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perspectives

검색결과 382건 처리시간 0.022초

한·중·일 3국의 정부지원 유학생정책 비교 분석 (Comparison Study of Global Scholarship Policy among Korea, China, and Japan)

  • 남수경
    • 비교교육연구
    • /
    • 제22권4호
    • /
    • pp.75-98
    • /
    • 2012
  • 이 연구는 한 중 일 3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정부지원 유학생정책의 주요 특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중국 및 일본과 국제교육 교류 분야에서 앞으로 어떻게 경쟁하고 협동하여 갈 것인가에 대해서 시사점을 찾고 장차 우리나라 정책의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 중 일 3국 정책의 비교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Global Korea Scholarship(GKS)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GKS의 초정 및 파견사업에서 선발 대상국가에 '주변국'을 별도의 범주로 구분하여 접근함으로써 동아시아 국가 협력의 기반으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GKS를 장학금이라는 재정지원정책에서 한걸음 나아가 자국의 문화와 언어에 대한 사전 이해와 전파정책으로 이해하고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내국인 파견 GKS는 단기지원사업을 중심으로 획기적으로 확대 운영할 필요가 있다. 넷째, 아시아 개도국을 위한 GKS 외국인 초청사업은 자원외교의 관점을 넘어서 초정 당사국의 발전을 지원한다는 교육 ODA의 관점에서 설계, 운영할 필요가 있다.

예비과학교사의 비유 사용 수업에 대한 PCK 분석 (An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CK for Lessons Using Analogies)

  • 김민환;김성훈;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41-456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예비과학교사의 비유 사용 수업 설계를 PCK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사범대학에서 교육 실습에 참여한 3명의 예비과학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과학교육에서의 비유에 대한 워크숍을 실시한 후 교육 실습에서 비유 사용 수업을 실행하도록 하였다. 교육 실습에 참관하며 예비교사들의 수업을 관찰하였고, 예비교사들이 교수학습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반구조화된 면담을 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수업에서 비중 있게 다루는 비유에서만 대응 관계와 비공유 속성을 다루었고, 이 과정이 교사 중심적으로 이루어졌다. 예비교사들이 교육과정을 벗어나는 개념을 포함한 비유를 수업에서 적절히 다루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예비 교사들은 비공유 속성이 학생들의 오개념과 관련이 크다고 생각하였으나 비공유 속성을 다룰 때는 학생들의 의견에 폐쇄적인 모습을 보였다. 비유를 활용한 평가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이해는 높지 않았고, 물리적 비유나 역할놀이 비유와 같은 학생 중심의 비유를 사용할 때 평가가 상대적으로 원활히 이루어졌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 과학교사 교육과정과 관련된 함의를 논의하였다.

산림복지 서비스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및 학교기반의 산림활용 건강증진사업 활성화 방안 (Elementary School Teachers' Awareness of Forest Welfare Services and Promotion of Strategies for School-based Health Promotion Programs Using the Forest)

  • 김미주;방경숙;이인숙;김성재;이윤정;진영란;문효정;하이얀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1-11
    • /
    • 2019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erceptions toward school forest programs related to forest welfare services in elementary schools and suggest strategies to activate new programs. Methods: A mixed method research was performed. Four teachers and one forest therapist participated in a focus group interview; 162 teachers answered a survey. Results: The teachers were aware of the effects of the forest program, but there were some barriers, including the question of whether there was an accessible forest, school forest management problems, the risk of teachers' work overload, and the lack of program diversifi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Solutions included the expansion of school forests and forest facilities available to students, development of a variety of programs, provision of appropriate information on available facilities, and cooperation with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institutionalization and increased effectiveness of school-based forest utilization programs. In addition, a scientific basis for data accumulation is needed. Conclusion: The Ministry of Forestry is cooperating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local education offices to activate a forest-us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dditionally, to utilize the forests in regular education courses, teachers should strive to spread positive awareness of forests.

