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environments

검색결과 599건 처리시간 0.027초

조선소 근로자들의 구강보건교육경험 유무에 따른 구강보건인식의 차이 (Relationship of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to Oral Health Awareness among Shipbuilding Workers)

  • 김은주;우승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240-246
    • /
    • 2012
  • 작업공정 특성상 작업환경이 열악하다고 판단되는 조선소 근로자의 구강보건증진과 구강보건교육계획, 산업구강보건정책 및 제도 개선에 기여하고자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해 선정한 전남 지역 조선소 및 협력업체 10곳에 근무하는 조선소 근로자를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 경험에 따른 구강보건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 310명 중 구강보건교육경험이 없는 근로자는 89.4%이었고, 구강보건교육 무경험자는 구강보건 지식정도, 인식정도, 관심정도, 중요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강보건 지식정도, 인식정도, 관심정도, 중요정도 간에는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보건교육 무경험자가 구강보건교육을 받지 못하는 이유는 기회가 없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고 선호하는 교육내용은 치아우식증예방 및 치료법, 선호하는 교육방법은 치의사의 강연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강보건교육 경험이 있는 근로자일수록 구강보건교육 경험이 없는 근로자보다 구강보건교육에 참여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 방지를 위한 체육의 역할 제고 (Enhancement of the Roles of Physical Education to Prevent School Violence)

  • 남중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368-377
    • /
    • 2012
  • 최근에 발표된 정부의 학교폭력 근절 종합대책에는 체육수업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청소년들의 체력과 건강이 저하되는 교육현실에도 오히려 학교체육은 소외되는 역설적 사회가 지속된 지 오래이다. 과도한 입시경쟁에서 저평가된 체육교과는 학교교과로서의 핵심적 목적을 전인교육에 두고 인성적 측면의 발달을 공식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폭력 방지를 위한 다양한 접근으로써 체육의 역할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그리하여 이 연구는 학교폭력 방지를 위한 체육의 역할을 제고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우선 한국사회에서 학교폭력이 고착화된 이유는 개인적, 가정적, 학교, 지역사회 등의 요인 등과 더불어 압축적 근대성장에 의한 성장제일주의, 경제적 효율성에 기반을 둔 신자유주의 등이 복합적으로 작동된 결과이다. 그만큼 한국사회에서 학교폭력은 고착화된 가치체계와 신념이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심각한 학교폭력의 수준에 불구하고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였다고 볼 수 있어 교육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이데올로기에 대한 평가가 요구된다. 또한 체육의 가치를 통해 체육이 학교폭력을 완화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는 정당성 논리가 재발견되는 만큼 학교폭력을 근절시키기 위한 하나의 대안은 학교체육의 정상화로부터 출발해야 할 것이다. 구체적인 대안은 학교 스포츠클럽의 활성화와 함께 학교폭력관련 프로그램 개발과 체육교사 연수프로그램 운영 등이 동반될 때 보다 근본적인 실천적 대안으로 자리하게 될 것이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치과위생사의 전문직업성,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fessionalism and Self-efficacy on the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 이선미;김수화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71-277
    • /
    • 2012
  •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치과위생사의 전문직업성,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6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SPSSWIN 18.0과 AMOS 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과위생사의 전문직업성은 3.34점, 자기효능감 3.76점, 직무만족도 3.36점으로 나타났다. 2. 연령이 많을수록,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기혼인 경우,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전문직업성, 자기효능감 및 직무만족도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본 연구모형은 전문직업성과 자기효능감의 상관계수는 .69, 전문직업성$\rightarrow$직무만족도 경로에서는 .33, 자기효능감$\rightarrow$직무만족도 경로에서는 .59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문직업성과 자기효능감과의 상관관계는 어느 정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문직업성 보다는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직무만족은 조직 내의 다양한 환경과 개인의 내적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직무만족이 중요한 이유는 의료서비스의 질생산성과 함께, 치과위생사 개인의 삶의 질과도 연관되기 때문이다. 변화하는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조직의 변화와 노력뿐만 아니라, 치과위생사들의 직업에 대한 확신, 전문직업성과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함께 동반되어야 한다.

