And the respons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patterns. The result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ions about 'color of gases' were divided into 2 top-level, 5 mid-level and 7 sub-level categories. Second, the number of students who answered 'certain gas has color'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who answered 'every gas has no color'. However, only a small number of students who answered former understand the scientific meaning of color and the color of gases correctly. Third, out of 5 misconception categories, greater number of students answered with 'inaccurate scientific knowledge (Ma1)', so the category was classified again into five detailed sub-categories. Fourth, most of the students, who answered 'every gas has no color', stated "they have not seen any color gases through their lives"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 Fifth, the distribution percentage for scientific conceptions vs misconceptions was not related with the students' gender but highly related with students' academic area and their science courses taken at high school. Sixth, the pre-service teachers have various types of misconceptions regarding the 'color of gases' and when they have to explain visibility of gases to other people they tend to pass on their misconception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study, some educational guidelines were suggested.

수학 수업을 바라보는 두 가지 시각: 교사의 관점과 학생의 관점 (Two Views on the Mathematics Lessons: Teacher's Perspective and Students' Perspective)

  • 박경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9권2호
    • /
    • pp.259-276
    • /
    • 2007
  • 본 연구는 수학 수업을 바라보는 교사의 관점과 학생의 관점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중학교 2학년의 연속된 수업 10차시를 녹화하고, 녹화된 비디오를 재생시키면서 교사와 학생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 자료들을 분석하여 여섯 가지 측면에서 괴리 현상을 유형화하고, 유사한 배경이나 성격의 것들을 두 가지씩 결합시켜, 세 가지 측면으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는 교사와 학생의 입장과 관점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괴리로 '교사의 수업 핵심과 학생의 관심사의 괴리'와 '교사의 실수에 대한 상이한 해석과 반응'이 이에 해당된다. 둘째, 극단적인 교수학적 현상과 관련된 괴리로는 '교사와 학생이 주목하는 측면 사이의 괴리와 형식적 고착' 그리고 '확인형 발문과 토파즈 효과'가 있으며, 세 번째는 특정 교사와 학생 사이에서 발생하는 비 전형적인 괴리로 '학생들의 선호 내용에 대한 인식 차이' 그리고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에 대한 불충분한 대응'이 그 예가 된다. 논문의 마지막에는 이러한 괴리 현상의 극복 방안을 부분적으로 제시하였다.

  • PDF

초등학교 $3{\sim}4$학년 차세대 과학 교과용 도서의 실험본에 대한 교사와 학생 및 학부모들의 인식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udents' and Their Parents' Perceptions of New Experimental Grade $3{\sim}4$ Science Textbooks and Teacher's Guides)

  • 강훈식;윤혜경;임희준;장명덕;임채성;신동훈;권치순;이대형;김남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8권1호
    • /
    • pp.79-9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udents' and their parents' perceptions of new experimental grade $3{\sim}4$ science textbooks and teacher's guides developed by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63 teachers, 436 students and their 448 parents were selected from 9 elementary schools selected as model schools, and were administered the questionnaires of the perceptions of the new science textbooks and/or teacher's guides. The results revealed that many teachers had a rather positive perception of the teacher's guides. In addition, most of the teachers, students and their parents, especially the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an the teachers, perceived positively the new science textbooks. They also had various views of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new science textbooks and/or teacher's guides upon cognitive and motivational/emotional/affective aspect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 PDF

문화적 도시재생을 위한 공공도서관 계획 특성 연구 (An Analysis of the Design of Public Libraries in Culture-led Urban Regeneration)

  • 문은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143-151
    • /
    • 2017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esign of public libraries which act as anchors in culture-led urban regeneration. They have been built as city's symbols as well as catalysts to revitalize city centers and urban spaces since the 1990s. This study finds that the public libraries play roles in the urban development as cultural icons, multi-functional spaces, and public domain. This study examines the five examples of the libraries and finds their important design qualities as follow. First, public libraries are planned to symbolize local culture and history as cultural icons. The shapes of public libraries are expressed with sculptured cultural icons, while their facades are designed to signify cities' identities and images. Second, public libraries in culture-led urban regeneration have multi-functional spaces which provide diverse activities and experiences to visitors. The libraries often have galleries and theaters for cultural life, cafes and shops for daily uses, educational facilities, as well as public services, parking, and transport systems that connect to urban infrastructure. Third, the public libraries become the anchors of surrounding public spaces and cultural buildings. The libraries have the sequences of approach from entry plazas, transitional zones, and entrances to lobbies. Especially the transitional zones between the libraries and the cities that are covered with giant cantilevers expand the libraries' space and establish attractive urban spaces. Forth, the libraries employ nature and cityscapes in their design. The surfaces and openings of the libraries are adjusted to allow many attractive views to visitors. Fifth, the libraries have big lobby spaces which are the centers of the buildings as well as the public domain. The lobby spaces are designed as in-door spaces like out-doors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openness that allow the natural flows of light from ceilings, glass walls and vertical voids.

도서관 유튜브(YouTube) 채널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thods for Activating Libraries' YouTube Channel)

  • 노지윤;노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24
    • /
    • 2020
  • 5G 시대 단말기의 다양화, 고화질 및 몰입형 중심의 SNS 전개로 동영상 중심의 소셜 미디어 패러다임이 계속적으로 심화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유튜브 채널의 운영과 제공 콘텐츠 현황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다양한 활용 전략과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유튜브 채널을 개설 및 운영하고 있는 국내의 44개 도서관과 구독자 수 1,000명 이상 도서관 유튜브 채널을 활발하게 활용하고 있는 국외 도서관 12개를 대상으로, 도서관 유튜브 채널의 구독자 수, 조회 수, 비디오 수 데이터 현황, 그리고 콘텐츠 내용과 전달 방식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1) 도서관 유튜브 채널만이 가지는 특수성과 목적성을 확보, 2) 유튜브 채널의 홍보 및 접근성 제고, 3) 공공도서관에서 개설 및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임을 명시, 4) 이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로의 개선, 5) 도서관 전문성과 교육적 콘텐츠를 기획 및 제공, 6) 통합 유튜브 채널의 운영, 7) 이용자 기반 콘텐츠 제공 등의 도서관 유튜브 채널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