대학생들의 가치관과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C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Values and College Adjustment: the Case of C University)

  • 신희주;신현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221-235
    • /
    • 2021
  • 본 연구는 C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대학생활 만족 등의 대학생활 적응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찰한다. 이 연구는 개인의 가치관이 삶의 만족도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가정에 근거해 가치관과 대학생활 만족도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학업성취도 분석을 위해 C 대학 학생들의 5년간의 대입전형과 GPA 자료를 이용하였고, 대학생활 만족도에 대한 분석을 위해 이 대학에 재학중인 671명의 학생들에 대한 서베이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업 성취도는 학종 정원내로 입학한 학생들이 일관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2) 대학생활 만족도는 공정성 믿음, 협동심, 사회적 신뢰와 관련이 있다. 3) 대학생활 만족도는 전반적 교육 여건에 대한 만족도와 관련성을 보인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학에서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높이기 위해서 대학교육에 있어서 공공적 가치관을 고양시키는 교육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大巡真理會的女性宗教參與 : 以驪州本部道場為例 (Women's Religious Engagement at Daesoon Jinrihoe's Yeoju Headquarters)

  • 李玉珍
    • 대순사상논총
    • /
    • 제34집
    • /
    • pp.75-105
    • /
    • 2020
  • 不同於以往教義和文獻為主的研究方法, 本文是首次結合問卷量化, 訪談調查, 從女性參與者觀點, 制度層面的研究。2019年10月23日至26日期間, 我到驪州本部道場進行田調, 共計回收有效問卷81份。期待落實大巡真理會的發展與理念, 更進一步比較分析東亞新興宗教的女性宗教生態(niche)。本文先回顧相關大巡真理會的婦女研究, 輔以其他大巡真理會的資料。透過早期的夫人會 (1980年成立) 到社會福祉部的婦女會, 國際志工團辦公室的青年會的女學生, 理解女性在宗教慈善活動扮演的角色以及教內的養成教育。然後以性別為比較主軸, 進行問卷分析。受訪者基本資料包含性別, 年齡, 籍貫, 教育程度 ; 其宗教參與則以修行經歷和教團分工為主, 包含入道年數, 家庭信教代別, 職業分布, 教內工作, 教內職級。上述研究變項與問卷問項顯示, 性別對大巡真理會信徒在弘法佈教中的自我預期, 教內分工, 皆存在影響效果。調查顯示, 大巡真理會的女信眾無論在教育機會, 工作分配和升遷上都符合社會期待的性別角色。這種和諧互補的兩性關係, 符合教義和現代韓國的新興宗教與家庭倫理。其各項男女差距以及分布情況並未產生性別分隔的情況, 驪州本部道場受雇用的女性仍然具優勢。

공공영역의 서비스 품질 유지 및 수준 향상을 위한 실행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tion Plans for Maintaining and Improving Service Quality Levels in Public Fields)

  • 편제범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101-113
    • /
    • 2022
  • 서비스 산업의 고도화로 인한 기업 간 경쟁의 심화와 가속화는 서비스 소비자들이 원하는 서비스의 품질 수준을 높였고, 이러한 소비자의 동향은 급변하는 기술의 수용과 코로나19라는 특별한 상황을 감안해야 하는 공공영역의 서비스 제공 환경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ISO18091:2019』을 기반으로 행정안전부에서 개발한 공공서비스 품질관리 프레임워크를 기초로 개발된 교육교재를 활용하여 공공기관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한 후 설문을 통해 교재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고, 실제 개선활동에 참여한 공공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한 필드스터디 결과를 바탕으로, i)데이터 활용 및 검증, ii)공공서비스의 광범위성, iii)서비스 제공기관의 규모/역량의 세 가지 관점에서 공공서비스 품질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시사점과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Learners' Responses to a Virtual Cadaver Dissection Nerve Course in the COVID Era: A Survey Study

  • Lisiecki, Jeffrey L.;Johnson, Shepard Peir;Grant, David;Chung, Kevin C.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9권5호
    • /
    • pp.676-682
    • /
    • 2022
  • Background Virtual education is an evolving method for teaching medical learners.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pandemic, remote learning has provided a replacement for conferences, lectures, and meetings, but has not been described as a method for conducting a cadaver dissection. We aim to demonstrate how learners perceive a virtual cadaver dissection as an alternative to live dissection. Methods A virtual cadaver dissection was performed to demonstrate several upper extremity nerve procedures. These procedures were livestreamed as part of an educational event with multimedia and interactive audience questions. Participants were queried both during and after the session regarding their perceptions of this teaching modality. Results Attendance of a virtual dissection held for three plastic surgery training institutions began at 100 and finished with 70 participants. Intrasession response rates from the audience varied between 68 and 75%, of which 75% strongly agre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virtual environment. The audience strongly agreed or agreed that the addition of multimedia captions (88%), magnified video loupe views (82%), and split-screen multicast view (64%) was beneficial. Postsession response rate was 27%, and generally reflected a positive perspective about the content of the session. Conclusions Virtual cadaver dissection is an effective modality for teaching surgical procedures and can be enhanced through technologies such as video loupes and multiple camera perspectives. The audience viewed the virtual cadaver dissection as a beneficial adjunct to surgical education. This format may also make in-person cadaver courses more effective by improving visualization and allowing for anatomic references to be displayed synchronously.