치기공과 학셍들의 임상실습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Satisfaction Degree on Clinical Practice for Dental Technology Student)

  • 황경숙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1-111
    • /
    • 1997
  • An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influenced factors of satisfaction degree on the clinical practice for the dental technology student and it can be provided the basic necessary data for the educational planning of the curriculum for the clinical practice. The target of study are selected form 7 junior health college students and colleges are located in around seoul form 14 junior health college throughout the nation. The questionnaries were distributed between 24th Feb to 30th July in 1997 to the 100 dental technicians who finished clinical practice and entered profession in 1997.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using SPSS/PC, Technical Statistic, One-Way ANOVA, Ttest, Person Correnlation Coefficient, Chrobach Alpha Coefficient and the result of the study is follow. 1) The satisfaction degree were classificated as 7 aspect and overall average score was 3.042. During that period satisfaction of personal relation aspect(M=3.737) shows highest level. Satsfiaction of clinical parctice(M=3.571) shows as second, Satisfiaction of environment(M=3.028), Satisfaction of guidance(M=2.915), satisfaction of subject are ordered of their scores. According to above study satisfaction's degree of subject show lowest level. 2) According to the result of verification of study. general character of student and satisfiaction degree has not much relation with sex, location of college, religion, period for enrolling college, teaching method of clinical practice. But the result show similar relation with following items. Satisfaction if subject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P=0.000), place of clinical practice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P=0.002), Academic record of college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P=0.000). 3) The relation of satisfaction(Subject, method of teaching, environment, period, rating, personal relation) of clinical practice and age of investigation's target Older student show higher satisfaction(P=0.040). Also method of teaching, environments, period, rating, personal relation has similarities with satisfaction. Therefore student who has higher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they also have higher rate for subject, environment, period, personal relation. 4) The result fo investigation, most interesting subject was crown & bridge and most difficult factor was too many simple-works to the student. One of ideal factor was discussing with counselor before they choose place for clinical practice. Third grade and first semester is most efficient time for clinical practice and 8 week is proper period for clinical practice. Clinical practice is absilutory mecessary and we find out most student rated positively. However we need more specific study about satisfcation of each subject. Because it shows lowest level and we need more pay attention for planning of clinical practice.

  • PDF

과학교육의 태도와 흥미 연구에서 리커트 척도 활용의 유의점 (The Likert Scale Attention Points Applied to Research on Attitude and Interests on Science Education)

  • 박현애;배성우;박종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85-391
    • /
    • 2014
  • 일반적으로 연구자들은 관찰할 수 없는 심리적인 특성들을 연구할 때 주로 척도를 이용하여 수량화한다. 과학교육 연구에서도 척도를 활용하는 사례가 자주 나타난다. 특히, 정의적 영역의 평가에서는 학생들의 태도나 인식 등의 특성을 파악하고 평가하기 위하여 척도를 많이 사용한다. 그 중에서 사용이 간편한 리커트 척도를 많이 활용한다. 하지만 리커트 척도의 경우 활용 과정에서 여러 오류들이 발생하여 이를 절대시하는 것은 유의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흥미와 태도관련 과학교육 연구에서 리커트 척도의 활용에 따른 중심화 경향을 살펴보고 연구 대상 및 연구 내용에 따라 그 경향성이 어떠한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대상에 따라서는 대상 학교급 즉, 연령이 높아질수록 중심화 경향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영재학생보다 일반학생의 경우 중심화 경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연구 내용에서는 자기노출이 비교적 큰 영역에서 중심화 경향 더 나타났다. 그러므로 과학교육 연구에서도 리커트 척도를 활용할 때 중심화 경향의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과학교육 연구에 리커트 척도를 활용할 때는 사회문화적 환경과 연구 대상 및 연구 내용의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리커트 척도를 개선하여 적용해야 하며 나아가 조사 결과의 수치에만 의존하여 해석하는 것을 피해야 할 것이다.

SIFT 알고리즘을 이용한 혼합형 모바일 교육 시스템 (Mixed Mobile Education System using SIFT Algorithm)

  • 홍광진;정기철;한은정;양종열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69-79
    • /
    • 2008
  • 무선 인터넷과 모바일 기기의 보급으로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위한 인프라가 구축되면서 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오프라인과 온라인 컨텐츠를 동시에 이용함으로써 정보 전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사용자에게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오프라인과 온라인 컨텐츠를 함께 제공하여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혼합형 모바일 교육 시스템(Mixed Mobile Education System: MME)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기존의 연구와 달리 사용자에게 자연스러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 부가적인 태그를 사용하지 않는다. 태그를 사용하는 시스템의 경우 새로운 데이터의 등록이 어렵고 유사한 내용의 오프라인 컨텐츠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저화질의 카메라를 통해 입력받은 영상에서 잡음 색상 왜곡, 크기 및 기울기 변화에 영향을 적게 받는 특징점을 추출하고 오프라인 컨텐츠를 인식하기 위해 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SIFT)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또한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모바일 장치의 제한적인 저장 능력 문제를 해결하고 데이터의 등록 및 수정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실험을 통해 기존의 흔합형 교육 시스템과의 성능을 비교하고 제안된 시스템의 장단점을 확인하였으며, 시스템을 실생활에 적용하였을 경우 다양한 상황에서도 사용자에게 만족할만한 성능을 제공함을 확인하였다.

  • PDF

일본 자녀양육지원정책의 변화와 보육소의 지역사회 개방(開放) (Changes in Parenting Support Policy and Opening Day Nurseries to Local Communities in Japan)

  • 최미미
    • 비교교육연구
    • /
    • 제27권4호
    • /
    • pp.285-31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일본 자녀양육지원정책의 변화와 더불어 지역사회 내 자녀양육지원 거점으로서 보육소의 기능 및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한국 자녀양육지원정책 및 보육시설의 나아갈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일본 내각부의 소자화사회 대책 백서, 보육소보육지침 등 국가 수준의 문헌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본 자녀양육 관련 정책은 국내외 자녀양육 환경의 변화 및 사회적 요구를 파악하여 지역사회 구성원 모두를 위한 중장기적이고 포괄적인 정책을 도입함과 동시에 자녀양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을 도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001년 "아동복지법" 일부 개정에 따른 보육사 자격의 법정화, 2008년 일본 보육소보육지침(보육소 보육 가이드라인)의 고시화에 따라 지역사회 내 자녀양육지원의 일환으로 가정에 근접해 있는 보육소의 역할이 대두되었으며, 지역사회의 공적 자원으로 개방되어 활용됨으로써 보육소의 사회적 책임이 명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지역사회 내 자녀양육지원거점 기관으로서 어린이집의 역할 및 기능에 대한 재고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역사회 내 어린이집 및 부모들과 같은 실제 관계자들에 대한 목소리에 귀를 기울일 것이 요구된다. 나아가 지역사회 내 구성원 간 협력을 통하여 자녀양육에 대한 이해 및 가치를 공유하고, 그와 관련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공동의 장(場) 활성화를 도모하여야 한다.