메타버스를 활용한 원격교육 인식 및 만족도 사전조사: 이프랜드(ifland) 앱 사용을 중심으로 (Preliminary Investigation on Student Perspectives and Satisfaction with Distance Education in the Metaverse World: Focusing on the Use of ifland App)

  • 황요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21-133
    • /
    • 2022
  • 최근 들어 원격교육의 하나의 플랫폼으로 메타버스(Metaverse)가 각광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교육공간의 일환으로서 메타버스의 장점을 살펴보고 교육적 가능성과 활용도에 관해서 조사한다. 이를 위해 대학 전공 수업에서 SNS 기반형의 메타버스 플랫폼 중 하나인 이프랜드(ifland)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32명 학생들의 경험과 기술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사전 설문조사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학생들은 메타버스 수업 경험에 전반적으로 만족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새로운 플랫폼에 대한 흥미와 재미도, 아바타를 통한 3D 기반의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에 높은 만족감을 드러냈다. 한편으로는 현재까지는 다른 실시간 화상강의 플랫폼처럼 화면공유가 안 되는 점, PC버전이 없고 모바일에서만 구현이 되는 점 등의 기술적인 한계점도 발견되었다.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학생들은 실시간 화상강의와 메타버스 수업 중 메타버스 수업을 듣는 것을 더 선호한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원격 수업을 제공할 경우 어떠한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제안한다.

국내 공공도서관 메타버스 문화프로그램 운영사례 및 활용방향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Cases and Usage Direction of Metaverse Cultural Programs in Domestic Public Libraries)

  • 서상원;김규환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59-284
    • /
    • 2023
  •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진행했던 문화프로그램 운영사례들의 주요한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담당사서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문화프로그램 유형별 메타버스 플랫폼의 활용가능성에 대해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공공도서관에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문화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할 때 활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문화프로그램은 견학, 교육, 독서, 전시, 공연, 게임, 이벤트로 총 7가지로 나타났다.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담당사서들은 견학, 전시, 게임, 이벤트에 대한 향후 활용성에 긍정적인 답변을 보였다. 교육은 문화프로그램의 성격에 따라 활용이 가능하지만, 독서와 공연은 향후 활용성이 떨어질 것이라는 답변을 보였다.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방안으로는 견학 문화프로그램은 제페토, 교육과 전시, 게임, 이벤트 문화프로그램은 게더타운과 젭의 활용성이 높게 나타났다.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에 입실한 COVID-19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업무분석 (An Analysis of Tasks of Nurses Caring for Patients with COVID-19 in a Nationally-Designated Inpatient Treatment Unit)

  • 정민호;김문숙;이주연;이경이;박연환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91-406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oundational knowledge on nursing tasks performed on patients with COVID-19 in a nationally-designated inpatient treatment unit. Methods: This study employ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The quantitative method investigated the content and frequency of nursing tasks for 460 patients (age ≥ 18 y, 57.4% men) from January 20, 2020, to September 30, 2021, by analyzing hospital information system records.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via focus group interviews. The study involved interviews with three focus groups comprising 18 nurses overall to assess their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on nursing care during the pandemic from February 3, 2022, to February 15, 2022. The data were examined with thematic analysis. Results: Overall, 49 different areas of nursing tasks (n = 130,687)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Korean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for nurses during the study period. Among the performed tasks, monitoring of oxygen saturation and measuring of vital signs were considered high-priority. From the focus group interview, three main themes and eleven sub-themes were generated. The three main themes are "Experiencing eventfulness in isolated settings," "All-around player," and "Reflections for solutions." Conclus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t is imperative to ensure adequate staffing levels, compensation, and educational support for nurses. The study further propose improving guidelines for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and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s to improve the overall quality of patient 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