가상현실 안전교육 콘텐츠의 인터랙션 디자인 연구 (Interaction Design Study of Virtual Reality Safety Education Contents)

  • 장효진;장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75-87
    • /
    • 2021
  • 본 연구는 가상현실 안전교육 콘텐츠의 기획과 제작에 참고할 수 있도록 내용 구성 단계별 인터랙션 디자인 특성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VR 안전교육 콘텐츠 구성의 특성과 VR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분류, 인터랙션 유형, 인터랙션 방식, 인터랙션 구성 요소들의 관계를 정리하여 인터페이스의 관계 분석 틀을 제시하였으며, VR안전교육 콘텐츠 사례 분석을 통해 비상 상황 대응절차 지식의 습득, 사고 상황 체험 학습 그리고 내용의 확인 및 평가의 세 가지 구성단계에서 각각 다음과 같은 상호작용 디자인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학습자 체험단계에서 교육 핵심 체험을 강조하기 위하여 행위 충실도를 높이고 일반적이고 반복적인 행동은 간략하게 축소하여 체험의 질을 조절하는 것이 드러났다. 둘째, 학습자가 생소한 환경에서 안전 행동 절차에 대한 정보 습득을 위하여 주요 상호작용 대상물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공간UI나 화살표나 상징을 활용한 기표, 행위를 구체적으로 지시하는 게시글 및 다감각 신호를 활용하여 사용자 체험 자유도를 낮추는 방식으로 필수 행위를 강조하고 인지적 인터랙션을 위한 비사실적 방식 인터랙션 비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체험의 확인과 평가 단계에서 사고 상황 후 신체손상 등의 부정적 경험을 은유적으로 경험하도록 하는 메타UI를 활용하고 3인칭 시점이나 반복재생의 방식으로 학습자의 체험을 객관적 시각으로 환기하는 것이 활용되었다. 또한 이러한 특성과 관련하여 인터랙션 차원에 따른 요소들의 관계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치과위생사의 치석제거 작업자세와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의 융복합적 관련성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Scaling Work Posture and Symptom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Dental Hygienists)

  • 심현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117-126
    • /
    • 2018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치석제거 시 작업자세와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치과위생사 264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건강행태, 치석제거 업무, 작업자세, 근골격계 자각증상의 설문을 구성으로 융합연구 하였다. 자료 분석은 R 2. 15. 1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분석한 결과, 치석제거 시 올바른 작업자세는 29.9%, 대체적으로 올바른 작업 자세는 37.5%, 올바르지 않은 작업 자세는 32.6%로 나타났으며, 근골격계의 자각증상을 호소하는 부위로는 어깨가 3.32배(OR,3.32;95%CI, 1.58~6.98), 발은 2.97배(OR,2.97;95%CI, 1.18~7.48), 손은 2.84배(OR,2.84;95%CI, 1.35~5.98), 목은 2.82배(OR,2.82;95%CI, 1.35~5.91), 등은 2.41배(OR,2.41;95%CI, 1.02~5.68)로 유의성 있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올바른 작업자세의 중요성을 제공함으로서 작업환경 개선 및 효율적인 예방프로그램 개발과 지속적인 교육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것이며, 추후 사회 심리적 요인을 포함한 조사 연구가 필요하겠다.

프로젝트기반 학습과 웹 융합 의사소통 유형별 학습자 상호작용 (Project-based Learning and Learner Interaction by Web Convergency Communication Types)

  • 신명희;최도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5-40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통한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와 학습자 상호 작용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했다. 학습자 상호 작용의 경우, 학습의 장(場), 즉 다양한 기술 환경 속에서의 학습자 의사소통 유형에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2018년 3월부터 6월까지 주 3시간 교양영어 수강생 80명을 대상으로 카카오 톡과 LMS (학습 관리 시스템)을 통한 학습자 상호 작용의 효과에 관해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프로젝트 기반 학습과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학습자 상호 작용은 카카오 톡 활용 그룹과 LMS (학습 관리 시스템) 그룹 간에는 유의 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프로젝트 기반 학습과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학습자 상호 작용, 2) 프로젝트 기반 학습과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학습자 학업 성취도 모두 카카오 토크 활용 그룹의 결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디지털 네이티브인 요즘 학생들에게 Kakao talk은 학습활동의 문제 해결 및 소통, 자료의 업로드 및 공유의 가장 좋은 환경이라는 것을 나타내 주는 결과이다.